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무아브르의 공식

복소수와 삼각함수에 관한 정리

수학에서 드무아브르의 공식(영어: de Moivre’s formula) 또는 드무아브르의 정리(de Moivre's theorem)는 임의의 복소수극형식으로 나타내었을 때 성립하는 다음 등식을 의미한다. 이 식에서 i허수 단위를 뜻한다.

이 공식은 복소수와 삼각 함수간의 관계를 보여준다.

가 실수라는 가정하에, 좌변을 전개하면 실수부와 허수부로 나눌 수 있다. 이를 이용하면 만을 사용하여 을 나타내는 식을 쉽게 유도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의 복소근을 쉽게 구할 수 있다.

유도 편집

역사적으로 오일러의 공식보다도 더 먼저 증명되었지만, 오일러 공식을 사용하면 이를 쉽게 유도할 수 있다.

 

지수 함수의 성질에 의하여 다음 식을 얻을 수 있다.

 

그러면, 오일러의 공식에 의하여 다음 식을 얻을 수 있다.

 

수학적 귀납법을 이용한 증명 편집

세 가지 경우로 나누어 생각한다.

 인 정수에 대하여, 수학적 귀납법을 사용하여 이를 증명할 수 있다.  일 때, 이 등식은 참이다. 이제  일 때 다음의 식이 성립한다고 가정하자.

 

이제  일 때 식이 성립하는지를 확인하면,

 

이 식이  일 때도 참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수학적 귀납법에 의하여  인 모든 양의 정수에 대하여 식이 성립한다.

이제  일 때 공식이 성립하는지를 확인하여 보면,   또는  라는 약속에 의하여 성립한다.

이제  일 때 공식이 성립하는지를 확인하여 보자. 우선  을 만족하는 양의 정수  에 대하여 생각하여 보면,

 

이 식이 모든 정수에 대하여 성립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코사인과 사인 부분을 각각 증명하는 방법 편집

복소수의 성질에 의하여, 두 복소수가 같으려면 실수부와 허수부가 같아야 한다.
만약   가 실수라면, 아래와 같은 식을 얻을 수 있다.

 

이 식은  가 복소수일 때에도 양변이 정칙함수이므로, 그 성질에 의하여 성립한다. 위의 식이 실제로 성립하는지 확인해보기 위해  을 대입해보면,

 

 에 대한 등식의 우변은, 실제로는 체비쇼프 다항식  의 값이다.

일반화 편집

이 공식은 더 일반적으로 확장할 수 있다.   가 복소수라면,  와는 달리

 

여러값 함수(multivalued function)이다. 따라서

 

 의 여러 값중 하나일 뿐이다.

 
복소평면위에 찍은  의 근.

활용 편집

이 공식은  의 복소근을 구하는 데에 활용할 수 있다. 만약  가 복소수라면, 이는 극형식 형태로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이 때  가 정수라면,

 

 개의 서로 다른 근을 구할 때,  부터  까지의 값을 대입해주면 쉽게 그 값을 구할 수 있다.

또한 이 공식은 고차방정식의 특수형태인,  의 꼴로, 이항방정식 이되겠다.

역사 편집

아브라암 드무아브르가 발견하였다. 허수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은 없다.[1][2]

같이 보기 편집

참고 문헌 편집

  • Milton Abramowitz and Irene A. Stegun, Handbook of Mathematical Functions, (1964) Dover Publications, New York. ISBN 0-486-61272-4. (p. 74).

각주 편집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