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경 비음(齒莖鼻音)은 자음의 하나로 이나 잇몸에서 조음되는 비음이다.
- 조음 방법은 조음기관 내의 공기의 흐름을 차단하여 만드는 파열음이다.
- 발성 기관 속의 공기의 흐름을 차단하고, 일부를 코로 흐르게 했다가 내는 비음이다.
- 혀를 치조나 그 주변에 대는 치경음이다.
- 조음할 때 성대가 울리는 유성음이다.
- 코와 입을 통하여 공기가 빠져나가는 비강음이다.
- 기류가 혀 옆이 아니라 중앙으로 빠져나가는 중설음이다.
- 발성 방법은 인후나 입이 아니라 폐로부터 발성기관으로 공기가 빠져나가는 폐장기류음이다.
발음의 예편집
- 한국어: ㄴ 뒤에 /i, j/가 오지 않을 때, 뒤에 초성 'ㄴ'이 오는 받침 'ㄷ'이 이 소리가 난다.
- 일본어: 'な(ナ)'행의 모든 소리, t, d, n 앞에 오는 'ん(ン)'이 이 소리가 난다.
- 유럽어: désin, ancore, español처럼, 'n'이 비모음, 연구개화, 경구개화하는 것을 제외하고 모든 'n'이 이 소리가 난다.
- 중국어: 병음 'n'이 이 소리가 난다.
- 러시아어: Н가 이 소리가 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