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독균(梅毒菌, 영어: Treponema pallidum, T.P.)은 성병의 일종인 매독을 유발하는 균이다. 인간에게만 전염된다.[1] 일반적으로 길이가 6–15 μm이고, 폭이 0.1–0.2 μm인 나선 코일형 미생물이다.[2] 매독균의 대사에 에너지가 많이 소모되어 숙주인 사람의 대사 활동이 최소화 된다.[3] 매독균은 세포질 및 외부막을 가지고 있다. 광 현미경을 사용하여 암시 야조명(어두운 부분을 밝게 비추는 조명)을 사용하여 볼 수 있다. 매독균은 3가지 아종으로 구성되고, 각각은 뚜렷한 질병을 가지고 있다.[4]

매독균
매독균
매독균
생물 분류ℹ️
문: 나선상균문
강: 나선상균강
목: 나선상균목
과: 나선상균과
속: 트레포네마속
종: 트레포네마 팔리듐
(T. pallidum)
학명
Treponema pallidum
Schaudinn & Hoffmann, 1905

매독균의 아종 편집

알려진 매독균의 아종은 다음 세가지이다.[5]

  • T.P. pallidum - 매독을 일으키는 병균
  • T.P. endemicum - 풍토성 매독(베젤)을 일으키는 병균
  • T.P. pertenue - 매종(요스)을 일으키는 병균

매종, 풍토성 매독, 매독을 일으키는 3가지 아종은 형태학적으로, 그리고 혈청학적으로 구별할 수 없다.[2] 이 박테리아는 원래 다른 종으로 분류되었지만, DNA 혼성화 분석에 따르면, 동일한 종으로 판명되었다. 아종인 T.P. endemicum과 T.P. pertenue의 질병은 성병이 아닌 것으로 간주된다.[6] 숙주에 잘 침투하는 순으로 배열하면, T. P. pallidum이 가장 잘하고, 그 다음은 T.P. endemicum이며, T. p. carateum은 침투를 잘 하지 못하는 편이다.[7]

매독균 감염 특징 편집

중추 신경계를 침범하는 신경매독의 경우 증상이 없거나, 뇌막 자극 증상, 뇌혈관 증상 등이 발생할 수 있다.[8]

  • 1기 매독: 세균의 침범부위에 발생하는 무통성 궤양
  • 2기 매독: 피부 발진, 점막의 병적인 변화
  • 3기 혹은 후발 매독: 다양한 내부 장기 침범. 눈, 심장, 대혈관, 뼈, 관절 등
  • 신경매독: 뇌막 자극, 뇌혈관 침범

매독균 전파경로 편집

매독균의 가장 중요한 전파 경로는 성접촉이다. 1기 또는 2기 매독 환자와 성접촉시 약 50%가 감염이 될 수 있다. 그 외에 매독 환자인 엄마에서 태어난 어린이나 혈액을 통한 감염이 매독 전파의 경로로 알려져 있다.[9]

치료 편집

매독의 어느 단계에 해당하는지에 따라 결정된다.

  • 1기, 2기, 그리고 초기 잠복의 경우 페니실린 근육주사를 한 번 맞는 것으로 치료할 수 있다.
  • 후기 잠복 매독인 경우 중추신경계 침범이 없다면 일주일에 한 번씩 페니실린을 주사하는 치료법을 3주 동안 시행한다.
  • 신경 매독의 경우에는 수용성 페니실린을 정맥으로 주사하는 치료법을 10~14일간 시행한다. 환자가 페니실린에 의한 과민 반응이 있는 경우에는 적절한 대체 요법을 사용한다.

각주 편집

  1. 《Medical microbiology》 4판. Galveston, Tex.: University of Texas Medical Branch at Galveston. 1996. ISBN 0-9631172-1-1. 
  2. Radolf, Justin D. (1996). Baron, Samuel, 편집. 《Treponema》 4판. Galveston (TX): University of Texas Medical Branch at Galveston. ISBN 978-0-9631172-1-2. PMID 21413263. 
  3. Norris, S. J.; Cox, D. L.; Weinstock, G. M. (2001년 1월). “Biology of Treponema pallidum: correlation of functional activities with genome sequence data”. 《Journal of Molecular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3 (1): 37–62. ISSN 1464-1801. PMID 11200228. 
  4. Centurion-Lara, Arturo; Molini, Barbara J.; Godornes, Charmie; Sun, Eileen; Hevner, Karin; Van Voorhis, Wesley C.; Lukehart, Sheila A. (2006년 9월). “Molecular differentiation of Treponema pallidum subspecies”. 《Journal of Clinical Microbiology》 44 (9): 3377–3380. doi:10.1128/JCM.00784-06. ISSN 0095-1137. PMC 1594706. PMID 16954278. 
  5. Marks, Michael; Solomon, Anthony W.; Mabey, David C. (2014년 10월). “Endemic treponemal diseases”. 《Transactions of the Royal Society of Tropical Medicine and Hygiene》 108 (10): 601–607. doi:10.1093/trstmh/tru128. ISSN 1878-3503. PMC 4162659. PMID 25157125. 
  6. “Other Treponema pallidum infections ; Immigrant and Refugee Health ; CDC” (미국 영어). 2019년 2월 26일. 2020년 4월 28일에 확인함. 
  7. Radolf, Justin D. (1996). Baron, Samuel, 편집. 《Treponema》 4판. Galveston (TX): University of Texas Medical Branch at Galveston. ISBN 978-0-9631172-1-2. PMID 21413263. 
  8. “서울대학교병원”. 2020년 4월 28일에 확인함. 
  9. “매독”. 2020년 4월 28일에 확인함.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