터키 축구 국가대표팀

터키 축구 국가대표팀은 터키를 대표하는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현재 UEFA에 가입되어 있다. '투르크 전사'라는 별칭을 가지고 있으며 1923년 10월 26일 루마니아와의 A매치 데뷔전에서 2-2로 비겼고 현재 홈 구장은 아타튀르크 올림픽 스타디움이다.
터키 축구 국가대표팀 Türkiye Millî Futbol Takımı | |||
---|---|---|---|
![]() | |||
별칭 | Türk Asker (투르크 전사) | ||
연맹 | 터키 축구 연맹 | ||
대륙 | 유럽 축구 연맹 | ||
감독 | ![]() | ||
주장 | 부라크 이을마즈 | ||
최다 출전자 | 뤼쉬튀 레츠베르 (120) | ||
최다 득점자 | 하칸 쉬퀴르 (51) | ||
홈 구장 | 아타튀르크 올림픽 스타디움 | ||
FIFA 코드 | TUR | ||
| |||
FIFA 랭킹 | |||
현재 | 38위 | ||
최고 순위 | 5위 (2004년 6월) | ||
최저 순위 | 67위 (1993년 10월) | ||
첫 국제 경기 출전 | |||
![]() ![]() (터키, 이스탄불; 1923년 10월 26일) | |||
최다 점수차 승리 | |||
![]() ![]() (터키, 앙카라; 1949년 11월 20일, 1950년 FIFA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
![]() ![]() (터키, 이스탄불; 1996년 11월 10일, 1998년 FIFA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 | |||
최다 점수차 패배 | |||
![]() ![]() (폴란드, 호주프; 1968년 4월 24일)
![]() ![]() (잉글랜드, 런던; 1987년 10월 14일, UEFA 유로 1988 예선) | |||
월드컵 | |||
출전 횟수 | 2회 (1954년에 처음 출전) | ||
최고 성적 | 3위 (2002년) | ||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 |||
출전 횟수 | 5회 (1996년에 처음 출전) | ||
최고 성적 | 4강 (2008년) | ||
컨페더레이션스컵 | |||
출전 횟수 | 1회 (2003년에 처음 출전) | ||
최고 성적 | 3위 (2003년) |
국제 대회 경력편집
FIFA 월드컵편집
1954년 FIFA 월드컵을 시작으로 총 2번의 월드컵 본선에 출전한 터키는 이 중 2002년 대회에서 3위의 성적을 거두며 48년만에 진출한 2002 월드컵에서 터키 축구 역사상 월드컵 최고 성적을 거두었다. 그리고 처음으로 출전한 1954년 대회에서는 조별리그에서 탈락했지만 그 당시 같은 처녀 출전팀이었던 대한민국을 조별리그 2차전에서 7-0으로 대파한 적이 있는데 이는 시리아와의 1950년 FIFA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과 산마리노와의 1998년 FIFA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 경기와 함께 터키가 가장 큰 점수차로 승리한 경기로 기록되어 있다.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편집
UEFA 유로 1996을 시작으로 5번의 유로 대회 본선에 출전하여 이 중 파티흐 테림 감독이 지휘하던 2008년 대회에서 4강에 오르면서 2002년 FIFA 월드컵 이후 6년만에 메이저 대회 4강이자 사상 첫 유로 대회 본선 4강에 진출하는 돌풍을 일으켰고 2000년 대회에서는 8강에 이름을 올렸다. 물론 2016년 대회에서는 아쉽게 조별리그에서 탈락했음에도 D조 조별리그 최종전에서 체코를 2-0으로 꺾고 유종의 미를 거두었으나 2020년 대회에서는 이탈리아, 웨일스, 스위스를 상대로 단 1승도 거두지 못하고 3전 전패·A조 최하위라는 역대 메이저 대회 최악의 성적으로 조별리그에서 탈락하는 수모를 맛보았다.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편집
2002년 FIFA 월드컵 준우승팀인 독일의 2003년 대회 불참 선언으로 대신 출전하여 이 대회에서도 3위에 오르는 기염을 토했으나 이후의 컨페드컵 출전 기록은 전무하다.
UEFA 네이션스리그편집
2018-19 리그 B편집
유럽 네이션스리그 첫 시즌 리그 B에 편입된 터키는 2018년 FIFA 월드컵 개최국 러시아, 북유럽의 강호 스웨덴과 2조에 편성되었으나 4경기에서 1승 3패·조 최하위의 부진한 성적에 그쳤다. 다만 차기 시즌 리그 진행 방식 변경으로 인해 리그 C 강등은 이뤄지지 않았다.
기타 국제 대회 경력편집
지중해 경기 대회에는 U-20 대표팀 전적까지 포함해 16번 출전하여 이 가운데 10번의 대회에서 금메달 1개, 은메달 7개, 동메달 2개를 획득했고 이밖에도 1931년 발칸컵 준우승, 에코컵 3회 우승 및 2회 준우승의 성과를 남겼다.
FIFA 월드컵 (본선)편집
FIFA 월드컵 본선 기록 | |||||||||
---|---|---|---|---|---|---|---|---|---|
년도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1930년 | 불참 | ||||||||
1934년 | 기권 | ||||||||
1938년 | 불참 | ||||||||
1950년 | 예선 통과 후 기권 | ||||||||
1954년 | 조별리그 | 9위 | 3 | 1 | 0 | 2 | 10 | 11 | 3 |
1958년 | 기권 | ||||||||
1962년 | 예선 탈락 | ||||||||
1966년 | |||||||||
1970년 | |||||||||
1974년 | |||||||||
1978년 | |||||||||
1982년 | |||||||||
1986년 | |||||||||
1990년 | |||||||||
1994년 | |||||||||
1998년 | |||||||||
2002년 | 4강 | 3위 | 7 | 4 | 1 | 2 | 10 | 6 | 13 |
2006년 | 예선 탈락 | ||||||||
2010년 | |||||||||
2014년 | |||||||||
2018년 | |||||||||
2022년 | |||||||||
합계 | 2회 진출(2/22) | 4강(3위 1회) | 10 | 5 | 1 | 4 | 20 | 17 | 16 |
순위 | FIFA 월드컵 역대 순위 : 36위 |
FIFA 월드컵 (예선)편집
FIFA 월드컵 예선 기록 | |||||||||
---|---|---|---|---|---|---|---|---|---|
년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
1930년 | 불참 | ||||||||
1934년 | 기권 | ||||||||
1938년 | 불참 | ||||||||
1950년[1] | 1 | 1 | 0 | 0 | 7 | 0 | 3(기권) | ||
1954년[2] | 3 | 1 | 1 | 1 | 4 | 6 | 4 | ||
1958년 | 기권[3] | ||||||||
1962년[4] | 4 | 2 | 0 | 2 | 4 | 4 | 6 | ||
1966년[5] | 6 | 1 | 0 | 5 | 4 | 19 | 3 | ||
1970년[6] | 4 | 0 | 0 | 4 | 2 | 13 | 0 | ||
1974년[7] | 6 | 2 | 2 | 2 | 5 | 3 | 8 | ||
1978년[8] | 6 | 2 | 1 | 3 | 9 | 5 | 7 | ||
1982년[9] | 8 | 0 | 0 | 8 | 1 | 22 | 0 | ||
1986년[10] | 8 | 0 | 1 | 7 | 2 | 24 | 1 | ||
1990년[11] | 8 | 3 | 1 | 4 | 12 | 10 | 10 | ||
1994년[12] | 10 | 3 | 1 | 6 | 11 | 19 | 10 | ||
1998년[13] | 8 | 4 | 2 | 2 | 21 | 9 | 14 | ||
2002년[14] | 12 | 8 | 3 | 1 | 24 | 8 | 27 | ||
2006년[15] | 14 | 7 | 5 | 2 | 27 | 13 | 26 | ||
2010년[16] | 10 | 4 | 3 | 3 | 13 | 10 | 15 | ||
2014년[17] | 10 | 5 | 1 | 4 | 16 | 9 | 16 | ||
2018년 | 10 | 4 | 3 | 3 | 14 | 13 | 15 | ||
2022년[18] | 11 | 6 | 3 | 2 | 28 | 19 | 21 | ||
합계 | 128 | 47 | 24 | 57 | 176 | 187 | 165 | ||
순위 | 월드컵 예선 승점 순위 : 54위 (유럽 23위) |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본선)편집
UEFA 유로컵 본선 기록 | |||||||||
---|---|---|---|---|---|---|---|---|---|
년도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1960년 | 예선 탈락 | ||||||||
1964년 | |||||||||
1968년 | |||||||||
1972년 | |||||||||
1976년 | |||||||||
1980년 | |||||||||
1984년 | |||||||||
1988년 | |||||||||
1992년 | |||||||||
1996년 | 조별리그 | 16위 | 3 | 0 | 0 | 3 | 0 | 5 | 0 |
2000년 | 8강 | 6위 | 4 | 1 | 1 | 2 | 3 | 4 | 4 |
2004년 | 예선 탈락 | ||||||||
2008년 | 4강 | 4위 | 5 | 2 | 1 | 2 | 8 | 9 | 7 |
2012년 | 예선 탈락 | ||||||||
2016년 | 조별리그 | 17위 | 3 | 1 | 0 | 2 | 2 | 4 | 3 |
2020년 | 조별리그 | 24위 | 3 | 0 | 0 | 3 | 1 | 8 | 0 |
합계 | 5회 진출(5/16) | 4강(1회) | 18 | 4 | 2 | 12 | 14 | 30 | 14 |
순위 |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순위 : 17위 |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예선)편집
UEFA 유로컵 예선 기록 | |||||||||
---|---|---|---|---|---|---|---|---|---|
년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
1960년 | 2 | 1 | 0 | 1 | 2 | 3 | 3 | ||
1964년 | 2 | 0 | 0 | 2 | 0 | 7 | 0 | ||
1968년 | 6 | 1 | 2 | 3 | 3 | 8 | 5 | ||
1972년 | 6 | 2 | 1 | 3 | 5 | 13 | 7 | ||
1976년 | 6 | 2 | 2 | 2 | 5 | 10 | 8 | ||
1980년 | 6 | 3 | 1 | 2 | 5 | 5 | 10 | ||
1984년 | 8 | 3 | 1 | 4 | 8 | 16 | 10 | ||
1988년 | 6 | 0 | 2 | 4 | 2 | 16 | 2 | ||
1992년 | 6 | 0 | 0 | 6 | 1 | 14 | 0 | ||
1996년 | 8 | 4 | 3 | 1 | 16 | 8 | 15 | ||
2000년 | 10 | 5 | 4 | 1 | 16 | 7 | 19 | ||
2004년 | 10 | 7 | 1 | 2 | 26 | 7 | 22 | ||
2008년 | 12 | 7 | 3 | 2 | 25 | 11 | 24 | ||
2012년 | 12 | 5 | 3 | 4 | 13 | 14 | 18 | ||
2016년 | 10 | 5 | 3 | 2 | 14 | 9 | 18 | ||
2020년 | 10 | 7 | 2 | 1 | 18 | 3 | 23 | ||
합계 | 120 | 51 | 29 | 40 | 152 | 152 | 182 | ||
순위 | 유로 예선 승점 순위 : 21위 |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편집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기록 | |||||||||
---|---|---|---|---|---|---|---|---|---|
년도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1992년 | 진출 실패 | ||||||||
1995년 | |||||||||
1997년 | |||||||||
1999년 | |||||||||
2001년 | |||||||||
2003년[19] | 4강 | 3위 | 5 | 2 | 1 | 2 | 8 | 8 | 7 |
2005년 | 진출 실패 | ||||||||
2009년 | |||||||||
2013년 | |||||||||
2017년 | |||||||||
합계 | 1회 진출(1/10) | 4강(3위 1회) | 5 | 2 | 1 | 2 | 8 | 8 | 7 |
순위 |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역대 순위: 18위 |
하계 올림픽편집
올림픽 축구 기록 | |||||||||
---|---|---|---|---|---|---|---|---|---|
년도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1920년 | 참가 금지[20] | ||||||||
1924년 | 1라운드 | 19위 | 1 | 0 | 0 | 1 | 2 | 5 | 0 |
1928년 | 1라운드 | 14위 | 1 | 0 | 0 | 1 | 1 | 7 | 0 |
1936년 | 1라운드 | 15위 | 1 | 0 | 0 | 1 | 0 | 4 | 0 |
1948년 | 8강 | 6위 | 2 | 1 | 0 | 1 | 5 | 3 | 3 |
1952년 | 8강 | 8위 | 2 | 1 | 0 | 1 | 3 | 8 | 3 |
1956년 | 기권 | ||||||||
1960년 | 조별리그 | 14위 | 3 | 0 | 1 | 2 | 3 | 10 | 1 |
1964년 | 진출 실패 | ||||||||
1968년 | |||||||||
1972년 | |||||||||
1976년 | |||||||||
1980년 | |||||||||
1984년 | |||||||||
1988년 | |||||||||
1992년[21] | |||||||||
1996년[22] | |||||||||
2000년[23] | |||||||||
2004년[24] | |||||||||
2008년[25] | |||||||||
2012년[26] | |||||||||
2016년[27] | |||||||||
합계 | 6회 진출(6/26) | 8강(2회) | 10 | 2 | 1 | 7 | 14 | 37 | 7 |
지중해 게임편집
지중해 게임 기록 | |||||||||
---|---|---|---|---|---|---|---|---|---|
년도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1951년 | 불참 | ||||||||
1955년 | |||||||||
1959년 | 은메달 | 준우승 | 4 | 2 | 1 | 1 | 7 | 4 | 7 |
1963년 | 은메달 | 준우승 | 5 | 3 | 1 | 1 | 12 | 7 | 10 |
1967년 | 4강 | 4위 | 5 | 2 | 1 | 2 | 5 | 7 | 7 |
1971년 | 동메달 | 3위 | 4 | 3 | 1 | 0 | 4 | 1 | 10 |
1975년 | 조별리그 | 7위 | 4 | 0 | 2 | 2 | 1 | 6 | 2 |
1979년 | 조별리그 | 5위 | 3 | 1 | 1 | 1 | 2 | 2 | 4 |
1983년 | 은메달 | 준우승 | 4 | 2 | 0 | 2 | 4 | 5 | 6 |
1987년 | 동메달 | 3위 | 5 | 3 | 0 | 2 | 6 | 2 | 9 |
1991년 | 은메달 | 준우승 | 4 | 2 | 0 | 2 | 5 | 5 | 6 |
1993년 | 금메달 | 우승 | 5 | 4 | 1 | 0 | 10 | 3 | 13 |
1997년 | 은메달 | 준우승 | 5 | 3 | 1 | 1 | 7 | 8 | 10 |
2001년 | 4강 | 4위 | 4 | 1 | 1 | 2 | 3 | 5 | 4 |
2005년 | 은메달 | 준우승 | 5 | 3 | 1 | 1 | 8 | 2 | 10 |
2009년 | 조별리그 | 6위 | 4 | 2 | 1 | 1 | 8 | 4 | 7 |
2013년 | 은메달 | 준우승 | 5 | 3 | 1 | 1 | 12 | 6 | 10 |
2018년 | |||||||||
합계 | 15회 진출(15/17) | 금메달(1회) | 66 | 34 | 13 | 19 | 94 | 67 | 115 |
역대 감독편집
감독명 | 기간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률 |
---|---|---|---|---|---|---|---|---|
알리 사미 옌 | 1923년 10월 26일 | 1 | 0 | 1 | 0 | 2 | 2 | 00.0 |
빌리 헌터 | 1924년 5월 25일 ~ 1926년 9월 12일 | 12 | 5 | 0 | 7 | 21 | 29 | 41.7 |
벨라 토트 | 1927년 7월 17일 ~ 1932년 4월 17일 | 8 | 2 | 1 | 5 | 14 | 24 | 25.0 |
프레드 파그넘 | 1932년 4월 22일 ~ 1932년 11월 4일 | 2 | 0 | 0 | 2 | 3 | 7 | 00.0 |
제임스 엘리엇 | 1936년 7월 12일 ~ 1937년 8월 1일 | 3 | 0 | 1 | 2 | 4 | 10 | 00.0 |
이그나츠 몰나르 | 1948년 4월 23일 ~ 1948년 5월 30일 | 2 | 1 | 0 | 1 | 3 | 2 | 50.0 |
울비 예날 | 1948년 8월 2일 ~ 1948년 8월 5일 | 2 | 1 | 0 | 1 | 5 | 3 | 50.0 |
팻 몰로이 | 1948년 11월 28일 ~ 1949년 5월 20일 | 5 | 3 | 0 | 2 | 9 | 8 | 60.0 |
치하트 아르만 | 1949년 11월 20일 | 1 | 1 | 0 | 0 | 7 | 0 | 100.0 |
팻 몰로이 | 1950년 5월 28일 ~ 1950년 10월 28일 | 2 | 1 | 0 | 1 | 7 | 6 | 50.0 |
지미 매코믹 | 1950년 12월 3일 ~ 1951년 10월 6일 | 2 | 1 | 0 | 1 | 4 | 5 | 50.0 |
레비 에르칼 | 1951년 6월 17일 ~ 1951년 11월 21일 | 3 | 2 | 0 | 1 | 3 | 3 | 66.7 |
사드리 우수올루 | 1952년 6월 1일 ~ 1952 6월 8일 | 2 | 0 | 1 | 1 | 1 | 5 | 00.0 |
산드로 푸포 | 1952년 6월 8일 ~ 1954년 6월 23일 | 9 | 3 | 2 | 4 | 18 | 21 | 33.3 |
귄뒤즈 클르츄 | 1954년 10월 17일 | 1 | 0 | 0 | 1 | 1 | 5 | 00.0 |
자르코 미하일로비치 | 1955년 4월 3일 ~ 1955년 6월 26일 | 2 | 0 | 2 | 0 | 1 | 1 | 00.0 |
지오반니 바를리엔 | 1955년 12월 18일 ~ 1956년 5월 1일 | 5 | 2 | 0 | 3 | 8 | 9 | 16.7 |
치하트 아르만 | 1956년 5월 1일 ~ 1956년 11월 25일 | 2 | 0 | 2 | 0 | 2 | 2 | 00.0 |
라슬로 세켈리 | 1957년 4월 5일 ~ 1957년 12월 8일 | 4 | 2 | 1 | 1 | 6 | 4 | 50.0 |
레안드로 레몬디니 | 1958년 5월 4일 ~ 1959년 5월 10일 | 7 | 3 | 3 | 1 | 6 | 5 | 42.9 |
이그나츠 몰나르 | 1960년 6월 8일 | 1 | 1 | 0 | 0 | 4 | 2 | 100.0 |
산드로 푸포 | 1960년 11월 27일 ~ 1962년 5월 16일 | 10 | 4 | 0 | 6 | 11 | 10 | 40.0 |
세레프 괴르케이 | 1962년 10월 10일 | 1 | 1 | 0 | 0 | 3 | 0 | 100.0 |
류비샤 스파이치 | 1962년 11월 25일 ~ 1962년 12월 16일 | 4 | 1 | 2 | 1 | 3 | 7 | 25.0 |
산드로 푸포 | 1963년 3월 27일 ~ 1964년 10월 9일 | 4 | 0 | 2 | 2 | 0 | 4 | 00.0 |
치하트 아르만 | 1964년 9월 27일 ~ 1964년 12월 20일 | 3 | 1 | 1 | 1 | 6 | 4 | 33.3 |
산드로 푸포 | 1965년 1월 24일 ~ 1965년 5월 9일 | 4 | 0 | 0 | 4 | 2 | 13 | 00.0 |
도안 안다츄 | 1965년 7월 21일 ~ 1965년 7월 25일 | 2 | 1 | 1 | 0 | 3 | 1 | 50.0 |
산드로 푸포 | 1965년 10월 9일 ~ 1966년 5월 30일 | 5 | 1 | 2 | 2 | 3 | 10 | 20.0 |
아드난 수바리 | 1966년 10월 12일 ~ 1969년 1월 17일 | 17 | 5 | 4 | 8 | 16 | 32 | 29.4 |
압둘라흐 게기치 | 1969년 4월 30일 ~ 1969년 11월 16일 | 6 | 3 | 0 | 3 | 13 | 11 | 50.0 |
치하트 아르만 | 1970년 10월 17일 ~ 1971년 11월 14일 | 6 | 1 | 1 | 4 | 4 | 17 | 16.7 |
니콜라에 페트레스쿠 | 1971년 5월 12일 | 1 | 1 | 0 | 0 | 1 | 0 | 100.0 |
코슈쿤 외자리 | 1972년 4월 12일 ~ 1976년 10월 31일 | 29 | 8 | 11 | 10 | 38 | 43 | 27.6 |
도안 안다츄 | 1976년 11월 17일 | 1 | 0 | 1 | 0 | 1 | 1 | 00.0 |
베틴 튀렐 | 1977년 2월 16일 ~ 1978년 10월 5일 | 13 | 2 | 1 | 10 | 11 | 22 | 15.4 |
사브리 키라즈 | 1978년 11월 29일 ~ 1980년 10월 15일 | 12 | 5 | 1 | 6 | 13 | 15 | 41.7 |
외즈칸 쉬메르 | 1980년 12월 3일 ~ 1981년 3월 25일 | 2 | 0 | 0 | 2 | 0 | 3 | 00.0 |
페티 데미르칸 | 1981년 4월 15일 ~ 1981년 10월 7일 | 4 | 0 | 0 | 4 | 0 | 12 | 00.0 |
코슈쿤 외자리 | 1982년 9월 22일 ~ 1984년 4월 4일 | 17 | 5 | 2 | 10 | 15 | 36 | 29.4 |
칸단 타르한 | 1984년 9월 6일 ~ 1984년 11월 14일 | 5 | 1 | 1 | 3 | 3 | 13 | 20.0 |
일마즈 괴크델 | 1984년 12월 22일 ~ 1985년 4월 3일 | 3 | 1 | 1 | 1 | 1 | 3 | 33.3 |
칼만 메솔리 | 1985년 5월 1일 ~ 1985년 8월 28일 | 2 | 0 | 1 | 1 | 0 | 2 | 00.0 |
코슈쿤 외자리 | 1985년 9월 11일 ~ 1986년 11월 12일 | 8 | 1 | 3 | 4 | 3 | 14 | 12.5 |
무스타파 데니즐리 | 1987년 3월 4일 ~ 1987년 12월 16일 | 6 | 1 | 1 | 4 | 6 | 16 | 16.7 |
트나즈 트르판 | 1988년 3월 16일 ~ 1989년 11월 15일 | 11 | 5 | 1 | 5 | 16 | 12 | 45.5 |
파티흐 테림 | 1990년 4월 11일 | 1 | 0 | 0 | 1 | 0 | 1 | 00.0 |
제프 피온테크 | 1990년 5월 27일 ~ 1993년 4월 28일 | 27 | 4 | 8 | 15 | 22 | 50 | 14.8 |
파티흐 테림 | 1993년 10월 27일 ~ 1996년 6월 19일 | 33 | 17 | 8 | 8 | 47 | 36 | 51.5 |
무스타파 데니즐리 | 1996년 8월 14일 ~ 2000년 6월 24일 | 31 | 11 | 9 | 11 | 45 | 38 | 35.5 |
셰놀 귀네슈 | 2000년 8월 16일 ~ 2004년 2월 18일 | 50 | 23 | 13 | 14 | 72 | 50 | 46.0 |
위날 카라만 | 2004년 3월 31일 | 1 | 0 | 1 | 0 | 2 | 2 | 00.0 |
에르순 야날 | 2004년 4월 28일 ~ 2005년 6월 8일 | 15 | 8 | 4 | 3 | 29 | 14 | 53.3 |
파티흐 테림 | 2005년 8월 17일 ~ 2009년 10월 14일 | 58 | 26 | 18 | 14 | 86 | 71 | 39.7 |
오우즈 체틴 | 2010년 3월 3일 ~ 2010년 5월 29일 | 4 | 3 | 0 | 1 | 7 | 3 | 75.0 |
거스 히딩크 | 2010년 8월 1일 ~ 2011년 11월 15일 | 16 | 7 | 4 | 5 | 18 | 15 | 43.7 |
압둘라 아브즈 | 2011년 11월 17일 ~ 2013년 8월 20일 | 18 | 6 | 4 | 8 | 26 | 26 | 33.3 |
파티흐 테림 | 2013년 8월 22일 ~ 2017년 7월 26일 | 44 | 27 | 8 | 9 | 69 | 38 | 61.36 |
미르체아 루체스쿠 | 2017년 8월 2일 ~ 2019년 2월 11일 | 17 | 4 | 6 | 7 | 17 | 25 | 23.53 |
셰놀 귀네슈 | 2019년 2월 28일 ~ 2021년 9월 10일 | 32 | 15 | 10 | 7 | 55 | 40 | 46.88 |
슈테판 쿤츠 | 2021년 9월 19일 ~ | 0 | 0 | 0 | 0 | 0 | 0 | — |
선수편집
현재 선수 명단편집
다음은 UEFA 유로 2020 최종 명단이다.
출장 수와 골 수는 2021년 6월 3일 몰도바전 이후의 기록이다.
|
최근 차출된 선수편집
아래 명단은 최근 1년 사이에 차출된 터키 대표팀 선수 명단이다.
|
- 범례
부: 부상으로 선수단에서 제외
코: 코로나 19 확진으로 선수단에서 제외
선수 기록편집
최다 출장 선수편집
아래 기록은 2021년 3월 24일을 기준으로 한다. (현역 선수는 굵은 글씨로 나타냄.)
# | 이름 | 활동 기간 | 경기 | 골 |
---|---|---|---|---|
1 | 뤼쉬튀 레츠베르 | 1994-2012 | 120 | 0 |
2 | 하칸 쉬퀴르 | 1992-2007 | 112 | 51 |
3 | 뷜렌트 코르크마즈 | 1990-2005 | 102 | 3 |
4 | 엠레 벨뢰졸루 | 2000-2019 | 101 | 9 |
5 | 아르다 투란 | 2006-2017 | 100 | 17 |
6 | 투가이 케리몰루 | 1990-2007 | 94 | 2 |
7 | 알파이 외잘란 | 1995-2005 | 90 | 4 |
8 | 하밋 알튼톱 | 2004-2014 | 82 | 7 |
9 | 메흐메트 토팔 | 2008- | 81 | 2 |
10 | 툰자이 샨르 | 2002-2010 | 80 | 22 |
최다 득점 선수편집
아래 기록은 2021년 3월 24일을 기준으로 한다. (현역 선수는 굵은 글씨로 나타냄.)
# | 이름 | 활동 기간 | 골 | 경기 | 경기당 평균 골 |
---|---|---|---|---|---|
1 | 하칸 쉬퀴르 | 1992–2007 | 51 | 112 | 0.46 |
2 | 부라크 이을마즈 | 2006– | 29 | 67 | 0.43 |
3 | 툰자이 샨르 | 2003–2010 | 22 | 80 | 0.28 |
4 | 레프테르 퀴취칸도니야디스 | 1948–1963 | 21 | 46 | 0.46 |
5 | 메틴 오크타이 | 1956–1968 | 19 | 36 | 0.53 |
제밀 투란 | 1969–1979 | 19 | 44 | 0.43 | |
니하트 카흐베지 | 2000–2011 | 19 | 68 | 0.28 | |
8 | 젱크 토순 | 2013– | 18 | 45 | 0.40 |
9 | 아르다 투란 | 2006–2017 | 17 | 100 | 0.17 |
10 | 제키 르자 스포렐 | 1923–1932 | 15 | 16 | 0.94 |
각주편집
- ↑ 시리아를 홈에서 7:0으로 이긴 후 원정경기를 앞두고 시리아가 기권했다. 그리하여 최종라운드에 자동 진출했으나 오스트리아마저 기권하면서 본선 진출을 확정지었다. 그런데 터키마저도 재정문제를 이유로 기권을 선언하여, 결국 터키는 본선에 나오지 않았고 대타로 포르투갈을 구했지만 포르투갈마저 거절하면서 터키가 속했던 4조는 단 두 팀만 단판 경기를 치렀다.
- ↑ 6조에서 스페인과 1승 1패 동률을 이뤄 재경기를 했지만 재경기마저 비기면서 동전 던지기로 진출국을 갈랐다. 동전 던지기의 승자는 터키가 되어 사상 처음으로 본선에 올라갔다. 다만 스페인에게 골득실이 밀렸었는데 지금과 같은 규정이었으면 스페인이 진출했을 것이다.
- ↑ 지역예선에서 이스라엘과 편성이 되자 경기를 거부하며 기권했다.
- ↑ 5조에서 소련에 이어 조 2위를 차지해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
- ↑ 4조에서 포르투갈, 체코슬로바키아, 루마니아에 밀려 최하위로 떨어졌다.
- ↑ 4조에서 소련, 북아일랜드에 밀려 최하위로 떨어졌다.
- ↑ 2조에서 이탈리아에 이어 조 2위를 차지해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
- ↑ 3조에서 오스트리아, 동독에 밀려 조 3위로 탈락했다.
- ↑ 3조에서 8전 8패로 최악의 졸전 끝에 일찌감치 탈락했다.
- ↑ 3조에서 1무 7패로 2회 연속 무승에 최하위로 탈락했다.
- ↑ 3조에서 소련, 오스트리아에 이어 조 3위로 본선 진출에 실패했지만 전 두 대회에 비하면 상당히 높은 성과였다.
- ↑ 2조에서 노르웨이, 네덜란드, 잉글랜드, 폴란드에 이어 조 5위로 탈락했다. 조 최하위는 산마리노였기에 사실상 최하위나 다름없었지만 상대들이 워낙 쟁쟁했기에 어쩔 수 없는 결과였다.
- ↑ 네덜란드, 벨기에에 이어 조 3위로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 이전 승점자판기 시절에서 벗어나 확실하게 한 단계 위로 올라온 시기였다.
- ↑ 스웨덴에 이어 조 2위로 플레이오프에 진출, 오스트리아를 만나 각각 1:0, 5:0으로 승리하며 48년만의 본선에 올랐다. 그 본선에서 4강에 가는 이변을 만들어냈다.
- ↑ 우크라이나에 이어 조 2위를 차지해 덴마크와 그리스를 누르고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상대는 스위스로서 원정에서 0:2로 졌지만 홈에서는 4:2로 이겼다. 다만 원정 다득점에서 밀려 안타깝게 고배를 마시고 말았다. 홈경기에서 터키 훌리건들이 난동을 피우는 바람에 징계를 먹기도 했고, 석연찮은 판정도 나왔던 플레이오프였다.
- ↑ 스페인, 보스니아에 밀려 조 3위로 본선진출에 실패했다.
- ↑ 네덜란드, 루마니아, 헝가리에 이어 최종 4위로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
- ↑ G조 2위를 기록하여 유럽 플레이오프에 진출하였으나 패스 C 준결승전에서 포르투갈에게 3-1로 져서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
- ↑ 개최국과 대륙별 대회 우승 팀이 동일한 경우 2002년 FIFA 월드컵 준우승 팀이었던 독일이 참가하게 되어 있으나, 독일이 불참하면서 3위였던 터키가 참가하게 되었다.
- ↑ 제1차 세계대전에서 입은 막대한 피해의 책임을 물어 국제대회 출전을 박탈당했다.
- ↑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 ↑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 ↑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 ↑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 ↑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 ↑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 ↑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외부 링크편집
- (터키어/영어) 터키 축구 협회 공식 웹사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