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라입깃해파리

노무라입깃해파리는 대형 해파리의 한 종류로 독성을 가지고 있다. 동중국해를 비롯하여 황해, 남해동해에 서식한다. 몸의 90% 이상이 수분으로, 어망을 찢거나 고기를 폐사시키는 등 독성이 있다.

노무라입깃해파리

사람과 비교한 크기
사람과 비교한 크기
생물 분류ℹ️
역: 진핵생물역
계: 동물계
문: 강장동물문
강: 해파리강
목: 근구해파리목
과: 근구해파리과
속: 네모필레마속
종: 노무라입깃해파리
(N. nomurai)
학명
Nemopilema nomurai
[출처 필요]
보전상태


미평가(NE):: 아직 평가가 이루어진 바 없음
평가기관: IUCN 적색 목록 3.1[출처 필요]

개요 편집

 

노무라입깃해파리는 한반도 인근의 동중국해에서 발견되어, 2009년부터는 남해뿐만 아리라, 황해, 동해 등에서도 많이 발견되고 있다. 한반도 인근 해역에서 발견되는 해파리 중 가장 대형 종으로 큰 것은 직경 1m에 달하며, 길이는 5m 이상인 개체도 있다. 수분을 포함한 한 마리의 최대 무게는 200kg에 달하기도 한다.[1]

대형 근구해파리류는 식용으로 두껍게 씹히는 맛이 좋은 조직을 가지고 있으며, 예부터 중화요리 등의 식재로 이용되어 왔다. 그러나 노무라입깃 해파리는 식용은 가능하지만, 비린내가 나고 맛이 없어서 한국 사람들의 입맛에는 잘 맞지 않다.

 
오염된 바다에 떠다니는 해파리, 거제도

2007년부터 한반도 인근에 수가 급격히 늘어나고 있다.[2] 이 해파리의 번식을 부추기는 것은 지구 온난화로 인한 바다온도의 상승이다. 추정되는 이유로는 첫째, 최근 한반도 연안의 표증 수온이 상승하였으며, 대만난류와, 대마난류를 타고 한반도 인근으로 유입된다. 둘째, 해파리의 폴립은 암반이나 수중 구조물에 부착해서 살며, 항만 및 교각시설 공사 시에 만들어지는 주중인공구조물은 폴립들이 부착할 수 있는 환경적인 조건을 제공한다. 셋째, 어류의 남획으로 인해 쥐치류와 같은 해파리를 잡아먹는 포식자의 양이 줄어들어 해파리가 증가했으며, 동물 플랑크톤을 먹는 경쟁어류의 절대량이 감소함으로써 먹이경쟁자가 줄어들었다는 이유이다.[3]

인체에 미치는 영향 편집

노무라입깃해파리에 접촉할 경우 심한 통증과 함께 붉은 반점을 동반한 채찍 모양의 상처가 생길 수 있다. 독성은 있고, 인체에 심각한 피해를 끼친다, 취급을 하려면 긴팔고무장잡과 긴다리장화와 고글을 착용하는 것이 좋다. 해파리에 쏘이면 일시적인 근육마비로 익사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또 신속히 해파리를 발견하면 최대한 빨리 물 밖으로 나와서 깨끗한 물로 씻어낸 다음, 바닷물로 상처 부위의 독성을 제거, 완화시켜야 한다. 쏘인 자국이 상처처럼 붉게 부어오르고, 독성 때문에 상처 주위에 두드러기가 생길 수 있다. 독을 씻어낸 후에는 독소제거 로션을 바르고 통증이 심한 경우 마취연고를 바르는 것도 도움이 된다. 피부에 촉수가 남아있다면 수건, 핀셋, 나무젓가락 등을 사용하여 맨손으로 인한 2차 피해가 생기지 않도록 제거한다. 그리고 최근 해파리로 인한 피해가 많으므로 큰 주의를 요한다.[4]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강영실, 이혜은, 장수정 (2004년 12월 27일). “한국 연안의 해파리”. 국립수산과학원. 2014년 1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8월 24일에 확인함. pp25 
  2. 임재영 기자 (2007년 6월 8일). “〈제주〉독성 ‘노무라 입깃해파리’ 조심!”. 동아일보. 
  3. 강영실, 이혜은, 장수정 (2004년 12월 27일). “한국 연안의 해파리-해파리의 증가원원”. 국립수산과학원. 2014년 1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8월 24일에 확인함. pp53 
  4. 해수욕장, 해파리 응급처치 알고 가세요 Archived 2011년 9월 13일 - 웨이백 머신, 헬스조선, 2011년 8월 19일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