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융청
총융청(摠戎廳)은 1624년(인조 2년)에 만들어진 조선의 5군영 중 하나이다. 이 군사 부대의 군량미 창고로는 남창(南倉)이 있었다. 지금의 수도군단에 해당하며, 제3야전군사령부의 역할도 겸했다.
역사편집
도성 외곽의 방비를 위해 설치되었으나 수어청이 설치되면서 도성 북부의 방비를 담당하게 되었다. 여러 번 인원의 감축과 통폐합을 겪었다. 1846년(헌종 12년) 총위영으로 이름이 바뀌었다가 1849년 다시 총융청으로 되돌려지고, 1884년(고종 21년)에 결국 폐지되었다.
청사편집
편성편집
도성을 방어하는 총융청 내영(內營) 2부(部)의 편성은 아래와 같다. 이 내영 편성은 숙종 즉위년인 1674년부터 1704년(숙종 40년)까지 유지되었다.
- 좌부(左部) : 천총
- 좌사(左司) : 5초(哨)[2]
- 중사(中司) : 3초
- 우사(右司) : 5초
- 우부(右部) : 천총
- 좌사(左司) : 5초(哨)
- 중사(中司) : 3초
- 우사(右司) : 5초
관제편집
- 종2품 총융사(摠戎使) 1명
- 종2품 중군(中軍) 1명
- 정3품 천총(千摠) 2명
- 정3품 진영장(鎭營將) 3명 : 전영장은 남양부사, 중영장은 파주목사, 후영장은 장단부사 겸직
- 종4품 파총(把摠) 2명
- 종9품 초관(哨官) 10명
- 기타 교련관(敎鍊官) 15명, 기패관(旗牌官), 군관(軍官) 10명 2명 등
북한산성 주둔 부대편집
- 정3품 관성장(管城將) 1명
- 종4품 파총(把摠) 1명
- 종9품 초관(哨官) 6명
- 기타 교련관, 기패관, 성문부장(城門部將) 등[3]
각주편집
이 글은 조선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 |
이 글은 군사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