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명일통지

명나라 때 만들어진 지리책

대명일통지(大明一統志)는 명나라의 이현 등이 왕의 뜻을 받들어 1461년(천순 5년)에 만든 지리책이다.[1][2]

성립 편집

북송(北宋)의 《태평환우기》(太平寰宇記) 이래로 중국에서는 통일 왕조가 성립되고 그에 수반해 지리서가 편찬되는 것이 하나의 통례가 되었다. 원대(元代)에는 거질의 《대원대일통지》(大元大一統志) 1300권이 편찬되었는데 이 책은 잔권과 인용 부분만이 남아있다.

처음 홍무(洪武) 3년(1370년) 위준민(魏俊民), 황지(黃篪), 유엄(劉儼), 정봉(丁鳯) 등이 《대원대일통지》의 체제를 따라 초안을 잡아 《대명지서》(大明志書)라는 이름으로 처음 편찬하였다. 홍무 6년(1373년) 편찬된 이 책은 홍무 17년(1384년) 《대명청류천문분야서》(大明清類天文分野書) 24권에 편성되었고, 경태(景泰) 7년(1456년) 119권으로 완성되어 《환우통지》(寰宇通志)라 하였는데(전119권), 당시의 양경(兩京), 13포정사(布政司)를 강(綱), 여러 부주(府州)들을 목(目)으로 하고 그 아래에 건치(建置), 연혁(沿革), 관할 군(郡)의 이름들과 산천, 형승(形勝), 풍속(風俗), 토산(土產) 등 38개 문(門)으로 되어 있었다.

《환우통지》가 완성된 이듬해에 탈문의 변으로 경태제로부터 제위를 빼앗은 영종은 연호를 천순(天順)으로 바꾸고, 이현(李賢) 등에게 《환우통지》의 개정을 명했다. 앞서 홍무제·영락제(永楽帝) 이래 중국 각지에서는 그 지역의 지방지(地方志)가 편찬되고, 천순 연간까지 그러한 지방지의 수는 257종에 달해 있었다. 이미 영락제 때에도 이러한 지방지들을 토대로 하는 종합적인 지리지의 편찬을 시도했지만 미완으로 그쳤다.

홍무제 때 편찬된 《대명지서》는 천순 2년(1458년) 8월에 《환우통지》의 중수를 시작할 때까지도 남아 있었는데, 천순 5년(1461년)에 중수 작업이 완료된 뒤 간행이 중지되어 현재는 전하지 않는다. 새로 중수된 《환우통지》에는 《대명일통지》라는 이름이 붙었다. 이 책은 이후 홍치(弘治), 만력(萬曆) 연간에 중수하면서 다시금 수정을 거쳤고, 가정(嘉靖), 융경(隆慶) 연간에 이후의 내용이 더 추가된다.

판본 편집

《대명일통지》는 명 영종 때의 원판(필사본) 외에도 홍치 18년(1505년) 신독재(慎獨齋) 간본, 만력 16년 양간귀인재(楊刊歸仁齋) 간본, 천계(天啟) 5년(1625년)의 간행된 대자본(大字本), 만수당(萬壽堂) 간본 및 1965년에 대만에서 펴낸 영인본(影印本) 등이 있다. 《대명일통지》 이후 청대에도 《대청일통지》(大清一統志)가 편찬되었다.

구성 편집

《대명일통지》는 첫머리에 「대명일통지도」(大明一統之図)라는 이름의 지도를 실었다. 권1부터 권88까지는 전국을 직예(直隷)[3]와 13개 포정사사(布政使司)[4]로 나누었다. 각각의 포정사사에 대해서는 우선 전체 지도를 싣고, 이어 그곳에 속한 부(府) 및 주(州) 등등을 기술하고 각 부의 이정(里程)이나 건치 연혁, 소속 현 일람, 군의 이름을 적고 형승(形勝)·풍속·산천·토산·공서(公署)·학교·서원·궁실·관량(関梁)·사관(寺観)·사묘(祠廟)·능묘(陵墓)·고적(古蹟)·명환(名宦)·유우(流寓)·인물(人物)·열녀(列女)로 나누어 설명하였다.

마지막 2권은 외이(外夷) 즉 중국 외부의 국가인 조선·여진(女直)·일본·류큐(琉球) 등이 실려 있으며, 설명은 각국의 연혁·풍속·산천·토산만을 간단하게 다루었다.

영향 편집

한국의 조선 왕조에서는 15세기부터 여러 종의 지지(地誌)가 편찬되었는데 대명일통지의 영향을 받아 성종 12년(1481년) 전국적인 규모의 지리지인 《동국여지승람》(東国輿地勝覧)(50권)이 편찬되고, 여러 차례의 개정을 거쳐 중종 25년(1530년)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増東国輿地勝覧)이 완성되었다. 그리고 이 책의 체제를 답습한 각 군현의 「읍지」(邑誌) 편찬으로 이어지게 된다.

《대명일통지》는 일본에도 전해져 영향을 주어 에도 시대(江戸時代)에 화각본(和刻本)으로 출판되었으며, 《예비국군지》(芸備国郡志)·《옹주부지》(雍州府志)·《아이즈 풍토기》(会津風土記)·《오기내지》(五畿内志) 등의 지방지들이 《대명일통지》의 체제를 본따 편찬되었다. 메이지(明治) 초기 《대일본국지》(大日本国誌) 아와(安房)도 중국의 《대명일통지》나 《대청일통지》 형식의 지리지였다.

각주 편집

  1.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 “일본 도쿄 대학 동양 문화 연구소 간개-대명일통지”. 2015년 4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5월 27일에 확인함. 
  3. 경사(京師)와 양경(南京).
  4. 산서(山西)·산동(山東)·하남(河南)·섬서(陝西)·절강(浙江)·강서(江西)·호광(湖広)·사천(四川)·복건(福建)·광동(広東)·광서(広西)·운남(雲南)·귀주(貴州)