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정북도지사 선거는 충청북도의 도지사를 선출하는 선거이다.
역대 민선 충청북도지사
편집
역대 선거 결과
편집
1960년
편집
1960년에 실시된 1960년 대한민국 지방선거에서 조대연 후보가 충청북도지사로 당선되었다. 하지만 5.16 군사 정변 이후 충청북도지사는 다시 관선으로 선출하도록 바뀌었다.
1995년
편집
충청북도지사 선거
|
유권자수: 972,170명
|
후보 |
정당 |
득표 |
득표율 |
당락 |
비고
|
---|
|
주병덕 |
자유민주연합 |
250,105표 |
|
당선 |
|
|
이용희 |
민주당 |
168,209표 |
|
|
|
|
김덕영 |
민주자유당 |
159,911표 |
|
|
|
|
조남성 |
무소속 |
54,748표 |
|
|
|
|
윤석조 |
무소속 |
27,880표 |
|
|
|
|
양성연 |
무소속 |
25,603표 |
|
|
|
합계
|
686,456표 |
|
---|
1998년
편집
충청북도지사 선거
|
유권자수: 1,025,022명
|
후보 |
정당 |
득표 |
득표율 |
당락 |
비고
|
---|
|
이원종 |
자유민주연합 |
451,533표 |
|
당선 |
|
|
주병덕 |
한나라당 |
157,459표 |
|
|
|
합계
|
608,992표 |
|
---|
2002년
편집
충청북도지사 선거
|
유권자수: 1,076,451명
|
후보 |
정당 |
득표 |
득표율 |
당락 |
비고
|
---|
|
이원종 |
한나라당 |
343,546표 |
|
당선 |
|
|
구천서 |
자유민주연합 |
196,253표 |
|
|
|
|
장한량 |
무소속 |
46,459표 |
|
|
|
합계
|
586,258표 |
|
---|
2006년
편집
충청북도지사 선거
|
유권자수: 1,126,282명
|
후보 |
정당 |
득표 |
득표율 |
당락 |
비고
|
---|
|
정우택 |
한나라당 |
361,157표 |
|
당선 |
|
|
한범덕 |
열린우리당 |
185,426표 |
|
|
|
|
배창호 |
민주노동당 |
39,095표 |
|
|
|
|
조병세 |
국민중심당 |
19,646표 |
|
|
|
합계
|
605,324표 |
|
---|
2010년
편집
충청북도지사 선거
|
유권자수: 1,183,811명
|
후보 |
정당 |
득표 |
득표율 |
당락 |
비고
|
---|
|
이시종 |
민주당 |
349,913표 |
|
당선 |
|
|
정우택 |
한나라당 |
313,646표 |
|
|
|
|
김백규 |
진보신당 |
19,551표 |
|
|
|
합계
|
683,110표 |
|
---|
2014년
편집
충청북도지사 선거
|
유권자수: 1,261,119명
|
후보 |
정당 |
득표 |
득표율 |
당락 |
비고
|
---|
|
이시종 |
새정치민주연합 |
361,115표 |
|
당선 |
|
|
윤진식 |
새누리당 |
346,152표 |
|
|
|
|
신장호 |
통합진보당 |
18,590표 |
|
|
|
합계
|
725,857표 |
|
---|
2018년
편집
충청북도지사 선거
|
유권자수: 1,318,186명
|
후보 |
정당 |
득표 |
득표율 |
당락 |
비고
|
---|
|
이시종 |
더불어민주당 |
468,750표 |
|
당선 |
|
|
박경국 |
자유한국당 |
227,371표 |
|
|
|
|
신용한 |
바른미래당 |
70,330표 |
|
|
|
합계
|
766,451표 |
|
---|
2022년
편집
충청북도지사 선거
|
유권자수: 1,368,779명
|
후보 |
정당 |
득표 |
득표율 |
당락 |
비고
|
---|
|
김영환 |
국민의힘 |
395,517표 |
|
당선 |
|
|
노영민 |
더불어민주당 |
284,166표 |
|
|
|
합계
|
679,683표 |
|
---|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