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르비헬리아

코르비헬리아(Corbihelia)는 진핵생물 분류군의 하나이다.[1][2]

Infobox-Eukaryote.png
코르비헬리아
생물 분류ℹ️
역: 진핵생물
(미분류): 하크로비아
(미분류): 크립티스타
문: 코르비헬리아
(Corbihelia)
Cavalier-Smith, 2015
sensu Ruggerio et al., 2015
  • 본문 참조

하위 분류편집

2015년 토머스 캐빌리어 스미스(Cavalier-Smith)와 차오(Chao), 루이스(Lewis) 등의 연구에 기반한 하위 분류는 다음과 같다.[1]

계통 분류편집

다음은 아들(Adl et al. 2012)과 부르키(Burki, 2014/2016) 등의 진핵생물 계통 분류이다.[3][4][5]

진핵생물
AH/SAR
원시색소체생물

홍조식물

피코조아


회청조식물

녹색식물 (좁은 의미의 식물)



크립티스타 



합티스타 


TSAR

텔로네마류

SAR
할바리아

부등편모조류

피하낭류

리자리아


디스코바

단편모생물

아메바류

오바조아

아푸소모나스목

후편모생물

홀로미코타(균류 포함)

홀로조아(동물 포함)

2016년 실라(Silar)에 의한 하크로비아의 계통 분류는 다음과 같다.[6][7]

하크로비아
넓은 의미의 크립티스타
코르비헬리아
엔도헬레아상강

엔도헬레아강

코르비스토마상강

피코모나스강

텔로네마강

좁은 의미의 크립티스타
팔피토아문

팔피토강

롤로모나스아문
레우크립토스상강

레우코크립토스강

은편모조류

고니오모나스강

은편모조강

합티스타
육질태양충류

육질태양충강

착편모조아문
Rappemonada

Rappephyceae

Haptomonada

파블로바강

후각편모조강

각주편집

  1. Cavalier-Smith; Chao; Lewis (2015). “Multiple origins of Heliozoa from flagellate ancestors: New cryptist subphylum Corbihelia, superclass Corbistoma, and monophyly of Haptista, Cryptista, Hacrobia and Chromista”. 《Molecular Phylogenetics and Evolution》 93: 331–362. doi:10.1016/j.ympev.2015.07.004. PMID 26234272. 
  2. Yabuki, A.; 외. (2012). “Microheliella maris (Microhelida ord. n.), an ultrastructurally highly distinctive new axopodial protist species and genus, and the unity of phylum Heliozoa”. 《Protist》 163 (3): 356–388. doi:10.1016/j.protis.2011.10.001. PMID 22153838. 
  3. Burki, F. (2014). “The eukaryotic tree of life from a global phylogenomic perspective”. 《Cold Spring Harbor Perspectives in Biology》 6: 1–17. doi:10.1101/cshperspect.a016147. 
  4. Burki, Fabien; Kaplan, Maia; Tikhonenkov, Denis V.; Zlatogursky, Vasily; Minh, Bui Quang; Radaykina, Liudmila V.; Smirnov, Alexey; Mylnikov, Alexander P.; Keeling, Patrick J. (2016년 1월 27일). “Untangling the early diversification of eukaryotes: a phylogenomic study of the evolutionary origins of Centrohelida, Haptophyta and Cryptista”. 《Proc. R. Soc. B》 283 (1823): 20152802. doi:10.1098/rspb.2015.2802. PMC 4795036. PMID 26817772. 
  5. Karnkowska, Anna; Vacek, Vojtěch; Zubáčová, Zuzana; Treitli, Sebastian C.; Petrželková, Romana; Eme, Laura; Novák, Lukáš; Žárský, Vojtěch; Barlow, Lael D. (2016). “A Eukaryote without a Mitochondrial Organelle”. 《Current Biology》 26 (10): 1274–1284. doi:10.1016/j.cub.2016.03.053. 
  6. Silar, Philippe (2016), “Protistes Eucaryotes: Origine, Evolution et Biologie des Microbes Eucaryotes”, 《HAL archives-ouvertes》: 1–462 
  7. Ruggiero; 외. (2015), “Higher Level Classification of All Living Organisms”, 《PLoS ONE》 10 (4): e0119248, doi:10.1371/journal.pone.0119248, PMC 4418965, PMID 259235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