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완 타오위안 국제공항
타오위안 국제공항(중국어 정체자: 桃園國際機場, 영어: Taoyuan International Airport, IATA: TPE, ICAO: RCTP)은 대만의 타오위안시(桃園)에 위치한 공항으로, 타이베이(臺北) 도심에서 서쪽으로 약 32km 떨어져 있다.
타오위안 국제공항 Taoyuan International Airport | ||||||
---|---|---|---|---|---|---|
IATA: TPE - ICAO: RCTP | ||||||
개요 | ||||||
공항종별 | 민간 | |||||
시간기준 | UTC+8 | |||||
운영기관 | 중화민국 교통부 민용항공국 | |||||
지역 | 타이베이시 | |||||
위치 | ![]() | |||||
거점 항공사 | ||||||
해발고도 | 33 m / 108 ft | |||||
좌표 | 북위 25° 4′ 39″ 동경 121° 13′ 58″ / 북위 25.07750° 동경 121.23278° | |||||
웹사이트 | ||||||
지도 | ||||||
활주로 | ||||||
방향 | 면적(m*m) | ILS | 표면 | |||
길이 | 폭 | |||||
05L/23R | 3660 | 60 | YES | 콘크리트 | ||
05R/23L | 3800 | 60 | YES | 콘크리트 | ||
통계(2017) | ||||||
이용 여객 | 44,878,703 명 | |||||
운항 횟수 | 246,104 회 | |||||
처리 화물 | 2,269,585 톤 | |||||
World Aero Data |
장제스의 본명을 따서 중정 국제공항(중국어: 中正國際機場)으로 불리다가, 천수이볜 총통 집권 시기인 2006년 9월 6일에 공항의 이름이 현재와 같이 변경되었다.
개요 편집
이 공항은 1979년 2월 26일에 개항하면서 타이베이 쑹산 공항으로부터 국제선 노선을 넘겨받은 국제선 전용 공항으로, 가오슝(高雄)을 오가는 국제선 연결편 외에는 국내선이 운항하지 않는다. 중화민국에 있는 4개의 국제공항 중 하나로, 타이베이시에 인접해 있다. 중화항공과 에바 항공이 이 공항을 허브 공항으로 삼고 있다.
이 공항은 인근의 홍콩 국제공항, 상하이 푸둥 국제공항, 인천국제공항과 함께 허브 공항의 지위를 두고 경쟁하고 있다.
시설 편집
타이완 타오위안 국제 공항은 '아시아·태평양 공항 순위'에서 2007년에 13위, 2008년에 14위, 2009년에 18위로 떨어졌는데, 이는 공항 내의 높은 음식 값, 여객용 카트의 질에 대한 이용자의 만족도가 낮은 것이 원인으로 꼽혔고, 이 때문에 공항 시설의 개선에 나섰다.
그 결과 국제공항협의회(ACI)의 2015년 세계 공항 서비스 평가 'ASQ(Airport Service Quality)'에서 연간 여객 수 2천5백만 ~ 4천만 명 규모 공항 중에서 세계 2위에 뽑혔다. 영국의 항공 서비스 조사 회사인 스카이트랙스의 2016년 세계 공항 서비스 평가(World Airport Awards 2016)에서는 연간 여객 수 3천만 ~ 4천만 만 명 규모 공항 중에서 세계 3위를 차지했다.
명칭의 유래 편집
이름의 유래는 대만의 타오위안시에 있기 때문이다.
당초, 십대 건설에 있어서 명칭은 타오위안 국제공항으로 명명될 예정되어 있었다. 그러나 개항 전에 중화민국의 초대 총통인 장제스를 기념해 '중정[1] 국제공항'으로 개칭되었다. 영어식 표기로 장제스의 영어표기(Chiang Kai-Shek)를 머릿글자를 딴 'C.K.S. Airport'라는 별칭이 사용되었다. 또, 중화항공의 일본어 안내방송에서는 "장제스 공항"이라고 방송하였다.
2006년 9월 6일, 탈중국화 정책을 따른 천수이볜 행정부의 지시로 '타이완 타오위안 국제공항'으로 개칭되었다.
이 공항은 대만 북부에 있는 타오위안시 다위안구에 있는 것으로부터, 타오위안 시민이나 민주진보당을 비롯한 범록연맹 진영에서는 이전부터 타오위안 국제공항이라고 불렀다. 중화인민공화국에서도 타오위안 공항으로 불리는 경우가 많았다.
역사 편집
- 1979년 2월 26일 : 중정 국제공항으로 개항
- 1994년 6월 8일 : 중국남방항공 납치 항공기 착륙
- 1998년 10월 28일 : 중국국제항공 납치 항공기 착륙
- 2000년 7월 28일 : 제2 터미널 운영 개시
- 2003년 1월 18일 : 스카이 트레인(PMS:People Mover System) 개업
- 2006년 9월 6일 : 타이완 타오위안 국제공항으로 개칭
- 2013년 7월 27일 : 제1터미널 리노베이션 완료
- 2014년 2월 19일 ~ 2015년 1월 8일 : 남쪽 활주로(05R/23L) 재포장 및 연장(3,350m → 3,800m)
- 2015년 3월 6일 ~ 12월 24일 : 북쪽 활주로(05L/23R) 재포장
- 2017년 3월 2일 : 타오위안 국제공항 첩운 개통
운항 노선 편집
터미널은 항공사 및 출발 편별로 제1터미널과 제2터미널이 운영되고 있다. 터미널 사이에는 2분 반마다 무료로 운행된 연락 전철(스카이 트레인)가 달리고 있으며 각 터미널을 이용하고 있는 취항 항공사는 다음과 같다.[2]
제1터미널 편집
제 2 터미널 편집
화물 노선 편집
통계 편집
기술적 문제로 인해 그래프를 일시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순위 | 공항 | 여객(명) | 항공사 |
---|---|---|---|
1 | 홍콩(첵랍콕) | 1,214,000 | 중화항공, 에바 항공, 캐세이퍼시픽 항공, 캐세이 드래곤 항공, 타이항공, 홍콩 항공 |
2 | 도쿄(나리타) | 1,043,000 | 중화항공, 에바 항공, 델타 항공, 스쿠트, 일본항공, 전일본공수, 캐세이퍼시픽 항공 |
3 | 상하이(푸둥) | 912,000 | 중화항공, 에바 항공, 중국국제항공, 중국남방항공, 중국동방항공 |
4 | 로스앤젤레스 | 894,670 | 중화항공, 에바 항공 |
5 | 푸저우 | 840,587 | 샤먼 항공 |
6 | 서울(인천) | 802,000 | 중화항공, 에바 항공,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캐세이퍼시픽 항공, 타이항공 |
7 | 베이징(서우두) | 742,000 | 중화항공, 에바 항공, 중국국제항공, 하이난 항공 |
8 | 샌프란시스코 | 522,000 | 중화항공, 에바 항공 |
9 | 싱가포르 | 492,876 | 중화항공, 에바 항공, 스쿠트, 싱가포르 항공, 제트스타 아시아 항공 |
10 | 밴쿠버 | 448,745 | 중화항공, 에바 항공 |
11 | 호놀룰루 | 401,000 | 중화항공 |
12 | 마닐라 | 339,000 | 중화항공, 에바 항공, 세부퍼시픽, 필리핀항공 |
13 | 자카르타(수카르노 하타) | 338,000 | 중화항공, 에바 항공, 가루다 인도네시아 항공 |
14 | 쿠알라룸푸르 | 337,000 | 중화항공, 에바 항공, 말레이시아 항공, 에어아시아 X |
15 | 방콕(수완나품) | 336,000 | 중화항공, 에바 항공, 타이항공 |
연계 교통 편집
도로 교통 편집
- 버스
- 창룽바스 : 타오위안 국제공항 → 주취안제 → 민권서로 역 → 쑹장신춘
- 다유바스 (공항버스) : 타이완 도원 국제공항 → 난징둥루 역 → 중샤오푸싱 → 타이베이 역 → 타이베이 진위다판뎬
- 다유바스 (웨스트 버스) : 타이완 도원 국제공항 → 창룽휘윈잔 → 궈린 → 민권서로 역 → 임페리아 호텔
- 궈광커윈 : 타이완 타오위안 국제공항 → 취충쉐샤오 → 위얀산 역 → 타이베이 역
- 젠밍커윈 : 타이완 타오위안 국제공항 → 싱톈궁 → 국부기념관 → 타이베이 쑹산 공항
철도 교통 편집
2017년 3월 2일, 타이베이시와 연결되는 메트로(MRT) 노선인 타이완 타오위안 국제공항 첩운이 개통되면서 타이베이 역까지 최단 시간으로 35분이 소요된다.
- 제1터미널 지하 : 공항 제1터미널 역
- 제2터미널 지하 : 공항 제2터미널 역
사건 및 사고 편집
같이 보기 편집
외부 링크 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 (중국어/영어/일본어) 공식 홈페이지
각주 편집
- ↑ 장제스의 원래 이름은 '장중정'(將中正)이었다.
- ↑ “Airlines”. 2017년 12월 16일. 2017년 12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12월 16일에 확인함.
- ↑ “China Airlines Expands European Network with New Taipei-Prague Route” (보도 자료). 2023년 3월 14일.
- ↑ “대만 저가항공사도 27일부터 한국노선 운항 중단”. 20200225164835. 2020년 2월 2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2월 25일에 확인함.
- ↑ “이스타항공, 내달 20일 인천∼대만 타오위안 노선 운항 재개”. 2023년 10월 5일.
- ↑ “이스타항공, 12월 청주∼대만 취항…첫 지방발 국제선”. 2023년 9월 27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