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기 키릴 문자
초기 키릴 문자는 10세기 경에 고대 교회 슬라브어를 적기 위해서 초기 불가리아 제국 시대에 개발된 문자이다.
초기 키릴 문자 | |
유형 | 음소 문자 |
---|---|
표기 언어 | 고대 교회 슬라브어, 교회 슬라브어 등 |
사용 시기 | 9세기 경 |
계통 | 원시 시나이 문자 페니키아 문자 그리스 문자 초기 키릴 문자
|
864년 보리스 1세가 이 문자를 공식적인 상태로 만들었다. 이 문자는 문자를 최초로 만든 클레멘트의 스승이었던 키릴루스의 이름이 붙었다. 이 문자는 그리스 문자, 라틴 문자, 히브리 문자의 영향을 받았다.
다음 세기에 키릴 문자는 구어체의 영향을 받았고, 다양한 나라에서 사용될 수 있도록 변화를 거쳤으며, 정치적 및 학문적 변화가 가해졌다. 키릴 문자의 변종은 다양한 나라의 언어의 문자로 이용된다.
알파벳
편집문자 | 유니코드 문자 | 읽기 | 키릴 문자 이름 | 로마자 전자법 | 국제 음성 기호 이름 | 로마자 전자법 | 국제 음성 기호 | 주석 |
---|---|---|---|---|---|---|---|---|
А а | 아저 | АЗЪ | azǔ | [aʒʌ] | a | [a] | ||
Б б | 버키 | БѸКИ | buky | [buki] | b | [b] | ||
В в | 베데 | ВѢДИ | vědě | [vɛdi] | v | [v] | ||
Г г | 글라골리 | ГЛАГОЛИ | glagoli | [glagoli] | g | [g] | ||
Д д | 돕로 | ДОБРО | dobro | [dobro] | d | [d] | ||
Є є | 예스투 | ѤСТЬ | estǐ | [iɛstɪ] | e | [ɛ] | ||
Ж ж | 지베테 | ЖИВѢТЄ | živěte | [ʒivɛtɛ], [ʒivjɛtɛ] | ž, zh | [ʒ] | ||
Ѕ ѕ | 드제로 | ЅѢЛО | dzělo | [ʣɛlo], [ʣjɛlo] | dz, Z | [dz], [z] | ||
З з | 젬리야 | ЗЄМЛIА | zeml’ja | [zemlja] | z | [z] | [1] | |
И и | 이제 | ИЖЄ | iže | [iʒɛ] | i | [i] | ||
І і / Ї ї | 이 | И | i | [i] | i, I | [i] | ||
К к | 카코 | КАКО | kako | [kako] | k | [k] | ||
Л л | 르윳디예 | ЛЮДИѤ | ljudije | [ljudijɛ] | l | [l] | ||
М м | 무슬리테 | МЫСЛИТЄ | mūslite | [muslitɛ] | m | [m] | ||
Н н | 나시 | НАШЬ | našǐ | [naʃɪ] | n | [n] | ||
О о | 오니 | ОНЪ | onǔ | [onʌ] | o | [o] | ||
П п | 포쾨 | ПОКОИ | pokoi | [pokoj] | p | [p] | ||
Р р | 리시 | РЬЦИ | rǐci | [rɪʦi] | r | [r] | ||
С с | 슬로보 | СЛОВО | slovo | [slovo] | s | [s] | ||
Т т | 틉륻도 | ТВРЬДО | tvr̥do | [tvr̤̥do], [tfr̤̥do] | t | [t] | ||
Ѹ ѹ | 욱그 | ѸКЪ | ukǔ | [ukʌ] | u | [u] | [2] | |
Ф ф | 엡 | ФРЬТЪ | fr̤̥tǔ | [fr̤̥tʌ] | f | [f] | ||
Х х | 하루 | ХѢРЪ | xěrǔ | [xɛrʌ]? [xjɛrʌ]? | x | [x] | ||
Ѡ ѡ | 오투/오메가 | ОТЪ | otǔ | [otʌ] | ō, w | [oː] | ||
Ц ц | 치 | ЦИ | ci | [ʦi] | ts, S | [ts], [s] | ||
Ч ч | 츨리비 | ЧРЬВЬ | čr̤̥vǐ | [ʧr̤̥vɪ], [tjr̤̥vɪ] | ć, tj | [ʧ], [tj] | ||
Ш ш | 싸 | ША | ša | [ʃa] | š, sh | [ʃ] | ||
Щ щ | 쓰타 | ШТА | šta | [ʃta] | št, sht, šč, shch | [ʃt], [ʃʧ] | ||
Ъ ъ | 예루 | ѤРЪ | jerǔ | [jɛrʌ] | ǔ, u: | [ʌ] | ||
Ꙑ ꙑ | 예리 | ѤРЫ | jerū | [jɛry] | ū | [y] | ||
Ь ь | 예래 | ѤРЬ | jerǐ | [jɛrɪ] | ǐ, i: | [ɪ] | ||
Ѣ ѣ | 얏 | ЯТЬ | jatǐ | [jatɪ] | ě, je | [jɛ] | ||
Ю ю | 유 | Ю | ju | [ju] | ju | [iu] | ||
Я я | 야 | (И)Я | ja | [ja] | ja | [ja] | ||
Ѧ ѧ | 에수 | ѦСЪ | ęsǔ | [ɛ̃s] | ę, ẽ | [ɛ̃] | [3] | |
Ѩ ѩ | 예수 | ѨСЪ | jęsǔ | [jɛ̃s] | ję, jẽ | [jɛ̃] | [4] | |
Ѫ ѫ | 오수 | ѪСЪ | ǫsǔ | [ɔ̃s] | ǫ, õ | [ɔ̃] | [5] | |
Ѭ ѭ | 요수 | ѬСЪ | jǫsǔ | [jɔ̃s] | jǫ, jõ | [jɔ̃] | [6] | |
Ѯ ѯ | 크시 | КСИ | ksi | [ksi] | ks | [ks] | ||
Ѱ ѱ | 프시 | ПСИ | psi | [psi] | ps | [ps] | ||
Ѳ ѳ | 비타 | ФИТА | fita | [fita] | θ, th, T, F | [t], [θ], [f] | ||
Ѵ ѵ | 잇힛사 | ИЖИЦА | ižica | [iʒiʦa] | ü | [ɪ], [y] | ||
Ѥ ѥ | 에 | (И)Ѥ | jeː | [jɛ] | jeː | [iɛ] | ||
Ћ ћ | 드옐브 | ДѤРВ | đerv, djerv | [ʤɛrv], [djɛrv] | đ, dj | [ʤ], [dj] | [7] | |
Ѿ ѿ | 오투 틉리도 | ОТЪ | otǔ | [otʌ] | ōt, wt | [ot] | ||
Ѽ ѽ | 오 | Ѽ | ô | [o:] | ô,w | [o:] | [8] |
각주
편집- ↑ Zemlya: 처음 제시된 형태는 두 번째로 개발되었음.
- ↑ Ouku: 처음 제시된 형태는 합자 형태였음.
- ↑ Ęsǔ: 러시아어: ЮСЪ МАЛЫЙ (jusǔ malūj)라고 함.
- ↑ Jęsǔ: 러시아어: ЮСЪ МАЛЫЙ ЙОТИРОВАННЫЙ (jusǔ malūj jotirovannūj)라고 하며 잘 쓰이지 않음.
- ↑ Ǫsǔ: 러시아어: ЮСЪ БОЛЬШОЙ (jusǔ bol'šoj)라고 하며 잘 쓰이지 않음.
- ↑ Jǫsǔ: 러시아어: ЮСЪ БОЛЬШОЙ ЙОТИРОВАННЫЙ (jusǔ bol'šoj jotirovannūj)라고 하며 잘 쓰이지 않음
- ↑ Đerv: 이 문자는 존재했지만 러시아어에서의 음가는 사라졌다. 러시아어에서는 이 문자가 사용된 문서에서 Gherv 또는 Dzherv로 쓴다. 하지만 발칸 반도의 언어에서는 이 문자를 종종 찾을 수 있다.
- ↑ Ornate omega: 이 문자의 이름은 정확히 알 수 없으며, 감탄사로만 사용되었다고 알려져 있다.
참고 문헌
편집- Ivan G. Iliev. Short History of the Cyrillic Alphabet. Plovdiv. 2012/Иван Г. Илиев. Кратка история на кирилската азбука. Пловдив. 2012.
- Short History of the Cyrillic Alphab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