킹 파드 국제공항
킹 파드 국제공항(영어: King Fahd International Airport)은 사우디아라비아 담맘에 위치해 있는 공항으로 일본의 예술가인 야마자키 미노루가 공항을 설계 했으며 1983년에 착공해 1999년에 개항 했으며 기존의 공항이었던 다란 국제공항 (현. 킹 압둘아지즈 공군 기지)의 노선과 운영을 이어받았으며 사우디아 항공의 허브 공항으로 사우디아라비아의 공항 중에서 규모가 제일 크다.
킹 파드 국제공항 مطار الملك فهد الدولي King Fahd International Airport | ||||||
---|---|---|---|---|---|---|
IATA: DMM – ICAO: OEDF | ||||||
개요 | ||||||
공항종별 | 민간 | |||||
운영기관 | 프라포트 사우디아라비아 | |||||
위치 | ![]() | |||||
거점 항공사 | ||||||
해발고도 | 22 m / 72 ft | |||||
좌표 | 북위 26° 28′ 16″ 동경 049° 47′ 52″ / 북위 26.47111° 동경 49.79778° | |||||
웹사이트 | ||||||
지도 | ||||||
활주로 | ||||||
방향 | 면적(m*m) | ILS | 표면 | |||
길이 | 폭 | |||||
16R/34L | 13,124 | 4,000 | YES | 아스팔트 | ||
16L/34R | 10,825 | 3,299 | YES | 아스팔트 | ||
통계 (2011) | ||||||
통계 | 5,267,000 |
운항 노선편집
국제선편집
항공사 | 목적지 |
---|---|
에어 아라비아 | 샤르자 |
에어 아라비아 이집트 | 알렉산드리아(보그엘아랍) |
에어 인디아 | 두바이 |
바레인 항공 | 베이루트, 하르툼[1] |
비맘 방글라데시 항공 | 다카 |
이집트 항공 | 알렉산드리아, 카이로 |
에미레이트 항공 | 두바이 |
에티오피아 항공 | 아디스아바바 |
에티하드 항공 | 아부다비 |
플라이 두바이 | 두바이 |
펠릭스 항공 | 아덴, 사나, 타즈 |
걸프 에어 | 바레인 |
이란 항공 | 마슈하드 |
KLM | 암스테르담, 쿠웨이트 |
쿠웨이트 항공 | 쿠웨이트 |
프래벳 에어 | 프랑크푸르트 |
마한 에어 | 이스파한, 마슈하드, 테헤란(이맘호메이니) |
중동 항공 | 베이루트 |
오만 항공 | 무스카트 |
파키스탄 국제항공 | 이슬라마바드, 카라치, 라호르, 시알코트 |
카타르 항공 | 도하 |
로얄 요르단 항공 | 암만(퀸알리아) |
사우디아 항공 | 베이루트, 카이로, 첸나이, 델리, 다카, 두바이, 하이데라바드, 이슬라마바드, 카라치, 코치, 코지코드, 마닐라, 마슈하드, 뭄바이 |
샤힌 에어 | 이슬라마바드, 라호르 |
스리랑카 항공 | 콜롬보 |
터키 항공 | 이스탄불(아타튀르크) |
국내선편집
항공사 | 목적지 |
---|---|
플라이나스 | 제다, 리야드 |
사우디아 항공 | 아바하, 알바하, 가심, 하지, 지잔, 제다, 나잔, 리야드, 타북, 타이프 |
화물 노선편집
항공사 | 목적지 |
---|---|
에어프랑스 카고 | 두바이, 홍콩, 뭄바이 |
영국항공 월드 카고(글로벌 서플라이 시스템스 운영) | 두바이, 상하이(푸둥) |
카고룩스 | 홍콩 |
에티하드 크리스탈 카고 | 아부다비 |
루프트한자 카고 | 홍콩, 샤르자 |
마틴 에어 | 샤르자, 타이페이 |
카타르 항공 카고 | 도하 |
사우디아 항공 카고 | 브뤼셀, 홍콩, 제다, 리야드, 트리반드룸 |
항공량 통계편집
킹 파드 국제공항은 해가 지날 수록 꾸준히 이용객 및 이착륙 수치가 증가하고 있으며 500만명이 넘는 승객이 매년 공항을 이용하고 있다.[2]
연도 | 총 이용 여객 | 국제선 여객 확률 | 화물(톤) | 항공기 취항 횟수 | 증감률 |
---|---|---|---|---|---|
2000 | 2,533,000 | 42% | 56,494 | 23,886 | -1.38% |
2001 | 2,542,000 | 41% | 55,088 | 23,312 | -2.46% |
2002 | 2,578,000 | 39% | 53,029 | 23,281 | -0.13% |
2003 | 2,613,000 | 40% | 48,634 | 23,308 | 0.12% |
2004 | 2,782,000 | 41% | 48,065 | 23,778 | 2.02% |
2005 | 3,013,000 | 40% | 49,633 | 24,457 | 2.86% |
2006 | 3,341,000 | 43% | 59,610 | 29,162 | 19.24% |
2007 | 3,841,000 | 41% | 66,621 | 39,265 | 34.64% |
2008 | 3,885,000 | 47% | 95,862 | 40,776 | 3.85% |
2009 | 4,149,000 | 48% | 82,944 | 41,079 | 0.74% |
2010 | 4,569,000 | 52% | 82,865 | 45,512 | 10.79% |
2011 | 5,267,000 | 56% | 82,256 | 50,936 | 11.92% |
구조와 시설편집
양상 | 세부 |
---|---|
활주로 | 2 |
활주로 길이 | 4,000m (1만3천1백23피트) |
활주로 폭 | 60m (1백97피트) |
활주로의 어깨 | 7.5 m (25 피트) X 2 |
활주로 포장 폭발 패드 | 120m (3백94피트) × 2 |
유도로 폭 | 23m (75 피트) |
유도로 어깨 | 11m (36 피트) X 2 |
크로스 유도로 폭 | 23m (75 피트) |
크로스 유도로의 어깨 | 11 m (36 피트) X 2 |
대형 항공기 스탠드 | 12 + 8 로얄 터미널 |
중형 항공기 스탠드 | 5 |
소형 항공기 스탠드 | 7 |
화물 항공기 스탠드 | 3 (대형) |
일반 항공 | 14 |
헬리콥터 발착장 | 2 (1 일반 항공 + 1 로얄 터미널) |
각주편집
- ↑ “보관된 사본”. 2012년 10월 3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10월 18일에 확인함.
- ↑ 킹 파흐드 국제공항 통계 @ A-Z World Airports Online
- ↑ http://www.the-saudi.net/kfia/kfia.htm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 King Fahd International Airport
- (영어) 킹 파드 국제공항 - World Aero Data
- (영어) 킹 파드 국제공항 - Great Circle Mapper
- (영어) 킹 파드 국제공항 기상 정보 - NOAA / NWS
- (영어) 킹 파드 국제공항 사고 역사 - 에비에이션 세이프티 네트워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