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일러 준칙
경제학에서 테일러 준칙은 중앙은행이 설정하는 명목이자율의 기준이 되는 공식이다. 이 준칙은 1993년 존 B. 테일러가 최초로 제안하였으며[1], 테일러 준칙에서는 인플레이션, 산출량을 고려하여 명목이자율을 설정하며, 인플레이션이 1%p 올랐을 때 명목이자율은 1%p 이상으로 올려야 한다. 이를 테일러 원칙(Taylor principle)이라 한다.
방정식으로 표현한 테일러 준칙
편집테일러 준칙의 최초 공식에 따르면, 명목이자율은 목표 인플레이션율에서의 실제 인플레이션 사이의 편차와 잠재 GDP에서 실제 GDP 사이의 편차에 따라 반응하여야 한다.
이 방정식에서, 는 목표 인플레이션율, 는 균형 실질 이자율, 는 실질 GDP에 로그를 씌운 값이고, 는 잠재산출량의 로그를 씌운 값이다.
이 수식에서 와 는 모두 양수여야 한다. 테일러의 1993년 논문에서는 이 값을 각각 0.5로 정했다. 이는 인플레이션이 목표치보다 높고, 산출량이 자연율보다 높은 수준일 때는 인플레이션 압력을 줄이기 위하여 고금리 정책(긴축적 통화정책)을 권장하고, 그 반대일 경우에는 저금리 정책(확장적 통화정책)을 권장한다. 스태그플레이션 상황에서는 인플레이션과 산출 목표가 충돌한다. 이 상황에서 테일러 준칙은 인플레이션과 산출 사이에 가중치를 제시하고 있다.
테일러 원칙
편집으로 정하면서 테일러 준칙은 인플레이션율의 1%p 상승은 중앙은행이 명목이자율을 1%p 이상으로 상승시켜야 한다는 원칙을 제시한다. 실질이자율은 피셔 방정식에 의해 명목이자율에서 기대 인플레이션을 뺀 값이므로, 인플레이션율이 올랐을 때 실질이자율이 올라야 한다는 원칙이다. 이를 테일러 원칙이라고 부른다.[2]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Taylor, John B. (1993). “Discretion versus Policy Rules in Practice” (PDF). 《Carnegie-Rochester Conference Series on Public Policy》 39: 195–214. (The rule is introduced on page 202.)
- ↑ Davig, Troy; Leeper, Eric M. (2007). “Generalizing the Taylor Principle”. 《American Economic Review》 97 (3): 607–635. doi:10.1257/aer.97.3.607. JSTOR 30035014.
- Mishkin, Frederic S. 《미쉬킨의 화폐와 금융: The Economics of Money, Banking, and Financial Markets》 11판. 퍼스트북. 502-505쪽. ISBN 979-11-85475-2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