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부마운틴코아티

동부마운틴코아티 또는 동부난쟁이코아티(Nasuella meridensis)는 아메리카너구리과에 속하는 코아티의 일종으로 베네수엘라 서부 안데스산맥의 해발 고도 2000~4000m 높이의 운무림(雲霧林)과 파라모(paramo, 남아메리카 열대 지역의 고지 평원) 지역에서 발견된다.[1]

동부마운틴코아티
생물 분류ℹ️
계: 동물계
문: 척삭동물문
강: 포유강
목: 식육목
아목: 개아목
과: 아메리카너구리과
속: 마운틴코아티속
종: 동부마운틴코아티
(N. meridensis)
학명
Nasuella meridensis
(Thomas, 1901)
아종
  • 본문 참조

2009년까지 서부마운틴코아티의 아종으로 간주하곤 했으나, 동부마운틴코아티가 전체적으로 더 작고 평균보다 다소 작은 꼬리를 갖고 있으며, 확실히 작은 이빨과 연한 올리브-갈색 털, 그리고 등쪽 중간에 어두운 색 줄무늬가 있다(반대로 서부마운틴코아티는 등쪽 중간에 어두운 줄무늬가 없이 좀더 불그스름하거나 거무스름한 색을 띤다.).[1]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이 정보부족종(DD, data deficient species)로 분류하고 있지만,[2] 분리된 이후의 등급은 알 수 없다.[2][1]

계통 분류 편집

다음은 라쿤과의 계통 분류이다.[3][4][5]

라쿤과
킨카주속

킨카주

올링고속

올링기토

북부올링고

서부저지대올링고

동부저지대올링고

긴코너구리

남아메리카코아티

흰코코아티

마운틴코아티속

동부마운틴코아티

서부마운틴코아티

라쿤속

라쿤

게잡이라쿤

카코미슬고양이속

카코미슬고양이

알락꼬리고양이

각주 편집

  1. Helgen, K. M., R. Kays, L. E. Helgen, M. T. N. Tsuchiya-Jerep, C. M. Pinto, K. P. Koepfli, E. Eizirik, and J. E. Maldonado (2009). Taxonomic boundaries and geographic distributions revealed by an integrative systematic overview of the mountain coatis, Nasuella (Carnivora: Procyonidae). Small Carnivore Conservation. 41: 65–74
  2. Reid, F. & Helgen, K. (2008). Nasuella olivacea. 2010 IUCN 위기종의 적색 목록. IUCN 2010. 2011년 2월 14일 내려받음.
  3. K.-P. Koepfli, M. E. Gompper, E. Eizirik, C.-C. Ho, L. Linden, J. E. Maldonado, R. K. Wayne (2007). “Phylogeny of the Procyonidae (Mammalia: Carvnivora): Molecules, morphology and the Great American Interchange”. 《Molecular Phylogenetics and Evolution》 43 (3): 1076–1095. doi:10.1016/j.ympev.2006.10.003. PMID 17174109. 
  4. Helgen, K. M.; Pinto, M.; Kays, R.; Helgen, L.; Tsuchiya, M.; Quinn, A.; Wilson, D.; Maldonado, J. (2013년 8월 15일). “Taxonomic revision of the olingos (Bassaricyon), with description of a new species, the Olinguito”. 《ZooKeys》 324: 1–83. doi:10.3897/zookeys.324.5827. 
  5. Eizirik, E.; Murphy, W. J.; Koepfli, K.-P.; Johnson, W. E.; Dragoo, J. W.; Wayne, R. K.; O’Brien, S. J. (2010년 2월 4일). “Pattern and timing of diversification of the mammalian order Carnivora inferred from multiple nuclear gene sequences”. 《Molecular Phylogenetics and Evolution》 56 (1): 49–63. doi:10.1016/j.ympev.2010.01.033. PMID 20138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