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타르 축구 국가대표팀

카타르의 남자 축구 대표팀

카타르 축구 국가대표팀카타르를 대표하는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카타르 축구 협회에서 운영한다. 중동의 강호로 손꼽히는 팀들 가운데 하나로 1970년 3월 27일 바레인과의 친선 경기에서 첫 국제 A매치 데뷔전을 치렀으며 현재 칼리파 국제 경기장을 홈 구장으로 사용하고 있다.

카타르
별칭Annabi (The Maroon)
협회카타르 축구 협회
대륙 연맹아시아 축구 연맹
감독포르투갈 카를루스 케이로스
주장하산 알하이도스
최다 출전자하산 알하이도스 (172)
최다 득점자만수르 무프타 & 알모에즈 알리 (42)
홈 구장칼리파 국제경기장
FIFA 코드QAT
FIFA 랭킹
현재이 페이지에서 확인하세요
최고 순위51위 (1993년 8월)
최저 순위114위 (2010년 12월)
첫 국제 경기 출전
바레인 2 - 1 카타르
(바레인; 1970년 3월 27일)
최다 점수차 승리
카타르 15 - 0 부탄
(카타르; 2015년 9월 3일, 2018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최다 점수차 패배
쿠웨이트 9 - 0 카타르
(쿠웨이트; 1973년 1월 8일)
FIFA 월드컵
출전 횟수1회 (2022년에 처음 출전)
최고 성적조별리그 (2022년)
AFC 아시안컵
출전 횟수10회 (1980년에 처음 출전)
최고 성적우승 (2019년)

국제 대회 경력 편집

FIFA 월드컵 편집

홈에서 열린 2022년 대회를 통해 사상 첫 월드컵 본선 데뷔전을 가졌고 1954년 대회 개최국 스위스를 제치고 '역대 월드컵을 개최한 가장 작은 나라'에 선정되었지만 A조 조별리그에서 에콰도르, 세네갈, 네덜란드에 모두 패하면서 3전 전패·조 최하위로 2010년 대회 개최국 남아프리카 공화국에 이어 2번째로 월드컵 조별리그에서 탈락한 개최국이 되었으며 이와 함께 월드컵 개최국으로는 처음으로 3전 전패 및 대회 최하위의 불명예 기록까지 떠안았다.

AFC 아시안컵 편집

아시안컵 본선에는 10번 출전하여 이 중 2019년 대회에서 메이저 대회 첫 우승컵을 들어올렸고 2000년 대회와 홈에서 열린 2011년 대회에서는 8강에 이름을 올렸다.

FIFA 아랍컵 편집

FIFA 아랍컵에는 1985년 대회 첫 출전 이후 현재까지 3번의 대회에 출전하여 이 중 1998년 대회에서 준우승을 차지했고 홈에서 열린 2021년 대회에서는 3위에 입상하는 등 3번의 대회에서 모두 4강 이상의 성적을 거두었다.

코파 아메리카 편집

코파 아메리카에는 2019년 대회에 처음으로 출전하면서 일본에 이어 코파 아메리카에 초청된 2번째 아시아 국가가 되었으나 이 대회에서 1무 2패로 조별리그 탈락의 쓴 잔을 마셨다.

하계 올림픽 편집

올림픽 본선에는 U-23 대표팀까지 포함해 2번 출전했고 이 중 1992년 대회에서 8강에 올랐지만 그 이후의 올림픽 본선 출전 기록은 현재까지도 전무하다.

아시안 게임 편집

성인대표팀 시절에는 4번 출전하여 1998년 대회에서 8강에 진출했고 U-23 대표팀으로는 역시 4번 출전하여 홈에서 열린 2006년 대회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기타 국제 대회 경력 편집

아라비안 걸프컵에는 23번 출전하여 이 중 3번의 대회(1992년, 2004년, 2014년)에서 우승을 차지했고 4번의 대회(1984년, 1990년, 1996년, 2002년)에서는 준우승을 차지했고 서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에는 2번 참가하여 2014년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했으며 팬아랍 게임에도 2번 참가했지만 2번 모두 조별리그에서 탈락했다.

카타르 축구 국가대표팀 최근 경기 결과 편집

  승   무   패

2022년 편집

선수단 편집

현재 선수 명단 편집

카타르의 최종 명단은 11월 11일에 발표되었다.[1] 경기 참가회수와 골 수는 2022년 11월 6일   파나마와 친선경기 결과 이후 기준이다.

번호 위치 선수 생년월일 (나이) 출전 득점 소속
1 GK 사드 알시브 1990년 2월 19일(1990-02-19)(32세) 75 0   알사드
2 DF 호호 1990년 8월 6일(1990-08-06)(32세) 79 1   알사드
3 DF 압델카림 하산 1993년 8월 28일(1993-08-28)(29세) 125 15   알사드
4 MF 모하메드 와드 1999년 9월 18일(1999-09-18)(23세) 21 0   알사드
5 DF 타레크 살만 1997년 12월 5일(1997-12-05)(24세) 58 0   알사드
6 MF 압둘아지즈 하팀 1990년 1월 1일(1990-01-01)(32세) 107 11   알라이얀
7 FW 아흐메드 알라엘딘 1993년 1월 31일(1993-01-31)(29세) 47 2   알가라파
8 MF 알리 아사달라 1993년 1월 19일(1993-01-19)(29세) 59 12   알사드
9 FW 모하메드 문타리 1993년 12월 20일(1993-12-20)(28세) 48 13   알두하일
10 FW 하산 알하이도스 (주장) 1990년 12월 11일(1990-12-11)(31세) 169 36   알사드
11 FW 아크람 아피프 1996년 11월 18일(1996-11-18)(26세) 89 26   알사드
12 MF 카림 부디아프 1990년 9월 16일(1990-09-16)(32세) 115 6   알두하일
13 DF 무사브 케데르 1993년 1월 1일(1993-01-01)(29세) 30 0   알사드
14 DF 호맘 아흐메드 1999년 8월 25일(1999-08-25)(23세) 29 2   알가라파
15 DF 바삼 알라위 1997년 12월 16일(1997-12-16)(24세) 58 2   알두하일
16 DF 부알렘 쿠키 1990년 7월 9일(1990-07-09)(32세) 100 20   알사드
17 DF 이스마엘 모하마드 1990년 4월 5일(1990-04-05)(32세) 70 4   알두하일
18 FW 칼리드 무니르 1998년 2월 24일(1998-02-24)(24세) 2 0   알와크라
19 FW 알무이즈 알리 1996년 8월 19일(1996-08-19)(26세) 85 42   알두하일
20 MF 살렘 알하지리 1996년 4월 10일(1996-04-10)(26세) 22 0   알사드
21 GK 유세프 하산 1996년 5월 24일(1996-05-24)(26세) 7 0   알가라파
22 GK 메샬 바르샴 1998년 2월 14일(1998-02-14)(24세) 13 0   알사드
23 MF 아심 마디보 1996년 10월 22일(1996-10-22)(26세) 43 0   알두하일
24 FW 나이프 알하드라미 2001년 7월 18일(2001-07-18)(21세) 1 0   알라이얀
25 DF 자셈 가베르 2002년 2월 20일(2002-02-20)(20세) 0 0   알아라비
26 MF 모스타파 메샬 2001년 3월 28일(2001-03-28)(21세) 1 0   알사드

FIFA 월드컵 (본선) 편집

년도 결과 순위 경기 무* 득점 실점 승점
  1930년 독립 이전
  1934년
  1938년
  1950년
  1954년
  1958년
  1962년
  1966년
  1970년
  1974년 불참
  1978년 예선 탈락
  1982년
  1986년
  1990년
  1994년
  1998년
   2002년
  2006년
  2010년
  2014년
  2018년
  2022년 조별리그 32위 3 0 0 3 1 7 0
    2026년 미정
합계 3 0 0 3 1 7 0

FIFA 월드컵 지역예선 편집

년도 경기 무* 득점 실점 승점
  1930년 독립 이전
  1934년
  1938년
  1950년
  1954년
  1958년
  1962년
  1966년
  1970년
  1974년 불참
  1978년 4 1 0 3 3 9 3
  1982년 4 2 0 2 5 3 6
  1986년 4 2 0 2 6 3 6
  1990년 11 4 6 1 12 8 18
  1994년 8 5 1 2 22 8 16
  1998년 11 6 1 4 21 10 19
   2002년 14 7 4 3 24 13 25
  2006년 6 3 0 3 16 8 9
  2010년 16 6 4 6 16 20 22
  2014년 16 5 5 6 19 20 20
  2018년 18 9 1 8 37 19 28
  2022년 자동참가(개최국)[2]
    2026년 미정
합계 112 50 22 40 181 121 172
순위 월드컵 예선 승점 순위 : 50위 (아시아 7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편집

년도 결과 순위 경기 무* 득점 실점 승점
  1992년 예선 탈락
  1995년
  1997년
  1999년
   2001년
  2003년
  2005년
  2010년
  2013년
  2017년
합계

AFC 아시안컵 (본선) 편집

AFC 아시안컵 본선 기록
년도 결과 순위 경기 무* 득점 실점 승점
  1956년 독립 이전
  1960년
  1964년
  1968년
  1972년
  1976년 예선 탈락
  1980년 조별리그 8위 4 1 1 2 3 8 4
  1984년 조별리그 5위 4 1 2 1 3 3 5
  1988년 조별리그 5위 4 2 0 2 7 6 6
  1992년 조별리그 6위 3 0 2 1 3 4 2
  1996년 예선 탈락
  2000년 8강 8위 4 0 3 1 3 5 3
  2004년 조별리그 14위 3 0 1 2 2 4 1
     2007년 조별리그 14위 3 0 2 1 3 4 2
  2011년 8강 7위 4 2 0 2 7 5 6
  2015년 조별리그 13위 3 0 0 3 2 7 0
  2019년 우승 1위 7 7 0 0 19 1 21
  2023년 본선 진출[3]
합계 10회 진출(10/12[4]) 우승(1회) 39 13 11 15 52 47 50
순위 AFC 아시안컵 역대 순위 : 9위

AFC 아시안컵 (예선) 편집

AFC 아시안컵 예선 기록
년도 경기 무* 득점 실점 승점
  1956년 독립 이전
  1960년
  1964년
  1968년
  1972년
  1976년 6 2 1 3 5 8 7
  1980년 4 3 1 0 10 2 10
  1984년 4 3 0 1 11 1 9
  1988년 자동참가(개최국)
  1992년 2 2 0 0 8 2 6
  1996년 4 2 0 2 5 4 6
  2000년 4 3 1 0 11 3 10
  2004년 6 3 2 1 10 6 11
     2007년 6 5 0 1 14 4 15
  2011년 자동참가(개최국)
  2015년 6 4 1 1 13 2 13
  2019년 8 7 0 1 29 4 21
  2023년 8 7 1 0 18 1 22[5]
합계 58 41 7 10 134 37 130

CONMEBOL 코파 아메리카 편집

  • 1993년 초청카드 2장이 생긴 이래 아시아 국가로는 일본에 이어 두번째로 초청장을 받았다.
코파 아메리카 기록
년도 결과 순위 경기 무* 득점 실점 승점
  2019년 조별리그 10위 3 0 1 2 2 5 1
합계

하계 올림픽 편집

올림픽 축구 기록
년도 결과 순위 경기 무* 득점 실점 승점
  1900년 독립 이전
  1904년
  1908년
  1912년
  1920년
  1924년
  1928년
  1936년
  1948년
  1952년
  1956년
  1960년
  1964년
  1968년
  1972년 불참
  1976년
  1980년 진출 실패
  1984년 조별리그 15위 3 0 1 2 2 5 1
  1988년 진출 실패
  1992년[6] 8강 8위 4 1 1 2 2 5 4
  1996년[7] 진출 실패
  2000년[8]
  2004년[9]
  2008년[10]
  2012년[11]
  2016년[12]
합계 2회 진출(2/12[13]) 8강(1회) 7 1 2 4 4 10 5

아시안 게임 편집

아시안 게임 기록
년도 결과 순위 경기 무* 득점 실점 승점
  1951년 독립 이전
  1954년
  1958년
  1962년
  1966년
  1970년
  1974년 불참
  1978년 조별리그 11위 3 0 1 2 3 7 1
  1982년 불참
  1986년 조별리그 13위 3 0 2 1 2 3 2
  1990년 기권
  1994년 조별리그 13위 3 0 3 0 5 5 3
  1998년 8강 5위 6 4 1 1 9 4 13
합계 7회 출전(7/12[14] 금메달(1회) 31 12 12 7 53 30 39
합계 8회 출전(7/12[15]) 우승(1회) 31 12 12 7 53 30 39

UAFA 걸프컵 편집

걸프컵 기록
년도 결과 순위 경기 무* 득점 실점 승점
  1970년 결선리그 4위 3 0 1 2 4 7 1
  1972년 결선리그 4위 3 0 0 3 0 10 0
  1974년 준결승 3위 4 1 1 2 6 5 4
  1976년 결선리그 3위 6 4 1 1 11 6 13
  1979년 결선리그 5위 6 2 1 3 4 13 7
  1982년 결선리그 5위 6[16] 2 0 4 6 6 6
  1984년 결선리그 준우승 7 4 2 1 10 6 14
  1986년 결선리그 4위 6 1 4 1 4 5 7
  1988년 결선리그 6위 6 1 2 3 4 8 5
  1990년 결선리그 준우승 4 1 2 1 4 4 5
  1992년 결선리그 우승 5 4 0 1 8 1 12
  1994년 결선리그 4위 5 1 1 3 6 8 4
  1996년 결선리그 준우승 5 3 1 1 9 5 10
  1998년 결선리그 6위 5 0 3 2 3 8 3
  2002년 결선리그 준우승 5 4 0 1 7 4 12
  2003년 결선리그 3위 6 2 3 1 5 3 9
  2004년 우승 1위 5 2 3 0 10 7 9
  2007년 예선탈락 8위 3 0 1 2 2 4 1
  2009년 준결승 3위 4 1 2 1 2 2 5
  2010년 예선탈락 5위 3 1 1 1 3 3 4
  2013년 예선탈락 6위 3 1 0 2 3 5 3
  2014년 우승 1위 5 2 3 0 6 3 9
  2017년 본선진출(개최국)
합계 23회 출전(23/23) 우승(3회) 105 37 32 36 117 123 143

WAFF 서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 편집

서아시안컵 기록
년도 결과 순위 경기 무* 득점 실점 승점
  2000년 불참
  2002년
  2004년
  2007년
  2008년 준결승 4위 3 1 0 2 2 9 3
  2010년 불참
  2012년
  2014년 우승 1위 4 4 0 0 10 1 12
  2017년 불참
합계 2회 출전(2/9) 우승(1회) 7 5 0 2 12 10 15

UAFA 아랍 네이션스컵 편집

아랍 네이션스컵 기록
년도 결과 순위 경기 무* 득점 실점 승점
  1963년 독립 이전
  1964년
  1966년
  1985년 준결승 4위 4 1 2 1 3 2 5
  1988년 불참
  1992년
  1998년 준우승 2위 4 3 0 1 7 5 9
  2002년 불참
  2012년
합계 2회 출전(2/9) 준우승(1회) 8 4 2 2 10 7 14

판 아랍 게임 편집

판 아랍 게임 기록
년도 결과 순위 경기 무* 득점 실점 승점
  1953년 독립 이전
  1957년
  1961년
  1965년
  1976년 불참
  1985년
  1992년
  1997년
  1999년 조별리그 10위 2 0 0 2 2 4 0
  2004년 축구 종목 제외
  2007년 불참
  2011년 조별리그 6위 2 0 2 0 2 2 2
합계 2회 출전(2/7[17]) 조별리그(2회) 4 0 2 2 4 6 2

각주 편집

  1. QFA_EN (2022년 11월 11일). “Our national team squad for the #2022WorldCup” (트윗). 
  2. 7승1무0패
  3. 2022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이 2023년 AFC 아시안컵 예선을 겸하여 열리기 때문에 카타르는 2022년 FIFA 월드컵에서 개최국 자격으로 자동 출전하지만 AFC 아시안컵 출전 자격을 획득하기 위해 예선에 참가할 예정이다.
  4. 본선 진출 횟수 비율. 독립 이후로 계산
  5. 2022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이 2023년 AFC 아시안컵 예선을 겸하여 열리기 때문에 카타르는 2022년 FIFA 월드컵에서 개최국 자격으로 자동 출전하지만 AFC 아시안컵 출전 자격을 획득하기 위해 예선에 참가하였다.
  6.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7.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8.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9.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10.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11.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12.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13. 본선 진출 횟수. 독립 이후로 계산
  14. 본선 진출 횟수 비율. 독립 이후로 계산
  15. 본선 진출 횟수 비율. 독립 이후로 계산
  16. 이라크(중도기권) 경기 포함
  17. 본선진출 횟수 비율. 독립 이후로 계산

틀:AFC 아시안컵 개최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