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천군 (대한민국)
이 문서는 대한민국의 명목상의 행정 구역에 관한 것입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실효 지배하는 행정 구역에 대해서는 통천군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통천군(通川郡)은 대한민국 강원특별자치도에 있는 대한민국의 군이다. 이북5도위원회가 관리하는 명목상의 행정 구역이다. 강원특별자치도 북부 동해안에 위치한 군으로, 군청소재지는 통천면 중리이다. 면적은 864km2이며, 1개 읍, 6개 면, 161개 리를 관할한다.
통천군 通川郡 | |||
---|---|---|---|
군 | |||
| |||
약칭 | 통천 | ||
로마자 표기 | Tongcheon-gun | ||
행정 | |||
국가 | 대한민국 | ||
지역 | 강원특별자치도 | ||
행정 구역 | 1읍, 6면 | ||
지방 관청 | 이북5도위원회 | ||
군수 | 이성원 | ||
지리 | |||
면적 | 864km2 | ||
시간대 | 한국 표준시 (UTC+09:00) | ||
인문 | |||
공용어 | 한국어 | ||
지역어 | 영동 방언 |
행정 구역
편집면 | 면적(km2) | 리 숫자 | 리(里) |
---|---|---|---|
통천면(通川面) | 40.54 | 18 | 중(中) 동(東) 서(西) 정(正) 태(兌) 방포(芳浦) 평(坪) 방동(芳洞) 하방동(下芳洞) 금란(金蘭) 마암(馬巖) 동정(東亭) 서정(西亭) 어은(漁隱) 송산(松山) 신평(新坪) 주대(蛛垈) 후금란(後金蘭) |
고저읍(高底邑) | 90.07 | 19 | 하고저(下庫底) 상고저(上庫底) 어운(魚雲) 삼계(三溪) 구항(龜項) 포항(蒲項) 반월(半月) 사호(沙湖) 흥운(興雲) 백종(栢種) 보통(寶通) 신(新) 신월(新月) 오류(五柳) 전산(錢山) 도일(道一) 전천(前川) 총석(叢石) 통수동(通水洞) |
벽양면(碧養面) | 128.85 | 27 | 신아간(新阿干) 회산(回山) 초성(初城) 차성(次城) 장현(長峴) 곤암(昆巖) 용암(龍巖) 염내(剡內) 지장(地藏) 안도(安道) 고림(古林) 신점(新店) 만교(萬橋) 지곡(芝谷) 향천(香泉) 신일(新日) 중대(中臺) 서운암(瑞雲巖) 백운암(白雲巖) 신대(新垈) 아간(阿干) 가평(佳坪) 동대(東垈) 계곡(桂谷) 가신(佳新) 신흥(新興) 외야(外也) |
송전면(松田面) | 59 | 19 | 송전(松田) 치궁(致弓) 거록(巨鹿) 문치(文峙) 옥마(玉馬) 석성(石城) 만양(晩陽) 장동(長洞) 수천(水川) 산론(山論) 포항(浦項) 아산(峨山) 신흥(新興) 황석(黃石) 오매(梧梅) 석도(石島) 정덕(貞德) 갈평(葛坪) 구읍(舊邑) |
임남면(臨南面) | 255.11 | 22 | 외렴성(外濂城) 내렴성(內濂城) 동자원(童子院) 오류(梧柳) 둔대(屯垈) 신남(新南) 명문암(明文巖) 다동(茶洞) 판막동(板幕洞) 능월(陵月) 유동(柳洞) 송방(松坊) 복동(福洞) 장림(長林) 외호(外湖) 두백(荳白) 장룡포(長龍浦) 상다전(上多田) 하다전(下多田) 운암(雲巖) 두암(斗巖) 말구(末九) |
학일면(鶴一面) | 160.61 | 20 | 패천(沛川) 칠보(七寶) 연호(蓮湖) 석대(石臺) 풍패(豊沛) 항평(項坪) 상이목(上梨木) 하이목(下梨木) 백산(栢山) 신탄(新炭) 대대(大垈) 하화(下花) 상화(上花) 삼태(三台) 강동(江洞) 마채(磨釵) 운수(雲水) 마전(麻田) 흥곡(興谷) 괴화(槐花) |
흡곡면(歙谷面) | 128.65 | 36 | 화통(貨通) 반계(盤溪) 신흥(新興) 사재(思梓) 율동(栗洞) 신율동(新栗洞) 신기(新基) 신장(新場) 명고(鳴皐) 서왕(西旺) 용천(龍川) 용연(龍淵) 용흥(龍興) 송현(松峴) 동산(東山) 전당(錢塘) 하수(河水) 양지(陽址) 풍호(豊湖) 성현(星峴) 연화(蓮花) 압룡(鴨龍) 학고(鶴皐) 내군(內君) 군산(君山) 구계(九溪) 입석(立石) 서역(瑞域) 화등(和登) 자산(慈山) 하장진(下長津) 송양(松陽) 웅진(熊津) 상음(桑陰) 연동(淵洞) 합진(蛤津) |
참고 문헌
편집- “강원특별자치도 내 미수복 시군 소개, 기구 및 정원”. 이북5도위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