탁발씨
성씨
탁발씨(중국어 정체자: 拓跋氏, 병음: Tuòbá)는 삼국 시대와 진나라 시기 선비족의 지파인 탁발선비의 성씨로서, 이들은 후에 북위를 건립하였다. 북위의 효문제가 한화정책을 시행하고 나서 탁발씨를 원(元)씨로 바꾸었다.
북위 건립 이전의 탁발씨 지도자 목록
편집탁발부의 탁발역미가 261년의 기록에 처음으로 등장한다.
3세기 중엽 탁발부는 내몽골의 바옌타라(巴彦塔拉) 지방에서 세력을 넓혔으나, 4세기 초 이들의 세력을 이용하여 북변의 보위(保衛)를 도모하려는 서진으로부터 병주 북쪽의 땅을 얻음으로써, 그곳에서 세력을 신장하였다.
315년, 오호십육국 시대에 탁발부의 수장인 탁발의로는 서진의 관작을 받고 대왕으로 봉해졌다.[1]
묘호 | 시호[2] | 원래 이름 | 통치 기간 | 연호와 연호의 사용 시기 |
---|---|---|---|---|
시조 | 신원(神元) | 탁발역미(拓跋力微) | 219년~277년 | 없음 |
없음 | 장(章) | 탁발실록(拓跋悉鹿) | 277년~286년 | 없음 |
없음 | 평(平) | 탁발작(拓跋綽) | 286년~293년 | 없음 |
없음 | 사(思) | 탁발불(拓跋弗) | 293년~294년 | 없음 |
없음 | 소(昭) | 탁발녹관(拓跋祿官) | 294년~307년 | 없음 |
없음 | 환(桓) | 탁발의이(拓跋猗㐌) | 295년~305년 | 없음 |
없음 | 목(穆) | 탁발의로(拓跋猗盧) | 295년~316년 | 없음 |
없음 | 없음 | 탁발보근(拓跋普根) | 316년 | 없음 |
없음 | 없음 | 알 수 없음 | 316년 | 없음 |
없음 | 평문(平文) | 탁발울률(拓跋鬱律) | 316년~321년 | 없음 |
없음 | 혜(惠) | 탁발하녹(拓跋賀傉) | 321년~325년 | 없음 |
없음 | 양(煬) | 탁발흘나(拓跋紇那) | 325년~329년과 335년~337년 | 없음 |
없음 | 열(烈) | 탁발예궤(拓跋翳槐) | 329년~335년과 337년~338년 | 없음 |
없음 | 소성(昭成) | 탁발십익건(拓跋什翼犍) | 338년~376년 | 건국(建國) 338년~376년 |
독발부
편집독발부는 탁발씨(拓跋氏)에서 갈라져 나온 선비족의 일파이다. 독발부가 세운 남량과 탁발부의 북위를 가리켜 탁발량국(拓跋涼國)이라고도 칭한다.
탁발역미 이전의 계보
편집- 탁발모(拓跋毛)
- 탁발대(拓跋貸)
- 탁발관(拓跋觀)
- 탁발루(拓跋樓)
- 탁발월(拓跋越)
- 탁발추인(拓跋推寅)
- 탁발리(拓跋利)
- 탁발사(拓跋俟)
- 탁발사(拓跋肆)
- 탁발기(拓跋機)
- 탁발개(拓跋蓋)
- 탁발쾌(拓跋儈)
- 탁발린(拓跋鄰)
- 탁발힐분(拓跋詰汾)
묘호 | 시호 | 성명 | 연호 | 사용기간 |
---|---|---|---|---|
— | 헌명제 (獻明帝) <태조 추숭> |
탁발식(拓跋寔) | — | — |
북위 태조 (北魏 太祖) 본래 묘호는 열조烈祖) |
도무제 (道武帝) (첫 시호는 선무제宣武帝) |
탁발규(拓跋珪) | 등국(登國) | 386년—396년 |
황시(皇始) | 396년—398년 | |||
천흥(天興) | 398년—404년 | |||
천사(天賜) | 404년—409년 | |||
북위 태종 (北魏 太宗) |
명원제 (明元帝) |
탁발사(拓跋嗣) | 영흥(永興) | 409년—413년 |
신서(神瑞) | 414년—416년 | |||
태상(泰常) | 416년—423년 | |||
북위 세조 (北魏 世祖) |
태무제 (太武帝) |
탁발도(拓跋燾) | 시광(始光) | 424년—428년 |
신가(神麚) | 428년—431년 | |||
연화(延和) | 432년—434년 | |||
태연(太延) | 435년—440년 | |||
태평진군(太平眞君) | 440년—451년 | |||
정평(正平) | 451년—452년 | |||
— | 남안경수왕 (南安敬壽王) |
탁발여(拓跋余) | 승평 혹은 영평(承平, 永平) | 452년 |
북위 공종 (北魏 恭宗) <고종 추숭> |
경목제 (景穆帝) |
탁발황(拓跋晃) | — | — |
북위 고종 (北魏 高宗) |
문성제 (文成帝) |
탁발준(拓跋濬) | 흥안(興安) | 452년—454년 |
흥광(興光) | 454년—455년 | |||
태안(太安) | 455년—459년 | |||
화평(和平) | 460년—465년 | |||
북위 현조 (北魏 顯祖) |
헌문제 (献文帝) |
탁발홍(拓跋弘) | 천안(天安) | 466년—467년 |
황흥(皇興) | 467년—471년 | |||
북위 고조 (北魏 高祖) |
효문제 (孝文帝) |
원굉(元宏)[1] 탁발굉(拓跋宏) |
연흥(延興) | 471년—476년 |
승명(承明) | 476년 | |||
태화(太和) | 477년—499년 | |||
북위 세종 (北魏世宗) |
선무제 (宣武帝) |
원각(元恪) | 경명(景明) | 500년—503년 |
정시(正始) | 504년—508년 | |||
영평(永平) | 508년—512년 | |||
연창(延昌) | 512년—515년 | |||
북위 숙종 (北魏 肅宗) |
효명제 (孝明帝) |
원후(元詡) | 희평(熙平) | 516년—518년 |
신귀(神龜) | 518년—520년 | |||
정광(正光) | 520년—525년 | |||
효창(孝昌) | 525년—527년 | |||
무태(武泰) | 528년 | |||
— | 경애공주 (敬哀公主) |
원씨 | - | 528년 |
— | 소공제 (少恭帝) |
원조(元釗) | 건의(建義) | 528년 |
북위 숙조 (北魏 肅祖) <경종 추숭> |
문목제 (文穆帝) |
원협(元勰) | — | — |
— | 효선제 (孝宣帝) <경종 추숭> |
원소(元劭) | — | — |
북위 경종 (北魏 敬宗) |
효장제(孝莊帝) (첫 시호는 무회제武懷帝) |
원자유(元子攸) | 건의(建義)[2] | 528년 |
영안(永安) | 528년-530년 | |||
— | 현문제 (顯文帝) |
원호(元顥) | 효기(孝基) | 529년 |
건무(建武) | 529년 | |||
— | 장광경왕 (長廣敬王) |
원엽(元曄) |
건명(建明) | 530년-531년 |
— | 순제 (順帝) |
원열(元悅) | 경흥(更興) | 530년 |
— | 절민제 (節閔帝) |
원공(元恭)[3] | 진태(普泰) | 531년-532년 |
— | 안정순문왕 (安定順文王) |
원랑(元朗)[4] |
중흥(中興) | 531년-532년 |
— | 무목제 (武穆帝) <효무제 추숭> |
원회(元懷) | — | — |
— | 효무제(孝武帝) 출제(出帝) |
원수(元脩)[5] | ||
태창(太昌) | 532년 | |||
영흥(永興) | 532년 | |||
영희(永熙) | 532년-534년 |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