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천동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부평구의 동(洞) 단위 행정 구역 중 하나

청천동(淸川洞)은 인천광역시 부평구에 위치한 법정동이다. 법정동으로서의 청천동은 행정동 청천1동[1]과 청천2동으로 이루어져 있다.
청천1동 淸川1洞 | |
---|---|
![]() | |
로마자 표기 | Cheongcheon 1(il)-dong |
행정 | |
국가 | 대한민국 |
지역 | 인천광역시 부평구 |
행정 구역 | 25통, 163반 |
법정동 | 산곡동, 청천동 |
관청 소재지 | 인천광역시 부평구 산청로87번길 1 |
지리 | |
면적 | 2.16 km2 |
인문 | |
인구 | 6,911명(2022년 2월) |
세대 | 7,819세대 |
인구 밀도 | 3,200명/km2 |
지역 부호 | |
웹사이트 | 청천1동 주민센터 |
청천2동 淸川2洞 | |
---|---|
로마자 표기 | Cheongcheon 2(i)-dong |
행정 | |
국가 | 대한민국 |
지역 | 인천광역시 부평구 |
행정 구역 | 38통, 256반 |
법정동 | 청천동 |
관청 소재지 | 인천광역시 부평구 마장로410번길 5 |
지리 | |
면적 | 2.80 km2 |
인문 | |
인구 | 35,318명(2022년 2월) |
세대 | 13,763세대 |
인구 밀도 | 12,600명/km2 |
지역 부호 | |
웹사이트 | 청천2동 주민센터 |
유래
편집청천동은 원적산과 장수산에서 원출된 맑은 물이 마을 앞을 흐르고 있어 이 냇물이 맑았기로 맑은 내(淸川)라 불러서 연유된 이름으로, 구한말까지는 부평도호부 마장면에 속하였다.
마장(馬場)이란 지명이 생긴 것은 청천동, 산곡동, 효성동 일원을 '마당 뜰'이라 했는데 허허벌판에 억새가 우거진 곳이라서 마장이란 이름이 되었고, 말(馬)이 좋아하는 억새가 우거진 억새벌판이라서 '새벌', '새벌리'(曉星)가 되었다. 이 벌판의 중심지가 마제이(마장, 청천)였다.
이곳은 부평평야가 시작되는 넓은 곡창지대가 속하다가 1960년대부터 부평공업단지가 조성되었고 그 뒤로 급격한 발전을 하고 있다.
행정구역 변천사
편집1995년 3월, 인천광역시가 북구를 부평구와 계양구로 분할하였을 당시 경인고속도로가 경계선이 되어, 효성동 남측 지역 대부분(1.324km2)과 작전2동의 일부 지역(0.101km2)을 편입하였으며, 청천동에 새롭게 편입되었을 당시 행정 구역은 경인고속도로 이남 지역 중 원적산 능선 북측에서 부평대로 사이 지역 대부분이 새롭게 편입되었다.[2]
연혁
편집주요 기관
편집관공서
편집- 청천1동 주민센터
- 청천2동 주민센터
교육 기관
편집※ 청천동 관내에는 고등학교가 없으며, 고등학교는 인접 산곡동이나 서구 석남동 그리고 계양구까지 나가야만 이용 가능하다.
의료 기관
편집- 부평구보건소 청천지소
- 부평세림병원
기업체
편집교통
편집도로
편집- 부평대로
- 마장로 (인천)
- 안남로 (인천)
- 새벌로
- 청중로 (부평구)
- 청안로 (인천)
- 청천마차로
- 부평북로
- 세월천로
- 길주로
- 원길로
- 원적로 (인천)
- 서달로 (인천)
- 경인고속도로 (부평 나들목)
철도
편집- ● 서울 지하철 7호선 : 산곡역
각주
편집- ↑ 행정동인 청천1동은 법정동 청천동의 일부 및 법정동 산곡동의 일부를 관할한다.
- ↑ “인천 北區 分區 추진”. 매일경제. 1993년 5월 25일. 2014년 5월 15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이 글은 인천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