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굴의 우화

(동굴의 비유에서 넘어옴)

동굴의 비유(영어: Allegory of the Cave 또는 Plato's Cave)는 이데아론을 설명하기 위해서,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 플라톤이 생각한 비유이다. '국가' 제7권에서 상술된다.

구속되어 벽을 마주본 사람들은 그림자만을 봐 그것을 실체라고 믿어 버리고 있다.

'국가' 제7권의 기술 편집

(514A-515A) …… 지하의 동굴에 살고 있는 사람들을 상상해 보자. 빛으로 향한 동굴의 좁은 통로가 입구까지 달하고 있다. 사람들은 어릴 적부터 손과 발, 목이 속박되고 있어 움직이지도 못하고, 쭉 동굴의 안쪽을 보면서, 되돌아 보는 것도 할 수 없다. 입구의 아득한 위쪽에 불이 불타고 있고, 사람들을 뒤로부터 비추고 있다. 불과 사람들의 사이에 길이 있어, 길을 따라서 낮은 벽이 만들어져 있다. …… 벽을 따라서, 여러가지 종류의 도구, 나무나 돌 등으로 만들어진 인간이나 동물의 상이 벽 위에 옮겨져 간다. 옮겨 가는 사람들 속에는 소리를 내는 것도 있으며, 입 다물고 있는 것도 있다. ……

해설 편집

동굴에 사는 속박된 사람들이 보고 있는 것은 '실체'의 '그림자'이지만, 그것을 실체라고 믿어 버리고 있다. '실체'를 옮겨 가는 사람들의 소리가 동굴의 안쪽에 반향하고, 이 믿음은 확신으로 바뀐다. 똑같이, 우리가 현실에 보고 있는 것은 이데아의 '그림자'에 지나지 않다고 플라톤은 생각한다.

즉, 세상 만물은 동굴 벽에 비친 그림자에 불과하고 동굴 밖에 실체가 존재하며 인간은 그 실체를 보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리처드 루이스 네틀쉽의 해석 편집

네틀쉽은 동굴의 비유가 일반적 인간 안의 지적인 불능을 표현한다고 보았다. 이것은 철학자의 진리추구하는 지능과 일반인의 지능을 대조하기 위함이다.

A.S. 퍼거슨의 해석 편집

퍼거슨은 이 비유에서 동굴은 인간의 본성을 유추하고 그것이 철학자의 것과 세상의 정치적 조건이 부패한 것을 대조하기 위한 것으로 해석하였다.

한나 아렌트의 해석 편집

아렌트는 이 비유의 정치적 해석을 옹호하면서 플라톤이 이 이론을 정치에 적용하기 원했다고 보았다.

같이 보기 편집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