류공권(柳公權, 1132년 ~ 1196년)은 고려문신이다. 는 정평(正平)이며 본관은 문화(文化)이다.

생애 편집

문화 류씨 시조 고려 통합삼한익찬벽상공신 대승(高麗 統合三韓翊贊壁上功臣 大丞) 류차달(柳車達)의 6세손이며, 부친은 소감 류총(柳寵)이다.

류공권의 선대는 류차달 - 류효금(柳孝金 ; 좌윤 左尹) - 류금환(柳金奐 ; 대장군중윤 大將軍中尹) - 류노일(柳盧一 ; 檢校大將軍 行散員) - 류보춘(柳寶春 ; 檢校少府少監) - 류총(柳寵 ; 검교소부소감 檢校少府少監) - 류공권(柳公權)으로 이어진다.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권(卷) 48, 제계고(帝系考) 9, 부록 씨족(附錄 氏族) 3, 문화류씨(文化柳氏)에 의하면 류차달은 월흑산(月黑山)의 장(長) 류보림(柳普林)의 아들로 원래 이름은 류해(柳海)였는데, 고려 태조(高麗 太祖)가 견훤(甄萱)을 정벌할 당시 수레(車) 1천량(一千輛)을 제작, 사고(私庫)를 털어 군량을 보급한 공으로「柳車達」이라는 이름을 받았다고 한다.

어려서부터 책 읽기를 좋아하여 다른 기예에는 관심을 두지 않았으며, 1155년(의종 9) 5월 어사중승 이공승(1099-1183 ; 문극겸의 예부시(과거 본시험) 좌주)이 주관한 국자시(國子試)에 합격하고, 1160년(의종 14) 김영부(金永夫)[1]의 문하(門下)에서 을과(乙科)로 급제하였다.

당시 류공권과 함께 급제한, 동방(同榜)들은 최효저, 윤종양(1143-1188 ; 윤관의 손자인 윤인첨의 아들), 조영인(1133-1202 ; 조충의 아버지), 최선(1138-1209; 최유청의 아들) 등이다.

이듬해 청주목장서기(淸州牧掌書記)에 임명되어 3년 간 재임하다가 익양부녹사(翼陽府錄事)로 승진했고, 1170년(명종 즉위년) 명종(明宗)이 즉위하자 내시(內侍)가 되어 사문박사(四門博士)·직사관(直史館)에 임명되었다. 그 후 군기시(軍器寺)와 대부시(大府寺)의 주부(注簿), 합문지후(閤門祗候), 전중내급사(殿中內給事), 상의봉어(尙衣奉御), 호부원외랑(戶部員外郞), 공부(工部)와 병부(兵部)의 낭중(郎中)의 낭중을 지냈고, 1182년(명종 12) 국학직강(國學直講)을 겸했다.

이듬해 장작소감(將作少監)·사경(司經)으로 승진했다가 중윤(中允)·충사관수찬관(充史館修撰官)으로 옮겼고, 또 그 이듬해에는 군기감(軍器監)·동궁시강학사(東宮侍講學士)로 승진했다.[2] 1186년(명종 16) 예빈경(禮賓卿)으로서 왕명을 받들고 만춘절(萬春節)을 하례하러 금에 사신으로 갔는데, 행동거지가 법도와 예의에 어긋나는 것이 없으므로 금나라 사람들이 그가 예법에 밝은 사람이라고 칭찬하였으며[3], 귀국한 후 왕이 그 사명을 욕되게 하지 않았음을 가상하게 여겨 이부시랑(吏部侍郞)으로 옮겼다가, 예빈경·우부승선(右副承宣)에 임명되었다. 1189년(명종 19) 5월 국자시를 주관하여 정수강(鄭守剛), 이규보(李奎報) 등을 선발했고, 이듬해 판대부사(判大府事)·우승선(右承宣)으로 승진했으며, 또 그 이듬해 국자감대사성(國子監大司成)이 더해지고 찬선대부(贊善大夫)를 겸하였다. 1192년(명종 22) 한림학사(翰林學士)에 임명되고 동지공거(同知貢擧)로서 과거를 주관했으며, 이듬해 좌산기상시(左散騎常侍)[4]·지주사(知奏事)·지이부사(知吏部事)로 옮겼다.[2]

1194년(명종 24) 올리는 건의가 왕의 뜻에 잘 맞아 도움 되는 바가 많았다 하여 동지추밀원사(同知樞密院事)·빈객(賓客)에 임명되고 재추의 반열에 들어갔으나, 이듬해 갑자기 풍질(風疾)이 들어 퇴직을 요청했다.

명종은 처음에는 그의 글재주를 아꼈으므로 “조정에 덕망이 높은 원로가 남아 있는 것은 사직의 복인데 경은 왜 빨리 물러나려 하는가?”라고 하며 보내지 않으려 했으나, 류공권이 3번이나 글을 올리니 그제야 사직을 허락했다.

또 그 이듬해 병이 들어 친족들이 약을 올렸으나, 류공권은 “죽고 사는 것은 운명이다.”라며 물리치고 약을 먹지 않았으며, 병이 위독해지자 왕이 특별히 정당문학(政堂文學)·참지정사(叅知政事)·판예부사(判禮部事)의 관직을 내렸다. 같은 해 1196년 7월 19일 65세로 졸하니 시호를 문간(文簡)이라 했다.[3] 그리고 8월 13일 경신일에 왕경 개성부 송림군(王京 開城府 松林郡) 서산(西山) 남쪽 기슭에 장례지냈다.

평가 편집

『고려사』는 류공권에 대해 그의 열전에서 이렇게 평했다.

류공권은 청렴하고 공평했으며 관직에 있을 때 충실히 임무를 수행했다.

또한 초서(草書)와 예서(隸書)를 잘 썼다고 한다.

가족 관계 편집

  • 6대조 - 류차달(柳車達)[3] : 대승(大丞), 태조(太祖)의 공신, 문화 류씨 시조
    • 증조 - 류노일(柳盧―)[2] : 검교대장군(檢校大將軍)·행산원(行散員)
      • 조부 - 류보춘(柳寶春)[2] : 검교소부소감(檢校少府少監)
        • 아버지 - 류총(柳寵)[2] : 검교소부소감
        • 어머니 - 이씨(李氏)[2]
          • 부인 - 대부주부(大府注簿) 손각(孫珏)의 딸[2]
            • 장남 - 류언침(柳彦琛) : 추밀원사(樞密院使)·예부상서(禮部尙書)
            • 차남 - 류택(柳澤)[5] : 우복야(右僕射)·한림학사승지(翰林學士承旨)
              • 손자 - 류경(柳璥, 1211년 ~ 1289년) : 첨의중찬(僉議中贊)·수문전대학사(修文殿大學士)·감수국사·상장군(上將軍)·판전리사사(判典理司事)·세자사(世子師)·문정공(文正公)
            • 사위 : 윤위(尹威)[6] : 국자사업(國子司業) / 파평 윤씨 윤위는 윤관의 증손자(가계 : 윤관-윤언인-윤덕첨-윤위) / 윤위의 아들인 윤극민(류공권의 외손자)의 사위가 충렬왕 대 중찬을 지낸 공암 허씨 허공

각주 편집

  1. 김보당(金甫當)의 아버지이다.
  2. 『류공권 묘지명』
  3. 『고려사 류공권전』
  4. 『고려사 류공권전』에는 우산기상시(右散騎常侍)로 기록되어 있다.
  5. 『고려사 류공권전』에는 류택이 장남, 류언침이 차남으로 기술되어 있으나, 『문화 류씨 가정보』에 의해 바로잡았다.
  6. 『문화 류씨 가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