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역학 에서 큰 바른틀 앙상블 (grand canonical ensemble) 또는 대정준 앙상블 (大正準-)이란 바른틀 앙상블 에서 입자수가 고정되어 있지 않은 열린계 로 이루어진 통계적 앙상블을 말한다. 따라서 계는 무한히 큰 열원과 열(에너지)뿐만 아니라 입자도 교환한다. 대신 입자수의 변동과 관련된 화학 퍼텐셜 이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계의 입자수를 확정하기 힘들 때 큰 바른틀 앙상블을 사용하는 것이 용이하다.
계가 에너지
E
i
{\displaystyle E_{i}\,}
, 입자수
N
r
{\displaystyle N_{r}\,}
인 미시상태
(
i
,
r
)
{\displaystyle (i,r)\,}
에 있을 확률은 다음과 같다.
p
i
,
r
=
1
Z
G
e
−
β
(
E
i
−
μ
N
r
)
{\displaystyle p_{i,r}={\tfrac {1}{Z_{G}}}e^{-\beta (E_{i}-\mu N_{r})}}
여기서
Z
G
{\displaystyle Z_{G}\,}
는 확률의 총합이 1이 되도록 나누어준 상수값으로 계의 온도
T
{\displaystyle T\,}
, 부피
V
{\displaystyle V\,}
, 화학 퍼텐셜
μ
{\displaystyle \mu \,}
에 의해 결정된다. 이 값을 큰 분배함수 라고 부른다.
Z
G
=
∑
i
,
r
e
−
β
(
E
i
−
μ
N
r
)
=
∑
i
,
r
e
−
(
E
i
−
μ
N
r
)
/
k
B
T
{\displaystyle Z_{G}=\sum _{i,r}e^{-\beta (E_{i}-\mu N_{r})}=\sum _{i,r}e^{-(E_{i}-\mu N_{r})/{k_{B}T}}}
큰 분배함수 는 바른틀 앙상블 의 분배함수에 통계적 가중인자
z
{\displaystyle z\,}
를 곱하여
N
{\displaystyle N\,}
을 바꿔가며 더한 결과와 같다.
Z
G
(
T
,
V
,
μ
)
=
∑
N
=
0
∞
z
N
Z
(
T
,
V
,
N
)
=
∑
N
=
0
∞
∑
i
z
N
exp
(
−
E
i
/
k
B
T
)
{\displaystyle Z_{G}(T,V,\mu )=\sum _{N=0}^{\infty }z^{N}\,Z(T,V,N)=\sum _{N=0}^{\infty }\sum _{i}z^{N}\,\exp(-E_{i}/k_{B}T)}
.
여기서 통계적 가중인자
z
{\displaystyle z\,}
는 퓨가시티 라고 부르며 다음과 같다.
z
=
d
e
f
exp
(
β
μ
)
{\displaystyle z{\stackrel {\mathrm {def} }{=}}\exp(\beta \mu )\,}
따라서 화학 퍼텐셜 을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μ
=
k
B
T
ln
z
{\displaystyle \mu =k_{B}T\ln z\,}
큰 퍼텐셜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Φ
G
=
d
e
f
E
−
T
S
−
μ
N
{\displaystyle \Phi _{G}{\stackrel {\mathrm {def} }{=}}\ E-TS-\mu N}
바른틀 앙상블에서 열역학 함수인 자유에너지 를 분배함수로 표현한 것과 같이, 큰 바른틀 앙상블에서는 열역학 함수인 큰 퍼텐셜 (grand potential)을 큰 분배함수로 표현할 수 있다.
Φ
G
(
T
,
V
,
μ
)
=
−
k
B
T
ln
Z
G
{\displaystyle \Phi _{G}(T,V,\mu )=-k_{B}T\ln Z_{G}\,}
한편, 밀도 연산자 표현식은 다음과 같다.
ρ
=
e
−
β
(
H
−
μ
N
)
T
r
(
e
−
β
(
H
−
μ
N
)
)
{\displaystyle \rho ={{e^{-\beta (H-\mu N)}} \over {Tr(e^{-\beta (H-\mu N)})}}}
엔트로피 와 큰 퍼텐셜 의 정의로부터 큰 분배함수로 표현된 큰 퍼텐셜을 유도할 수 있다.
S
=<
−
k
B
ln
ρ
>=
−
k
B
<
ln
ρ
>
{\displaystyle S=<-k_{B}\ln \rho >=-k_{B}<\ln \rho >\,}
<
G
>=
T
r
[
ρ
G
]
{\displaystyle <G>=Tr[\rho G]\,}
이므로,
S
=
−
k
B
T
r
[
ρ
ln
ρ
]
{\displaystyle S=-k_{B}Tr[\rho \ln \rho ]\,}
=
−
k
B
T
r
[
ρ
(
−
β
(
H
−
μ
N
)
−
ln
Z
G
)
)
]
{\displaystyle =-k_{B}Tr[\rho (-\beta (H-\mu N)-\ln Z_{G}))]\,}
=
k
B
β
T
r
[
ρ
H
]
−
k
B
β
μ
T
r
[
ρ
N
]
+
k
B
T
r
[
ρ
ln
Z
G
]
{\displaystyle =k_{B}\beta Tr[\rho H]-k_{B}\beta \mu Tr[\rho N]+k_{B}Tr[\rho \ln Z_{G}]\,}
=
k
B
β
<
H
>
−
k
B
β
μ
<
N
>
+
k
B
<
ln
Z
G
>
{\displaystyle =k_{B}\beta <H>-k_{B}\beta \mu <N>+k_{B}<\ln Z_{G}>\,}
T
S
=
k
B
T
β
<
H
>
−
k
B
T
β
μ
<
N
>
+
k
B
T
<
ln
Z
G
>
{\displaystyle TS=k_{B}T\beta <H>-k_{B}T\beta \mu <N>+k_{B}T<\ln Z_{G}>\,}
=
U
−
μ
N
+
k
B
T
ln
Z
G
{\displaystyle =U-\mu N+k_{B}T\ln Z_{G}\,}
큰 퍼텐셜 의 정의에 의해,
Φ
=
U
−
T
S
−
μ
N
=
−
k
B
T
ln
Z
G
{\displaystyle \Phi =U-TS-\mu N=-k_{B}T\ln Z_{G}\,}
앙상블의 평균 입자수는 다음과 같이 얻어진다.
⟨
N
⟩
=
z
∂
∂
z
ln
Z
(
z
,
V
,
T
)
.
{\displaystyle \langle N\rangle =z{\frac {\partial }{\partial z}}\ln {\mathcal {Z}}(z,V,T).}
그리고 평균 내부에너지는 다음과 같다.
⟨
E
⟩
=
k
B
T
2
∂
∂
T
ln
Z
(
z
,
V
,
T
)
.
{\displaystyle \langle E\rangle =k_{B}T^{2}{\frac {\partial }{\partial T}}\ln {\mathcal {Z}}(z,V,T).}
분배함수 자체는 압력 P와 부피V의 곱을
k
B
T
{\displaystyle k_{B}T\,}
로 나눈 것이다.
P
V
=
k
B
T
ln
Z
{\displaystyle PV=k_{B}T\ln {\mathcal {Z}}}
다른 열역학적 잠재에너지는 위의 양들을 선형결합하여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헬름홀츠 자유에너지 F(A로도 쓴다)는 다음과 같이 얻어진다.
F
=
N
μ
−
P
V
=
−
k
B
T
ln
(
Z
/
z
N
)
.
{\displaystyle F=N\mu -PV=-k_{B}T\ln({\mathcal {Z}}/z^{N}).}
김인묵, 김엽. '통계열물리', 범한서적주식회사,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