청주국제공항
청주국제공항(淸州國際空港, 영어: Cheongju International Airport, IATA: CJJ, ICAO: RKTU)은 대한민국 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 내수읍에 있는 국제공항으로, 충청권의 유일한 공항이다. 전시(戰時)에는 인천국제공항과 김포국제공항의 업무를 인수해 운영된다.
청주국제공항 淸州國際空港 Cheongju International Airport | ||||||
---|---|---|---|---|---|---|
IATA: CJJ - ICAO: RKTU | ||||||
개요 | ||||||
공항종별 | 민-군 공용 | |||||
시간기준 | UTC+09:00 | |||||
운영시간 | 24시간 | |||||
소유기관 | 대한민국 국토교통부 대한민국 국방부 | |||||
운영기관 | ![]() ![]() 한국공항공사 | |||||
지역 | 충청권 | |||||
위치 | ![]() | |||||
거점 항공사 | ||||||
해발고도 | 191 m / 58 ft | |||||
좌표 |
북위 36° 42′ 59″ 동경 127° 29′ 56″ / 북위 36.71639° 동경 127.49889° | |||||
웹사이트 | ||||||
지도 | ||||||
활주로 | ||||||
방향 | 면적(m*m) | ILS | 표면 | |||
길이 | 폭 | |||||
06L/24R | 2,744 | 60 | YES | 콘크리트 | ||
06R/24L | 2,744 | 45 | NO | 콘크리트 | ||
통계(2023) | ||||||
이용 여객 | 3,695,812명 | |||||
운항 횟수 | 22,547회 | |||||
처리 화물¹ | 4.8t | |||||
출처: 한국공항공사 - 공항별 통계
¹: 수하물은 제외한다. |
역사
편집제17전투비행단에서 운용하는 군 관할 공항으로 1978년 9월에 개항했고, 제29전술개발훈련비행전대[1]도 같이 있다. 민간 공항으로서는 1997년 4월 28일에 개항했다.
현재 국내선은 제주 노선이, 국제선은 타이베이, 베이징, 옌지 등의 노선이 운영 중이며, 지방 14개 공항 중 처음으로 화물기 취항을 시작하였다. 공항의 운영 적자 때문에 2009년 3월에 이명박 정부가 민간매각 대상으로 선정[2]했으나, 공항 운영권 문제를 둘러싼 논란 끝에 2013년 1월 한국공항공사가 계약을 해지하고 계속 운영[3][4]하고 있다.
청주국제공항은 2008년부터 시행된 24시간 공항운영과 2015년 4월부터 실시한 120시간 무비자환승공항 지정 등으로 공항 이용객이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15년에 연간 이용객이 2백만 명을 넘었고, 2016년에는 270만 명을 넘었다.
2016년 2월 4일부터 A380과 같은 날개폭이 65m 이상인 F급 대형 항공기가 기상 악화 등으로 인천국제공항이나 김포국제공항에 착륙하지 못할 때 이착륙할 수 있는 대체공항으로 지정[5]되었다.
연혁
편집1970년대
편집1980년대
편집1990년대
편집- 1992년 3월: 1,390억원을 투입하여 민항용 활주로를 신설하고, 계류장, 여객청사, 주차장 등을 건설하는 공사를 착공
- 1997년 4월 28일
- 1997년 4월 29일
- 1997년 4월 30일
- 1997년 8월 6일
- 1997년 10월
- 1997년 12월: IMF 사태로 아시아나항공, 제주노선 무기한 단항
- 1999년 12월: 아시아나항공, 제주노선 재취항
2000년대
편집- 2000년 9월 1일
- 2003년 12월: 화물청사 개관
- 2005년 8월: 대한민국 첫 저비용 항공사인 한성항공이 국내 처음으로 제주 노선 취항
- 2008년 5월: 한성항공, 제주 노선 단항
2010년대
편집- 2011년 9월 23일: 전국 14개 지방 공항 가운데 처음으로 화물기 운항 시작[8]
- 2012년 2월 1일: 전국 공항 최초로 민간 회사인 청주공항관리 주식회사가 30년간 공항운영을 맡는 '청주공항 운영권 매각 계약' 체결[9]
- 2013년 1월 16일: 1년여의 논란 끝에 한국공항공사가 '청주공항 운영권 매각 계약'을 해지하고 청주국제공항 운영권을 회수
- 2015년: 연간 이용객 수 200만명 돌파
- 2016년: 4개 대형 공항(인천, 제주, 김포, 김해)과 광주공항 외에 대한민국 공항 중 최초로 연간 이용객 수가 270만명을 돌파하였고, 개항 20년만에 첫 흑자 기록
- 2018년: 국내선 청사 리모델링 확장
2020년대
편집운항 노선
편집국제선
편집항공사 | 목적지 |
---|---|
에어로케이 | 다낭, 도쿄(나리타), 마닐라, 삿포로, 세부[10], 오사카(간사이)[11], 클라크, 타이베이(타오위안) |
이스타항공 | 옌지[12], 장자제[13], 타이베이(타오위안)[14], 푸꾸옥[13], 하얼빈[15] |
티웨이항공 | 나트랑, 다낭, 방콕(돈므앙), 옌지, 오사카(간사이), 울란바타르, 타이베이(타오위안), 후쿠오카 |
중국남방항공 | 옌지 |
룽에어 | 장자제 |
쓰촨항공 | 장자제 |
홍콩 익스프레스 항공 | 홍콩(첵랍콕) - (2025년 6월 5일 신규취항)[16] |
국내선
편집항공사 | 목적지 |
---|---|
대한항공 | 제주 |
아시아나항공 | 제주 |
에어로케이 | 제주 |
이스타항공 | 제주[17] |
제주항공 | 제주 |
진에어 | 제주 |
티웨이항공 | 제주 |
이용객 추이
편집전체
편집연도[18] | 1997년 | 1998년 | 1999년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
운항(편수) | 3,395 | 1,852 | 1,988 | 3,588 | 4,138 | 4,478 | 5,687 | 6,622 | 7,085 | 8,868 |
여객 (명) | 370,743 | 299,904 | 353,728 | 528,726 | 606,108 | 634,066 | 761,148 | 821,259 | 857,269 | 999,563 |
2007년 | 2008년 | 2009년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
운항(편수) | 9,286 | 9,925 | 8,879 | 9,185 | 9,082 | 9,159 | 9,579 | 11,633 | 14,153 | 17,418 |
여객 (명) | 1,032,484 | 1,042,512 | 1,023,532 | 1,296,842 | 1,337,791 | 1,308,994 | 1,378,604 | 1,702,538 | 2,118,492 | 2,732,755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운항(편수) | 15,825 | 15,683 | 18,648 | 13,625 | 17,425 | 18,516 | 22,547 | |||
여객 (명) | 2,571,551 | 2,453,649 | 3,009,051 | 1,970,863 | 2,628,257 | 3,174,649 | 3,695,812 |
- 개항 초기 3년간 이용객이 30만 명 대에 불과했으나, 이후 점진적으로 이용객이 늘어 2007년에 연간 이용객이 100만 명을 돌파하였고, 2015년에 200만 명, 2019년에 300만 명을 돌파하였다.
국내선
편집연도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
운항(편수) | 3,159 | 3,370 | 3,928 | 4,815 | 5,706 | 6,084 | 7,358 | 7,736 | 8,716 | 8,624 |
여객 (명) | 497,272 | 549,112 | 592,558 | 686,671 | 744,101 | 756,220 | 865,815 | 871,551 | 916,738 | 991,331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
운항(편수) | 8,096 | 7,755 | 7,867 | 7,927 | 8,269 | 10,331 | 13,009 | 14,246 | 12,815 | 14,713 |
여객 (명) | 1,165,716 | 1,188,158 | 1,165,030 | 1,163,405 | 1,235,850 | 1,610,861 | 2,118,695 | 2,385,611 | 2,135,560 | 2,513,438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운항(편수) | 13,205 | 17,425 | 18,494 | 18,892 | ||||||
여객 (명) | 1,922,752 | 2,628,257 | 3,172,099 | 3,173,779 |
국제선
편집연도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
운항(편수) | 429 | 768 | 550 | 872 | 916 | 1,001 | 1,510 | 1,550 | 1,209 | 255 |
여객 (명) | 31,454 | 56,996 | 41,508 | 74,477 | 77,158 | 101,049 | 133,748 | 160,933 | 125,774 | 32,201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
운항(편수) | 1,089 | 1,327 | 1,292 | 1,652 | 3,364 | 3,822 | 4,409 | 1,579 | 2,868 | 3,935 |
여객 (명) | 131,126 | 149,633 | 143,964 | 215,199 | 466,688 | 507,631 | 614,060 | 185,940 | 318,089 | 495,613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운항(편수) | 420 | 0 | 22 | 3,655 | ||||||
여객 (명) | 48,111 | 0 | 2,550 | 522,033 |
교통
편집계획
편집충청북도는 대형 항공기의 원활한 이착륙을 위해 북쪽 활주로 추가 포장, 평행유도로 신설 등 여러 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5] 미국·유럽 등 장거리 국제노선(특히 화물노선) 개설을 위해 현재 2744 m인 북쪽 활주로(06L/24R)의 길이를 3200 m로 늘리는 활주로 연장 사업[21]을 정부에 요청하고 있다. 정부는 그동안 경제적 타당성이 낮다는 이유로 활주로 연장 사업을 거절해 왔으나, 2016년 청주공항이 F급 대형 항공기 대체공항으로 지정되어 2020년에 실시될 활주로 연장사업의 타당성 조사에서는 긍정적인 결론이 도출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5]
명칭 변경 논란
편집2006년에 충청북도가 청주국제공항을 '반기문 국제공항'으로 공항 이름을 변경할 것을 내부 검토[22]한 게 알려져 논란이 있었고, 비슷한 시기에 대전광역시가 청주공항 이용객의 60% 이상이 대전 주민이라는 이유로 공항 이름에 대전을 병기해 '청주·대전 국제공항'으로 변경할 것을 건의[23]하기도 했다.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최다 1000대 규모…미국 고등훈련기 시장 4파전> 한국 T-50, 1년 뒤 美 하늘 날까? 동아일보, 2016.12.15.
- ↑ 청주공항, 결국 민영화…내년초 민간에 매각 뉴시스, 2009.3.5.
- ↑ 청주국제공항 민영화 찬반논란 팽팽 대전일보, 2011.6.30.
- ↑ 청주공항 민영화 무산…공항공사, 계약해지[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중앙일보, 2013.1.16.
- ↑ 가 나 다 청주공항, F급 항공기 대체공항 지정 국민일보, 2016.1.31.
- ↑ 새 국제공항 청원(淸原)에 건설…서울서 70분 거리 매일경제, 1984.4.16.
- ↑ 경기 서남부에 동양 최대 새 국제공항 만든다…청주공항은 중부권 공항으로 규모 축소 동아일보, 1988.3.9.
- ↑ 대한항공 화물기 청주공항 취항 CJB, 2011.9.23.
- ↑ '만성적자' 청주공항 민간에 팔렸다. 문화일보, 2012.2.1.
- ↑ “Aero K Schedules Cebu Oct 2024 Launch”. 2024년 8월 29일.
- ↑ “AERO K SCHEDULES CHEONGJU – OSAKA JULY 2023 DEBUT”. 2023년 6월 26일.
- ↑ “이스타항공, 내달까지 신규 항공기 3대 도입해 10개 노선 취항”. 2024년 6월 5일.
- ↑ 가 나 “EASTARJET EXPANDS CHEONGJU INTERNATIONAL NETWORK FROM JULY 2024”. 2024년 6월 11일.
- ↑ “이스타항공, 12월 청주∼대만 취항…첫 지방발 국제선”. 2023년 9월 27일.
- ↑ “EastarJet Adds Cheongju – Harbin From Oct 2024”. 2024년 9월 5일.
- ↑ “HK Express adds Cheongju / Daegu service in NS25”. 2025년 3월 17일.
- ↑ “이스타항공, 8월부터 청주∼제주 노선 운항”. 2023년 6월 13일.
- ↑ 공항별 통계 한국공항공사, 2020년 1월 22일 확인.
- ↑ 2016년 청주공항 이용객 273만명…개항 20년만에 첫 흑자 뉴시스, 2017.1.10.
- ↑ 청주공항 2013년 국제선 이용객, 첫 20만 돌파…49% 늘어 중앙일보, 2014.1.24.
- ↑ 청주공항의 북쪽 활주로를 서쪽으로 456 m 늘리는 사업으로, 활주로 연장에 장애가 되는 충북선 철도는 활주로보다 12 m 정도 지대가 낮기 때문에 복개(터널화)할 계획이다.
- ↑ 반기문 유엔 총장 고향 충북 '반기문' 브랜드 사업 본격화 뉴시스, 2006.12.20.
- ↑ 청주공항 명칭 병기, 국제조약·표기상 '어려워' 충청투데이, 2006.10.25.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