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항 (972년)
최항(崔沆, 972년 ~ 1024년 7월 13일(음력 6월 5일))은 고려의 문신이다. 자(字)는 내융(來融)이며, 본관은 경주(慶州)이다. 최언위의 손자이자 최유부(崔有孚)의 아버지이고, 더불어 이작충(李作忠)의 장인이다.
최항
崔沆 | |
---|---|
前 고려국 정당문학 (前 高麗國 政堂文學) | |
임기 | 1010년 ~ 1023년 |
군주 | 고려 현종 왕순 |
섭정 | 강조(前) |
이름 | |
별명 | 자(字)는 내융(來融) |
신상정보 | |
출생일 | 972년 |
출생지 | 고려 개경 |
사망일 | 1024년 (53세) |
사망지 | 고려 개경 |
국적 | 고려 |
학력 | 991년 문과 장원 급제 |
경력 | 고려 시대 문관 관료 |
정당 | 무소속 |
본관 | 경주(慶州) |
친인척 | 최언위(친조부) 최치원(재종조부) 최승로(삼종질) |
종교 | 불교 |
생애 편집
신라 말 시대 '삼최(三崔)' 중에 하나였던 최언위의 손자로, 991년 성종 때 문과에 장원 급제하여 내사 사인이 되었다. 목종 때 지공지로 지명인사를 관료로써 많이 뽑았으며, 1009년 왕이 병석에 누워 있을 때 중추원사로서 김치양의 음모를 알아채고 채충순과 함께 현종을 즉위시켜 변을 막았다. 그 후 한림 학사·정당 문학 등을 지내고 추충진절위사 공신의 호를 받았다. 정당문학으로 있을 때 30년간 폐지되었던 '팔관회'를 부활시켰다.
현종의 명으로 유신(儒臣) 최항은 고려 태조 이하 7대조의 실록을 편찬하였다.[1]
성품이 성실하고 청렴하고 불심이 깊었으며,[2] 황룡사의 탑을 감독·수리하였다.
거란의 침략 때 원본이 불타버렸다던 〈훈요 10조〉는 우연히 경주 출신 최항의 집에서 발견되어 현종에게 바쳐졌다. 현종은 신라계를 외가로 하고, 지지기반 역시 신라계열의 신하들이었던 왕이다.
죽은 후 덕종 때 정광에 추증되었다.
최항이 등장한 작품 편집
참고자료 편집
각주 편집
이 글은 고려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 |
이 글은 정치인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