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색
(초록에서 넘어옴)

녹색(green, 綠色) 또는 초록(문화어: 록색)은 식물의 잎과 같은 색이며, 굴절률이 파랑 다음으로 큰 색이다. 1931년 국제조명위원회는 초록의 파장을 546.1nm으로 정의했다. 마카오, 브라질, 이탈리아, 멕시코, 에티오피아, 방글라데시, 시리아, 리비아, 쿠웨이트, 미얀마 등의 국기에 사용된 색이며, 이슬람교의 상징색이기 때문에 주로 이슬람 국가의 국기에서 많이 찾아볼 수 있다. 처음에는 녹색이라고 불렸으나, 2003년 이후 초록색으로 색 이름이 바뀌었다(색명이 바뀌기 전의 초록색은 청록색과 섞여서 약간의 파란색을 띠는 녹색, 정확히는 먼셀의 20색상표의 녹색과 청록의 중간색을 뜻했다).[1] 먼셀의 20색상환에서의 초록은 녹색(지금의 초록)과 청록이 섞인 중간색을 뜻하지만, 녹색이 초록색으로 색명이 변경된 이후 교육부는 20색상환에서 10색상환으로 줄여졌고, 20색상환은 이름을 붙이지 않은 채로 교육하기로 했다.[2]
녹색 | |
---|---|
![]() | |
16진수 표기 | #009900 |
sRGBB (r, g, b) | (0, 153, 0) |
CMYKH (c, m, y, k) | (100, 0, 100, 25) |
HSV (h, s, v) | (120°, 100%, {{{v}}}%) |
출처 | [출처 없음] |
B: [0–255] (바이트)로 평준화 H: [0–100] (1백)으로 평준화 |
계통색 이름 | 녹색 |
---|---|
관용색 이름 | 녹색 |
먼셀 | 2.5G 4/10 |
먼셀 20색상표의 녹색 | |
---|---|
![]() | |
16진수 표기 | #009900 |
sRGBB (r, g, b) | (0, 116, 84) |
출처 | [출처 없음] |
B: [0–255] (바이트)로 평준화 |
계통색 이름 | 녹색 |
---|---|
관용색 이름 | 녹색 |
먼셀 | 7.5G 6/10 |
색공간편집
시각편집
원추세포의 종류 중, 긴 파장의 빛을 감지하는 L 원추세포와 중간 파장의 빛을 감지하는 M 원추세포에 의해 인식되며, 사람의 눈은 초록에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여 멀리서도 인식한다. 이 때문에 교통 표지판이나 신호등에 이용된다.
지명편집
문화편집
교통 수단편집
- 대한민국 철도청(현 한국철도공사)이 1996년부터 2003년까지 대표 색상으로 사용하였다.
- 대한민국 서울 지하철 2호선의 대표 색상이다. (녹색, 2.5G 5/12)
- 대한민국 서해선의 대표 색상이다. (딥 그린색)
- 대한민국 부산 도시철도 2호선의 대표 색상이다.
- 대한민국 대구 도시철도 2호선의 대표 색상이다.
- 대한민국 대전 도시철도 1호선의 대표 색상이다. (5G 4/10)
- 한때 대한민국 한국철도공사 새마을호의 고유색이었으며,(현재는 파랑으로 변경)[3] 통일호와 비둘기호의 바탕색으로 쓰였다.
- 대한민국 지선버스의 대표 색상이다. 채택하는 곳은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대구광역시, 대전광역시, 광주광역시이다. 다만 실제 도색은 라임색 또는 연두색에 가깝다.
- 신칸센 E3계 전동차에 녹색 줄무늬가 칠해져 있다.
- 아일랜드 항공사인 에어링구스의 항공기 도색이 녹색이다.
- 이탈리아 국영 철도 Trenitalia의 대표 색상 중 하나로 사용된다.
- 프랑스 파리의 지하철, 버스에 엷은 녹색의 줄무늬가 칠해져 있다.
- 동일본 여객철도(이하 JR 동일본)의 대표 색상이므로 'JR 그린'으로 통용된다. 이보다 약간 엷은 색상으로 홋카이도 여객철도(이하 JR홋카이도)에서 사용되고 있으므로, 도호쿠 신칸센과 홋카이도 신칸센의 열차 등급인 야마비코, 하야부사, 하야테호로 사용한다.
- 도쿄 지하철 9호선 지요다선의 대표 색상이다.
상태 표시편집
- 많은 전기 제품이나 전자 제품에서 녹색등은 정상 작동, 안전 등을 나타낸다.
- 신호등에서 녹색등은 자동차나 사람의 통행을 지시하는 등이다.
생물학편집
- 식물의 잎이 푸른 것은 엽록소가 들어있기 때문이다.
- 생물에게 녹색은 시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 때문에 도시에 사는 사람보다 나무나 숲이 많은 시골에 사는 사람의 시력이 더 좋고 넓은 초원이 많은 몽골인 등 유목 민족의 시력이 아주 좋다.
- 대부분의 학교에서 사용되는 칠판은 검정 바탕에 녹색을 약간 섞었다.
상징편집
- 녹색은 환경 운동 및 생태주의의 상징이다.
- 녹색은 범아랍색의 색 중 하나로, 이슬람교를 상징한다. 때문에 많은 이슬람 문화권의 국가들이 국기에 녹색을 사용한다.
- 2011년까지 사용하던 리비아 국기는 이슬람의 영향 때문에 오로지 초록 한 가지 색만 넣는다.
- 1988년부터는 대한민국 한겨레신문사의 상징색으로 사용되고 있다.
미디어편집
- 영화나 게임물에서 전체 관람가, 전체 이용가의 색상이다.
문학편집
군사편집
- 녹색은 군사 시설 및 장비 등에 위장색으로 쓰인다. 이는 산악전용으로 사막전에서는 녹색이 아닌 황갈색을 사용한다.
- 대한민국 육군 장교의 정복에는 녹색이 쓰이고, 육군의 병사들이 입는 정복도 녹색을 쓴다.
정치편집
- 과거에 존재했던 국민의당의 상징색이다.
- 전 국무 총리이자 9선 국회 의원이었던 김종필은 녹색을 좋아하여[출처 필요] 독자적으로 신민주공화당, 자유민주연합을 창당하였을 때 당을 뜻하는 색을 녹색으로 정하였다.
- 과거 대한민국 민주당의 상징색이다. 이후 민주당이 녹색이 아닌 파랑을 상징색으로 쓰기 시작했고 이후 이 녹색은 민주평화당이 이어받았다가 민생당의 상징색이 되었다.
- 유럽에는 각 나라별로 녹색당이 있다. 녹색당은 생명 존중을 모토로 하여 핵에 의한 방사능 오염, 환경 오염, 생태계 파괴를 반대하는 정당이다.
기업편집
- 대한민국에서 DB그룹이 이 색상을 사용한다. 때문에 한국 프로 농구 원주 동부 프로미의 2010~2011시즌부터의 홈 유니폼 색상도 녹색이다.
- 대한민국에서 태평양그룹도 이 색상을 사용하였다. 공기업으로는 한국수력원자력이 사용하고 있으며, 금융권에서는 하나금융그룹, 농협이 사용하고 있다.
- 독일 정밀 기기 제조 업체인 지멘스의 대표 색상이다.
- 대한민국의 포털 사이트인 네이버의 대표 색상이다.
돈편집
축구편집
- 독일 분데스리가의 SV 베르더 브레멘, VfL 볼프스부르크의 홈 유니폼 색깔이다.
- K리그1의 전북 현대 모터스의 홈 유니폼 색깔이다.
- 방글라데시, 사우디아라비아, 아프가니스탄, 타지키스탄 등의 국가들이 초록색 유니폼을 입는다.
펜싱편집
- 주심을 기준으로 오른쪽에 서 있는 선수는 득점시 초록색 불이 들어온다.
아이돌 풍선색편집
국기편집
컴퓨터편집
도시 계획편집
녹색 계열의 색상편집
색 이름 | 색상 |
---|---|
초록 | |
라임색 | |
올리브색 | |
암청색 | |
연두 |
함께 읽기편집
각주편집
위키백과 자매 프로젝트에서 “녹색”에 관련된 문서를 찾을 수 있습니다. | |
---|---|
위키낱말사전 — 사전적 정의 | |
위키책 — 교과서 | |
위키인용집 — 인용구 | |
위키문헌 — 원문 | |
위키뉴스 — 뉴스 기사 | |
위키미디어 공용 — 이미지와 미디어 자료 | |
위키생물종 — 생물 분류 도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