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산

태산(중국어: 泰山, 병음: Tài Shān, 표준어: 타이산산)은 중국 산둥성 타이안 북쪽에 있는, 중국 본토의 대표적인 산 가운데 하나이고, 산둥성에서 가장 높은 산이다. 최고봉은 1535 미터 높이의 옥황봉이다.
태산 | |
---|---|
![]() | |
최고점 | |
고도 | 1,545 m (5,069 ft) ![]() |
프로미넌스 | 1,505 m (4,938 ft) ![]() |
지리학 | |
![]() ![]() | |
![]() 태산 남천문 | |
소재국 | ![]() |
---|---|
영어명* | Mount Taishan |
프랑스어명* | Mont Taishan |
등록 구분 | 복합유산 |
기준 | i, ii, iii, iv, v, vi, vii |
지정번호 | 437 |
지역** | 아시아-태평양 |
지정 역사 | |
1987년 (11차 정부간위원회) | |
* 세계유산목록에 따른 정식명칭. ** 유네스코에 의해 구분된 지역. |
|
중국의 다섯 명산인 오악 가운데 하나로, 예부터 신령한 산으로 여겨졌으며, 진 시황제나 전한 무제, 후한 광무제 등이 천하가 평정되었음을 정식으로 하늘에 알리는 봉선의 의식을 거행한 장소이다. 도교의 주요 성지 중 하나이기도 하다. 1987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록되었다.
태산과 도교 편집
춘추전국에 쓰여진 《장자》의 속편인 소요유에 따르면, 큰 것을 비유하여 ‘태산’이라 한다고 적혀 있다. 장자는 인간의 작음을 나타내기 위해서 타이 산을 쓴 것인데, 이는 타이 산이 매우 큰 것을 대표한다는 개념으로 쓰였으며, 이 개념이 춘추시대 당시에 이미 형성되어 있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동진의 《수신기》에 따르면, 이미 태산이 신성을 띄고 있었으며, 명계의 신으로 나타난다. 이후 태산부군을 중심으로 한 태산 신앙은 《태평광기》나 《위견지》 등의 이문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태산과 한국문화 편집
한국에서는 태산과 관련된 말들이 있다. "태산이 높다 하되 하늘 아래 뫼이로다"는 양사언이 지은 시조의 한 구절이고, "걱정이 태산같다", "갈수록 태산'이라는 표현도 있다. 또한 속담 중에는 "티끌모아 태산", "태산을 넘으면 평지를 본다", "태산이 평지된다", "보리고개가 태산보다 높다" 등이 있어 매우 친숙한 산이다.
같이 보기 편집
외부 링크 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 태산 - 공식 웹사이트
- "Tai Shan, China" on Peakbagger
오악 | ||
---|---|---|
북악항산 | ||
서악화산 | 중악숭산 | 동악태산 |
남악형산 |
이 글은 중국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 |
이 글은 산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