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머스 캐빌리어스미스
토머스 캐빌리어-스미스(Thomas Cavalier-Smith, 1942년 10월 21일~2021년 3월 19일)[1]는 옥스퍼드 대학교 동물학과의 진화생물학 교수이다.
생애
편집케임브리지 대학교 곤빌 앤드 카이우스 칼리지를 졸업하고 킹스 칼리지 런던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박사 지도 교수는 존 랜들 경이었다.
1967년부터 1969년까지 록펠러 대학교의 방문 연구원으로 있었으며, 킹스 칼리지 런던과 브리티시컬럼비아 대학교에서 강의를 하기도 했다. 1999년 옥스퍼드 대학교의 교수가 되었다.
캐빌리어-스미스는 원생생물의 분류에 관한 많은 논문을 출간했다. 생물의 새로운 계로 유색조식물(Chromista)를 제안했다. 또한 유색조식물와 피하낭류(Alveolate)가 공통의 조상을 가진 분류군이라고 제안했으나, 이 주장은 후에 다른 연구진들에 의해 부인되었다. 캐빌리이-스미스는 이 분류군을 크로말베올라타(Chromalveolata)라고 명명했다. 캐빌리어-스미스는 그 밖의 상위 분류군인 후편모생물(Opisthokonta, 1987), 리자리아(Rhizaria, 2002), 엑스카바타(Excavata, 2002)를 제안하고 명명하기도 했다.크로말베올라타와 아메보조아, 원시색소체생물(캐빌리어-스미스는 1981년부터 그냥 "식물"이라고 부르고 있다.)와 함께 현재 분류학에서 진핵생물의 기본 분류로 다뤄진다. 또한 세포핵이나 미토콘드리아 등의 여러 세포소기관의 기원과 게놈 크기의 진화, 세포 내 공생에 관한 주제를 발표하기도 했다. 최근에는 방선균에서 네오무라의 기원에 관한 논문을 출간하기도 했다.
캐빌리어-스미스의 분류 체계
편집1993년 8계 체계
편집1981년, 캐빌리어-스미스는 진핵생물을 9계로 분류했다.[2] 1993년, 캐빌리어-스미스는 진핵생물의 계를 6개로 줄였다. 세균과 고세균의 두 계를 합쳐 8계로 생물을 분류했다
- 식물(Plantae)
- 동물(Animalia)
- 원생동물(Protozoa)
- 균계(Fungi)
- 진정세균(Eubacteria)
- 고세균(Archaebacteria)
- 유색조식물(Chromista)
- 고동물(Archezoa)
캐빌리어-스미스의 새 분류 체계는 전통적인 5계 체계에서 식물, 동물, 균계는 유지하였다. 우즈와 폭스가 제안한대로 모네라를 세균과 고세균으로 나누었다. 또한 원생생물을 고동물와 원생동물, 유색조식물로 분리했다.
새로 제안한 고동물[3]는 현재 사용하지 않는다. 예전에 고동물계로 분류되었던 생물은 현재 아메바문으로 분류한다.[4]
고동물와 유색조식물을 제외한 원생동물은 18개 문으로 분류했다.[5]
1998년 6계 체제
편집1988년, 캐빌리어-스미스는 전체 계를 8개에서 6개로 줄였다: 동물(Animalia), 원생동물(Protozoa), 균류(Fungi), (홍조류와 녹조류를 포함한) 식물(Plantae), 유색조식물(Chromista), 세균(Bacteria).[6]
캐빌리어-스미스의 체계는 다음처럼 분류된다:
- 진정세균(Eubacteria)
- 네오무라(Neomura)
진핵생물을 크게 단편모생물과 쌍편모생물의 두 군으로 나누었다. 세균(=원핵생물)은 진정세균과 고세균의 두 아계로 나누었다.
또한 1993년에 원생동물로 분류했던 점액포자동물과 중생동물을 동물의 아계로 재분류했다. 1998년 체계에서 동물계를 다음 네 아계로 나누었다.
2003년 체계
편집1993년, 캐빌리어-스미스는 원생동물계를 두 아계와 18개 문으로 분류했다.[5] 2003년, 계통학의 연구 결과를 이용, 11개 문으로 재분류했다: Amoebozoa, Choanozoa, Cercozoa, Retaria, Loukozoa, Metamonada, Euglenozoa, Percolozoa, Apusozoa, Alveolata, Ciliophora, Miozoa.[7] 또한 1993년 체계에서 쌍편모생물 쪽으로 분류했던 아메바류를 코아노조아와 함께 단편모생물로 재분류했다.
2003년 분류 체계를 모식화하면 다음과 같다.
각주
편집- ↑ Saldarriaga, Juan F. (2021년 7월 1일). “Obituary: Thomas Cavalier-Smith (October 21, 1942-March 19, 2021)”. 《Protist》 172 (3): 125807. doi:10.1016/j.protis.2021.125807. ISSN 1434-4610.
- ↑ Cavalier-Smith T. Eukaryote kingdoms: seven or nine? Biosystems. 1981;14(3-4):461-81. [1][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Additional Related Articles][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Cavalier-Smith, T; Chao, EE. (1996년 12월). “Molecular phylogeny of the free-living archezoan Trepomonas agilis and the nature of the first eukaryote”. 《J Mol Evol》 43 (6): 551–62. doi:10.1007/BF02202103. PMID 8995052.
- ↑ Thomas Cavalier-Smith. Only six kingdoms of life. Proc. R. Soc. Lond. B (2004)
- ↑ 가 나 T. Cavalier-Smith. Kingdom protozoa and its 18 phyla. Archived 2011년 10월 4일 - 웨이백 머신 Microbiol Mol Biol Rev. 1993 December; 57(4): 953-994. Full Text 보관됨 2013-07-29 - archive.today
- ↑ T. CAVALIER-SMITH. A revised six-kingdom system of life. Biological Reviews (1998), 73 : 203-266.
- ↑ Thomas Cavalier-Smith, Protist phylogeny and the high-level classification of Protozoa Archived 2009년 8월 21일 - 웨이백 머신, Europ. J. Protistol. 39, 338-348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