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준석 (야구 선수)
최준석(崔俊碩, 1983년 2월 15일 ~ )은 전 오스트레일리안 베이스볼 리그 질롱 코리아의 내야수, 지명타자이다.
| ||||
기본 정보 | ||||
---|---|---|---|---|
국적 | 대한민국 | |||
생년월일 | 1983년 2월 15일 | (38세)|||
출신지 |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 |||
신장 | 187 cm | |||
체중 | 130 kg | |||
선수 정보 | ||||
투구·타석 | 우투우타 | |||
수비 위치 | 지명타자, 1루수, 포수(입단 당시) | |||
프로 입단 연도 | 2001년 | |||
드래프트 순위 | 2001년 2차 6라운드(롯데 자이언츠) | |||
첫 출장 | KBO / 2002년 10월 13일 대전 대 한화전 ABL / 2018년 11월 29일 멜버른 대 멜버른전 대타 | |||
마지막 경기 | KBO / 2018년 10월 2일 광주 대 KIA전 대주자 ABL / 2019년 | |||
획득 타이틀 | ||||
계약금 | 3,000만원 | |||
경력 | ||||
선수 경력
코치 경력
| ||||
한국 프로야구 시절편집
롯데 자이언츠 시절편집
2001년에 롯데 자이언츠의 2차 6라운드 49순위에 지명을 받아 포수로 입단하였다. 그러나 이대호에게 밀려 백업으로만 뛰었다.
두산 베어스 시절편집
최경환, 이승준을 상대로 김진수와 함께 2006년 5월에 트레이드됐다. 그러나 이 트레이드는 이승준이 2006년, 최경환은 2007년을 끝으로 방출당해 롯데 자이언츠에게는 실패한 트레이드가 됐고[1], 최경환은 KIA 타이거즈로 옮겨 현역 생활을 마무리했지만 이승준은 현역에서 은퇴했다. 이적 후 팀의 장타력에 기여했고 김진수는 1군으로 올라올 때마다 굵고 짧게 활약하여 인상을 남겼다. 고질적인 무릎 부상으로 2012년 말 병역 면제 판정을 받아 무릎 재활 치료를 했다. 2013년 시즌 중에는 오재일과의 1루 주전 경쟁으로 많은 경기에 출전하지 못했지만, 2013년 준 플레이오프 5차전에서 대타로 나와 강윤구를 상대로 결승 솔로 홈런을 기록해 68표 중 35표를 얻으면서 준 플레이오프 MVP로 선정됐다. 이후 플레이오프와 한국시리즈에서도 홈런을 쳐 내며 포스트시즌에서만 6홈런으로 2001년 타이론 우즈와 타이 기록을 이뤄 포스트시즌 최다 홈런을 기록했지만 팀이 7차전에서 패해 준 플레이오프 준우승에 머물렀다. 2013 시즌 후 FA를 선언했으나 팀과의 협상이 결렬됐고, 4년 총액 35억원(계약금 15억, 연봉 4억, 옵션 4억)의 조건으로 롯데 자이언츠와 계약해 친정 팀에 복귀했다.[2]
롯데 자이언츠 복귀편집
2014년에 복귀하였다. 2015년에 주장으로 활동했다.
NC 다이노스 시절편집
2018년에 사인 앤 트레이드(무상 트레이드)로 이적하였다.[3] 그러나 2018년 10월 13일에 재계약 불가를 통보받고 방출됐다.[4] 이후 질롱 코리아에 입단했다.
호주 프로야구 시절편집
질롱 코리아 시절편집
에피소드편집
- 2005년 5월 26일 LG 트윈스전에서 투수 신윤호를 상대로 역전 결승 2점 홈런을 쳐 냈는데, 이 홈런은 롯데 자이언츠가 8점차 열세를 뒤집은 홈런이었다. 롯데 자이언츠는 이 날 경기에서 선발 투수였던 장원준이 조기 강판당하며 4회까지 0:8로 끌려가고 있었다. 그런데 5회초에 선발 투수 장문석을 상대로 8득점을 하며 동점이 됐고, 이후 롯데 자이언츠 불펜진이 추가 실점을 해 LG 트윈스가 2점을 추가했으나, 9회초에 손인호의 적시타로 다시 동점을 만들었고, 계속된 찬스에서 그의 2점 홈런으로 역전승을 거둬 8점차의 대역전극을 연출했다. 이 경기는 그 당시 롯데 자이언츠의 돌풍이 절정에 도달했음을 의미하는 경기였다. 야구 팬들은 이날 롯데 자이언츠의 대역전승을 두고 '5.26 대첩'이라고 불렸다.
- 2013년 9월 23일 두산 베어스전에서 대타로 나와 3루 관중석 상단에 떨어지는 파울을 날렸다. 그는 타격 뒤 방망이를 집어던졌는데, 미국 언론들은 이례적으로 이를 성급한 홈런 세리머니라고 방송했다.[6]
출신 학교편집
통산 기록편집
연도 | 팀명 | 타율 | 경기 | 타수 | 득점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루타 | 타점 | 도루 | 도실 | 볼넷 | 사구 | 삼진 | 병살 | 실책 | 비고 |
---|---|---|---|---|---|---|---|---|---|---|---|---|---|---|---|---|---|---|---|
2002 | 롯데 | 0.333 | 2 | 3 | 0 | 1 | 0 | 0 | 0 | 1 | 0 | 0 | 0 | 0 | 0 | 0 | 0 | 0 | |
2004 | 0.211 | 10 | 19 | 3 | 4 | 0 | 0 | 2 | 10 | 2 | 0 | 0 | 0 | 1 | 1 | 2 | 1 | ||
2005 | 0.246 | 100 | 280 | 19 | 69 | 8 | 0 | 8 | 101 | 42 | 4 | 1 | 24 | 3 | 58 | 9 | 0 | ||
2006 | 두산 | 0.251 | 109 | 315 | 28 | 79 | 11 | 0 | 11 | 123 | 47 | 1 | 1 | 34 | 3 | 67 | 7 | 2 | |
2007 | 0.244 | 121 | 386 | 48 | 94 | 20 | 2 | 16 | 166 | 75 | 1 | 0 | 51 | 2 | 95 | 10 | 0 | ||
2008 | 0.225 | 67 | 169 | 16 | 38 | 5 | 0 | 6 | 61 | 23 | 1 | 0 | 23 | 1 | 46 | 8 | 0 | ||
2009 | 0.302 | 116 | 361 | 49 | 109 | 11 | 0 | 17 | 171 | 94 | 1 | 0 | 49 | 3 | 77 | 13 | 5 | ||
2010 | 0.321 | 127 | 424 | 63 | 136 | 26 | 1 | 22 | 230 | 82 | 0 | 5 | 50 | 5 | 83 | 17 | 2 | 골든글러브 (1루수) | |
2011 | 0.271 | 124 | 421 | 49 | 114 | 26 | 0 | 15 | 185 | 75 | 0 | 1 | 56 | 1 | 104 | 11 | 1 | ||
2012 | 0.250 | 89 | 248 | 15 | 62 | 3 | 1 | 6 | 85 | 30 | 1 | 0 | 25 | 2 | 47 | 9 | 3 | ||
2013 | 0.270 | 100 | 222 | 22 | 60 | 8 | 0 | 7 | 89 | 36 | 0 | 0 | 39 | 0 | 47 | 7 | 1 | ||
2014 | 롯데 | 0.286 | 121 | 371 | 54 | 106 | 13 | 0 | 23 | 188 | 90 | 1 | 0 | 81 | 2 | 88 | 14 | 0 | |
2015 | 0.306 | 144 | 507 | 78 | 155 | 18 | 1 | 31 | 268 | 109 | 0 | 0 | 108 | 1 | 134 | 17 | 0 | ||
2016 | 0.262 | 116 | 325 | 49 | 85 | 10 | 0 | 19 | 152 | 70 | 0 | 0 | 64 | 3 | 102 | 14 | 0 | ||
2017 | 0.291 | 125 | 409 | 43 | 119 | 15 | 0 | 14 | 176 | 82 | 0 | 0 | 49 | 1 | 89 | 24 | 1 | ||
2018 | NC | 0.255 | 93 | 153 | 7 | 39 | 3 | 0 | 4 | 54 | 24 | 0 | 0 | 24 | 0 | 41 | 6 | 0 | 통산200홈런 달성 |
통산 | 16시즌 | 0.275 | 1564 | 4613 | 543 | 1270 | 177 | 5 | 201 | 2060 | 881 | 10 | 8 | 677 | 28 | 1079 | 168 | 16 |
각주편집
- ↑ 두산 최준석 통해 보는 불균형 트레이드 역사 Archived 2009년 6월 1일 - 웨이백 머신 - 스포츠서울
- ↑ 쓸쓸히 롯데 떠났던 최준석, 7년 만에 금의환향 - OSEN
- ↑ KBO, 최준석 FA 계약 공시…NC로 사인 앤 트레이드 - OSEN
- ↑ NC, 한시즌 만에 최준석 방출…재계약 불가 통보 - 연합뉴스
- ↑ 최준석, 호주프로야구 질롱코리아서 현역 연장 - 연합뉴스
- ↑ 美방송들, 최준석 '성급한 배트 던지기'에 폭소 스포즈 조선 2013-09-27 2013-10-14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