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타블레파리스류

카타블레파리스류(katablepharids)는 종속영양 편모충류 분류군의 일종으로,[2] 1939년 보고된 이래 은편모조류의 일부로 간주하고 있다. 그러나 다른 은편모조류와는 다르고, 일부는 피하낭류로 분류하기도 했지만, 21세기초의 최근 연구에 의하면 은편모조류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3][4]

카타블레파리스류

생물 분류ℹ️
역: 진핵생물
(미분류): 하크로비아
(미분류): 크립티스타
문: 카타블레파리스문
(Katablepharidophyta)
N.Okamoto & I.Inouye 2005[1]
강: 카타블레파리스강
(Katablepharidophyceae)
또는 레우코크립토스강
(Leucocryptea)
목: 카타블레파리스목
(Katablepharida)
과: 카타블레파리스과
(Katablepharidae)
Vors, 1992

계통 분류 편집

2016년 실라(Silar)에 의한 하크로비아의 계통 분류는 다음과 같다.[5][6]

하크로비아
넓은 의미의 크립티스타
코르비헬리아
엔도헬레아상강

엔도헬레아강

코르비스토마상강

피코모나스강

텔로네마강

좁은 의미의 크립티스타
팔피토아문

팔피토강

롤로모나스아문
레우크립토스상강

레우코크립토스강

은편모조류

고니오모나스강

은편모조강

합티스타
육질태양충류

육질태양충강

착편모조아문
Rappemonada

Rappephyceae

Haptomonada

파블로바강

후각편모조강

각주 편집

  1. “Phylum: Katablepharidophyta”. AlgaeBase. 2020년 11월 9일에 확인함. 
  2. Okamoto N, Chantangsi C, Horák A, Leander BS, Keeling PJ. (2009). Stajich, Jason E., 편집. “Molecular Phylogeny and Description of the Novel Katablepharid Roombia truncata gen. et sp. nov., and Establishment of the Hacrobia Taxon nov.”. 《PLoS ONE》 4 (9): e7080. Bibcode:2009PLoSO...4.7080O. doi:10.1371/journal.pone.0007080. PMC 2741603. PMID 19759916. 
  3. Noriko Okamoto and Isao Inouye (2005). “The Katablepharids are a Distant Sister Group of the Cryptophyta: A Proposal for Katablepharidophyta Divisio Nova/Kathablepharida Phylum Novum Based on SSU rDNA and Beta-Tubulin Phylogeny”. 《Protist》 156 (2): 163–79. doi:10.1016/j.protis.2004.12.003. PMID 16171184. 
  4. Reeb, Vc; Peglar, Mt; Yoon, Hs; Bai, Jr; Wu, M; Siu, P; Grafenberg, Jl; Reyes-Prieto, A; Rümmele, Se; Gross, J; Bhattacharya, D (2009년 5월). “Interrelationships of chromalveolates within a broadly sampled tree of photosynthetic protists.”. 《Molecular Phylogenetics & Evolution》 53 (1): 202–11. doi:10.1016/j.ympev.2009.04.012. ISSN 1055-7903. PMID 19398025. 
  5. Silar, Philippe (2016), “Protistes Eucaryotes: Origine, Evolution et Biologie des Microbes Eucaryotes”, 《HAL archives-ouvertes》: 1–462 
  6. Ruggiero; 외. (2015), “Higher Level Classification of All Living Organisms”, 《PLoS ONE》 10 (4): e0119248, doi:10.1371/journal.pone.0119248, PMC 4418965, PMID 25923521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