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의 공기가 자유를 만든다

"도시의 공기가 자유를 만든다"(독일어: Stadtluft macht frei 슈타트루프트 마흐트 프라이[*]) 또는 1년하고 하루를 지내면 도시의 공기가 당신을 자유롭게 한다(독일어: Stadtluft macht frei nach Jahr und Tag 슈타트루프트 마흐트 프라이 나흐 야어 운트 타크[*])는 도시의 자유에 대한 중세 법률을 요약한 격언이다. 1년하고 하루는 중세 유럽 대부분의 지역에서 법률적 효력을 얻기 위한 기준이 되는 기간이었다.

슬로바키아 스피슈스카 소보타의 중세 시기 광장

개요 편집

11 세기부터 옛 로마 제국게르만족의 해방 된 농노들제3계급은 유럽의 여러 곳에 새로운 정착지를 세웠다. 이렇게 새워진 도시의 주민들은 당시 관습법에 의해 1년을 초과하는 날로부터 이전의 신분과 상관 없이 도시민으로 인정받았다. 농노들은 자유를 위해 종종 도시로 탈주하였다.[1] 뮌스터 반란과 같은 사건은 이러한 조건을 배경으로 형성되었다.[2]

중세의 도시는 지역마다 매우 다양한 형태를 보이고 있었다. 이탈리아의 북부의 경우 피핀의 기증을 통해 형성된 교황령과 그 인근 도시는 형식적으로는 신성 로마 제국의 관할 아래 있었지만, 실제로는 독립된 도시 국가로 그 규모도 십만에서 수십만명을 아우르고 인근 농촌 지역을 영토로 삼고 있었다. 메디치가가 한동안 수장 노릇을 한 피렌체와 같은 곳이 대표적이다.[3] 한편 알프스 이북의 도시들은 인구가 많아도 4-5만에 불과하였고 거주민 상당수는 길드에 속한 장인과 도제, 그리고 귀족의 시종, 성당의 참사회원과 같은 이들이었다. 따라서 중세 도시의 자유 역시 이들의 직업에 관련한 특권일 뿐 근대의 자유 개념과는 차이가 있다.[4]

1231-1232년 무렵 신성 로마 제국공작의 호의로 불린 이 관습법을 누구도 다른 사람을 해치거나 체포할 수 없는 성소에 대한 관습과 함께 공식적으로는 폐지하였다. 이에 따라 자유제국도시를 비롯한 독일 지역 공작령들의 도시는 도망친 농노를 보호할 수 없었다. 한편, 도시민이라고 하여 모두 시민권을 갖고 있는 것은 아니었다. 공화국이었던 베네치아의 경우도 주민의 3% 정도만이 시민권을 가지고 있었다. 도망친 농노가 도시에 들어갔다고 하더라도 바로 자유를 얻을 수는 없었다는 뜻이다.[5]

중세의 자유 개념은 근대의 기본권과 달리 관습선례에 기초한 전통적인 집단적 권리와 특권으로 국한되어 있었다. 이를테면 잉글랜드의 런던탑은 별개의 자치권을 보유하고 있었다.[6]

중세 도시들은 길드를 중심으로 치안과 사법, 상업 행위와 같은 일련의 권한을 특허장을 통해 보장 받는 형식으로 자치권을 보장받아 발달하였다.[7] 이러한 도시의 자유는 명예혁명이나 미국 독립 혁명, 프랑스 혁명 등을 통해 개개인 모두에게 적용되는 기본권인 시민자유로 그 개념이 확장되게 되었다.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역사에세이-유라시아 천년/(11)중세의 도시-샹파뉴 지방의 정기시장, 한국일보, 2000년 11월 29일
  2. 네덜란드 재세례파의 급진적 종교개혁, 고신뉴스, 2017냔 7월 19일
  3. 라우로마르티네스, 김기협 역, 《메디치가 살인사건의 재구성》, 푸른역사, ISBN 978-89-91510-66-1, 9-11쪽
  4. 자유로운 유럽 중세도시'라는 신화, 프레시안, 2007년 11월 13일
  5. 유럽 중세도시의 실상, 프레시안, 2007년 11월 15일
  6. "Tower Chambers - Traitors' Bridge - A Dictionary of London (1918)"
  7.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 중세 도시의 발달

참고 문헌 편집

  • Heinrich Mitteis (1952년) : "Uber den Rechtsgrund des Satzes»"City Air에서 무료 제공 : ": Festschrift Edmund E. Stengel, 70 번째 생일, Munster-Cologne, 342-358. (Die Stadt des Mittelalters) ", Vol 2, eds. C. Haase, Darmstadt 1976, p. 182-202. ISBN   3-534-0468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