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디오 게임 등급 제도
(컴퓨터·비디오 게임 등급 심의 체계에서 넘어옴)
이 문서는 색상의 오·남용으로 인해 색각 이상인 사용자가 읽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2024년 5월 10일) |
컴퓨터·비디오 게임 등급 제도는 비디오 게임을 그 적합한 등급으로 분류하기 위해 사용되는 체계이다. 등급을 분류하는 주된 이유는 소비자가 자신에게 적합한 내용을 가진 게임을 선택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인데, 그 실질적인 효과가 의심[1][2] 받고 있기도 하다.

게임 심의는 ESRB나 TIGRS 등과 같은 민간 심의 기구가 심의하기도 하고, 국가 산하 기구가 있는 국가도 있다. 예컨대, 대한민국의 게임물관리위원회는 문화체육관광부 산하의 기구이다.
세계의 게임 등급 심의 단체
편집- 대한민국
- 미국/캐나다
- 일본
- 컴퓨터 오락 등급 기구: 가정용 게임을 심의하기 위한 민간 자율 심의 기구.
- 컴퓨터 소프트웨어 윤리기구: PC용 게임, 특히 성인용 게임을 중심으로 심의.
- 콘텐츠 소프트 협동조합: PC용 게임을 중심으로 심의, 내부의 미디어 윤리위원회가 심의를 담당한다.
- 유럽
- 독일
- Unterhaltungssoftware Selbstkontrolle: 독일의 정부 심의 단체.
- 영국
- 영국영상등급분류위원회: 영국의 미디어 심의 단체. 영화, DVD와 함께 PEGI에서 심의하지 않는 게임물을 심의한다.
- 핀란드
- 오세아니아
심의 체계의 비교
편집이 문단의 일부는 오래된 정보를 가지고 있어 최신 정보로 교체해야 합니다. |
아래 표는 심의 단체별로 사용하는 등급들과 각 등급에 지정된 연령을 비교한 것이다.
국가/연령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3] | 참고 |
---|---|---|---|---|---|---|---|---|---|---|---|---|---|---|---|---|---|---|---|
ESRB | E | E10+ | T | M | AO | ||||||||||||||
ACB | G | PG | M | MA15+ | R18+ | 오스트레일리아 정부는 R18+ 등급을 초과하는 X18+ 등급을 받은 성인용 게임은 판매하거나 전시할 수 없도록 규제하고 있다. | |||||||||||||
OFLCNZ | G | PG | M | R13 | R15 | R16 | R18 | ||||||||||||
BBFC | U | PG | 12 | 15 | 18 | ||||||||||||||
ELSPA[4] | 3+ | 7+ | 11+ | 12+ | 15+ | 16+ | 18+ | ||||||||||||
PEGI | 3+ | 7+ | 12+ | 16+ | 18+ | 포르투갈의 경우 3+→4+, 7+→6+. | |||||||||||||
VET | PEGI의 체계를 사용. | ||||||||||||||||||
USK | 0 | 6 | 12 | 16 | 18 | 영화를 분류하는 등급과 동일하다. | |||||||||||||
MJ/DEJUS | ER / L | 10 | 12 | 14 | 16 | 18 | TV와 영화를 분류하는 등급과 동일하다. | ||||||||||||
CERO | A | B | C | D | Z | 2006년 3월부터 사용 | |||||||||||||
EOCS | G | 12 | 15 | 18 | PC 게임 등급 사용 | ||||||||||||||
GRAC | 전체이용가 (全體利用可) |
12세이용가 (12歲利用可) |
15세이용가 (15歲利用可) |
청소년이용불가 (靑少年利用不可) |
2006년부터 사용,청소년 이용 불가 등급을 웃도는 발매 및 판매 또는 유통 불가 등급은 발매 자체를 거부해 사용이 불가능하다. | ||||||||||||||
GSRR | 普遍 (보편) |
保護 (보호) |
輔12 (보도 12) |
輔15 (보도 15) |
限制 (한제) |
"보도" 이상의 등급은 보호자를 동반해야 한다. | |||||||||||||
ESRA | +3 | +7 | +12 | +15 | +18 & +25 | 강한 폭력성이나 성적 내용, 노출이 포함된 게임은 금지된다. | |||||||||||||
TIGRS | Family Friendly | Teen Content | Adult Content | 독립 게임 개발자들이 제작한 게임을 위해 고안된 체계 | |||||||||||||||
애플 | 4+ | 9+ | 12+ | 17+ | 앱 스토어를 통해 배급되는 게임을 위해 만든 등급 체계이다. |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David A. Walsh and Douglas A. Gentile. “A Validity Test of Movie, Television, and Video-Game Ratings” (PDF) (영어). 2007년 2월 26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4월 23일에 확인함.
- ↑ 김상현 (2005년 6월 13일). “말뿐인 18세 이용가 성인등급 넷마블 게임 초등학생 점령”. 경함게임스. 2007년 9월 28일에 원본 문서 (HTML)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9월 10일에 확인함.
- ↑ 성인을 규정하는 연령은 국가마다 다르다.
- ↑ “computer and video games industry age ratings and codes of practice” (PDF) (영어). ELSPA. 2007년 4월 11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4월 24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비디오 게임 등급 제도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