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구름도감

국제구름도감(International Cloud Atlas)은 세계기상기구에서 발간하는, 전세계의 구름을 150종으로 분류한 도감이다. 1896년 국제기상회의에서 처음으로 발간되었으며[1], 영국의 화학자 류크 하워드1803년 구름의 형태와 밝기, 구조, 높이 등으로 세분화한 분류 체계를 기준으로 삼고 있다.[2]

구름 중에서도 기본 구름 역할을 하는 속(genera) 구름 10개를 기반으로 하며, 권운(새털구름), 고적운(양떼구름), 적운(뭉게구름) 등이 여기에 속한다. 그 다음 단계로 종 (species), 변종, 보충형 구름, 부속구름, 특수구름 등의 분류가 이어진다. 각 구름의 명칭은 라틴어로 명명된다.[2]

2017년 3월 23일, 세계 기상의 날을 맞이하여 30년 만에 국제구름도감이 개정되어 발간되었다. 12개의 새로운 구름명이 추가되었으며, 한 구름에 2가지 이름이 붙은 경우도 포함되었으므로 구름 이름수로는 11개가 추가됐다. 보충형 구름 유형으로는 "구름 아래쪽에서 형성된 파도처럼 생긴" 아스페리타스 (Asperitas), 구름 가운데에 커다란 구멍이 있는 ‘카붐’(cavum), 잔 물결 모양의 ‘플룩투스’(Fluctus), 울타리 모양의 벽구름인 ‘무루스’(murus), 낮은 높이에서 꼬리 모양의 구름을 형성하는 ‘카우다’(cauda) 등이 추가되었다.[2]

각주 편집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