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살영락본업경

보살영락본업경(菩薩瓔珞本業經)》(K.530, T.1485)은 대승불교경전으로, 보살본업(本業)인 10주(十住) · 10행(十行) · 10회향(十廻向) · 10지(十地) · 등각(等覺) · 묘각(妙覺)의 42현성(四十二賢聖)의 수행과 그에 따라 증득되는 수행의 결과 또는 과보를 설한 경전이다.[1][2]

영락(瓔珞, 산스크리트어: keyūra)은 보석 구슬을 꿰어서 만든 귀중품을 말한다.[3] 따라서 '보살영락본업경'의 문자 그대로의 뜻은 불과(佛果)를 장엄(莊嚴)하는, 여러 보석 구슬을 꿰어서 만든 귀중품으로서의 '보살의 본업(本業)'에 대한 경전이다.[4] 즉, 불과증득할 수 있게 하는 수행이자 또한 그 수행을 통해 성취하는 공덕42현성에 대한 경전이다. 이 경전에서는 42현성을 또한 본업영락(本業瓔珞)이라 칭하고 있는데,[5][6] 본업영락은 영락본업(瓔珞本業)이라고도 하며 《화엄경》 계통의 용어이다.[7] 그만큼 이 경전의 내용은 화엄교학과 일치하는 부분이 아주 많은데, 42현성영락본업 또는 본업영락은 《60권 화엄경》의 10주(十住) · 10행(十行) · 10회향(十廻向) · 10지(十地) · 등각(等覺)의 41위(四十一位)를 기반으로 한 것이다.[7][1][8]

상 · 하의 총 2권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10주의 첫 계위인 초주(初住)에 들기 위한 예비적인 수행으로 10신(十信)을 포함하고 있어 총 52위(五十二位)의 수행계위가 설정되어 있다. 그 명칭과 뜻이 잘 정리되어 있어 대승불교권에서는 이 경전에 나타난 52위보살대승불교의 수행자의 수행계위로 널리 채택하고 있다. 따라서, 《보살영락본업경》 또는 줄여서 《영락경(瓔珞經)》은 대승불교의 수행론을 다룰 때는 거의 언제나 빠짐없이 언급되는 경전이다.[7][9][10]

영락경》외에도 《보살영락경(菩薩瓔珞經)》《본업경(本業經)》《영락본업경(瓔珞本業經)》이라고도 불린다.[1][7] 본 명칭이 《보살영락경(菩薩瓔珞經)》이라 불리는 총 14권으로 이루어진 별도의 대승경전이 있고, 이 경전도 약칭으로 《영락경》이라고도 불리므로 구별할 필요가 있다.[11] 이 경전에는 52위에 대한 언급이 없으므로, 52위보살 수행계위와 관련하여 《영락경》 또는 《보살영락경》이라고 할 때는 《보살영락본업경》을 가리키는 경우이다.

《보살영락본업경》은 일반적으로 축불념(竺佛念)이 전진(前秦)시대인 374년에서 요진(姚秦)시대(384-417) 사이에 번역한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그러나 이 경전의 번역자에 대해서는 이설(異說)이 있으며, 중국에서 만들어진 위경(僞經)일 것이라는 학설도 있다.[1][7]

차례 편집

  • 상권
    1. 집중품(集衆品)
    2. 현성명자품(賢聖名字品)(명자품)
    3. 현성학관품(賢聖學觀品)
  • 하권
    1. 석의품(釋義品)
    2. 불모품(佛母品)
    3. 인과품(因果品)
    4. 대중수학품(大衆受學品)
    5. 집산품(集散品)

계율 편집

보살영락본업경은 범망경과 함께 매우 중요한 대중불교의 계율서로 간주된다. 대중수학품(大衆受學品), 집산품(集散品), 인과품(因果品) 그리고 현성명자품(賢聖名字品) 일부에서 계율을 설명한다.

그 내용은 10신(十信)과 삼수문(三受門), 즉 삼취정계(三聚淨戒)인데, 삼취정계는 섭선법계(攝善法戒), 섭중생계(攝衆生戒), 섭율의계(攝律義戒)이다.[12][13]

섭선법계는 8만 4천 법문(法門)이고, 섭율의계는 자(慈), 비(悲), 희(喜), 사(捨) 사무량심(四無量心)이다. 특히 섭율의계의 10바라이는 범망경10중대계(十重大戒)와 같아서, 근본불교의 계율과 대승불교의 계율을 하나로 통합한 것으로 볼 수도 있다.[13]

주석서 편집

같이 보기 편집

참고 문헌 편집

각주 편집

  1. 운허, "菩薩瓔珞本業經(보살영락본업경)". 2013년 4월 10일에 확인
    "菩薩瓔珞本業經(보살영락본업경):
    K-530, T-1485. 축불념(竺佛念)이 전진(前秦)시대인 374년에서 요진(姚秦)시대(384-417) 사이에 번역하였다. 줄여서 『보살영락경』ㆍ『본업경』ㆍ『영락경』ㆍ『영락본업경』이라고 한다. 보살의 본업인 10주(住)ㆍ10행(行)ㆍ10회향(廻向)ㆍ10지(地)ㆍ등각(等覺)ㆍ묘각(妙覺)의 42현성(賢聖)의 행업(行業)과 인과(因果)를 설한 경전이다. 『범망경』과 함께 대승의 계율을 설한 경전으로, 전체 8품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1 「집중품(集衆品)」에는 부처님이 발하신 42가지의 빛이 영락이 되어 불신(佛身)을 장엄하고 법계에 가득 하자, 시방 일체의 국토에서 수많은 보살들이 몰려오는 광경이 설해져 있다. 제2 「현성명자품(賢聖名字品)』에서는 부처님께서 42현성명문(賢聖名門)과 10원명자(願名字) 보살, 10종 불가회계(不可悔戒)에 대해 설하신다. 제3 「현성학관품(賢聖學觀品)』에서는 보살 명자(名字)의 의상(義相)을 배우고 관찰하는 것에 대하여 설하시는데, 습종성(習種性)ㆍ성종성(性種性)ㆍ도종성(道種性)ㆍ성종성(聖種性)ㆍ등각성(等覺性)ㆍ묘각성(妙覺性)의 6종성과 동ㆍ은ㆍ금ㆍ유리ㆍ마니ㆍ수정의 여섯 가지 영락을 연결지어 말씀하신다. 제4 「석의품(釋義品)」에서는 10주부터 묘각지의 의상(義相)에 대해 설하신다. 의(義)는 공덕을 가리키며, 보살의 체(體)로부터 나온다. 제5 「불모품(佛母品)」에서는 2제(諦)와 중도제일의제(中道第一義諦)에 대해 설하시고, 제6 「인과품(因果品)」에서는 3세의 모든 부처님이 행하신 인(因)인 10바라밀에 대해 설하신다. 제7 「대중수학품(大衆受學品)에서는 일체의 중생이 3보의 바다에 들어와서는 믿음으로 근본을 삼고 불가(佛家)에 들어와서는 계(戒)로써 근본으로 삼는데, 계는 일체행 공덕장의 근본이고 일체의 악을 없애는 정법의 밝은 거울이라고 말씀하시고, 섭선법계(攝善法戒)ㆍ섭중생계(攝衆生戒)ㆍ섭율의계(攝律義戒)와 3종의 수계(受戒)에 대해 설하신다. 제8 「집산품(集散品)」에서는 부처님께서 대중들에게 42현성의 인과법문을 들었으니 모두 3보리심을 일으키고 받아 지닐 것을 당부하신다. 이 경전의 42현성은 60권 『화엄경』에 의거한 것이며, 부분적으로는 『보살본행경』ㆍ『범망경』ㆍ『인왕반야경』ㆍ『보살지지론』ㆍ『우바새계경』 등과 밀접한 관련을 갖는다. 수(隋)의 천태대사와 당(唐)의 현수 법장이 이 경전을 중시하였으며, 주석서로는 원효의 『소(疏)』 하권만이 일본속장경에 전해지고 있는데 『의천록(義天錄)』에 의하면 이 소(疏)는 본래 3권이었다고 한다. 이 경의 번역자에 대해서는 이설(異說)이 있으며, 중국에서 만들어진 위경(僞經)일 것이라는 학설도 있다." 인용 오류: 잘못된 <ref> 태그; "FOOTNOTE운허"[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BB3B4EC82B4EC9881EB9DBDEBB3B8EC9785EAB2BDrowno1 菩薩瓔珞本業經(보살영락본업경)]". 2013년 4월 10일에 확인"이 다른 콘텐츠로 여러 번 정의되었습니다
  2. 곽철환 2003, "보살영락본업경(菩薩瓔珞本業經)". 2013년 4월 10일에 확인
    "보살영락본업경(菩薩瓔珞本業經):
    요진(姚秦)의 축불념(竺佛念) 번역. 십주(十住)·십행(十行)·십회향(十廻向)·십지(十地)·무구지(無垢地)·묘각지(妙覺地)의 42현성(賢聖), 삼취정계(三聚淨戒), 수계(受戒)의 공덕, 참회 등을 설한 경."
  3. 운허, "瓔珞(영락)". 2013년 4월 10일에 확인
    "瓔珞(영락): 【범】 keyūra 구슬을 꿰어 몸에 달아 장엄하는 기구. 인도의 귀인들은 남녀가 모두 영락을 입으며, 보살도 이것으로 단장. 후세에는 불상이나 불상을 모시는 궁전을 장엄할 적에 꽃모양으로 만든 금붙이와 주옥(珠玉)을 섞어 쓰는 것을 영락이라 함."
  4. 佛門網, "四十一位". 2013년 4월 10일에 확인
    "四十一位:
    出處: 丁福保《佛學大辭典》
    解釋: (名數)為菩薩之階位,十住,十行,十迴向,十地,及等覺是也。以此四十位修行之功德,而莊嚴佛果,故言四十一地之瓔珞等。【參見: 五十二位】"
  5. 축불념 한역 & T.1485, 상권. p. T24n1485_p1010b24 - T24n1485_p1010b27. 본업영락(本業瓔珞)
    "佛念吾等建立大志。乃悉現我諸佛世界所有好惡殊勝之土。佛所遊居闡隆導化。光明神足教誨我等開示我意。佛本業瓔珞十住十行十向十地無垢地妙覺地。"
  6. 축불념 한역, 노혜능 번역 & K.530, T.1485, 상권. p. 2 / 62. 본업영락(本業瓔珞)
    "부처님이시여, 저희들이 큰 뜻을 세운 것을 생각하여 주시고, 또한 저희들에게 모든 부처님 세계에 있는 좋거나 나쁘거나 수승한 국토를 나타내어 주소서. 부처님께서 노니시는 곳마다 교화를 일으키시며, 빛나는 신통력으로써 저희들을 가르치고 일깨우시며 저희들의 뜻을 열어보여 주소서. 저희들을 위해 부처님의 본업영락(本業瓔珞)인 십주(十住)ㆍ십행(十行)ㆍ십회향[十向]ㆍ십지(十地)ㆍ무구지(無垢地)ㆍ묘각지(妙覺地)를 말씀해 주소서."
  7. 星雲, "菩薩瓔珞本業經". 2013년 4월 10일에 확인
    "菩薩瓔珞本業經:  凡二卷。竺佛念譯於姚秦建元十二至十四年(376~378)。又稱菩薩瓔珞經、瓔珞本業經。或單稱瓔珞經、本業經。乃敘說菩薩階位及其三聚淨戒等之因行。收於大正藏第二十四冊。「瓔珞本業」乃華嚴系統之用語,故本經與華嚴之教相相合之處甚多。尤以立十信、十住、十行、十迴向、十地、無垢地、妙覺等五十二位菩薩行位而有名。
     全經分八品:集眾品、賢聖名字品、賢聖學觀品、釋義品、佛母品、因果品、大眾受學品、集散品,以闡述菩薩之階位及修行。在大眾受學品敘說「三聚淨戒」,以八萬四千法門作攝善法戒;以慈悲喜捨四無量心作攝眾生戒;以十波羅夷作攝律儀戒(此十波羅夷與梵網經之十重戒相同)。本經受梵網經之影響甚深,其三聚淨戒之內容,均屬大乘戒。特點在於菩薩戒有受法而無捨法,一得永不失;即使犯波羅夷戒,亦不失戒體。並主張戒以心為體。
     考據本經於印度並無史實之根據,於我國,自「法經錄」以來之一般經錄,皆載為姚秦之譯經家竺佛念所譯,然「出三藏記集」之譯經部分則無本經之名,而將之列於失譯雜經錄之中;「歷代三寶紀」載本經除竺佛念譯之外,尚有宋代智嚴所譯。而近代有學者根據譯者之不確定,並經由內容之檢討,主張本經乃我國所撰述。〔菩薩戒經義疏卷上、梵網菩薩戒本疏卷一、古今譯經圖紀卷三、大唐內典錄卷三、開元釋教錄卷四、卷五、卷十二〕 p5227" 인용 오류: 잘못된 <ref> 태그; "FOOTNOTE星雲"[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17779DTITLEB5D0C2C4C4EDAF5FA5BBB77EB8g 菩薩瓔珞本業經]". 2013년 4월 10일에 확인"이 다른 콘텐츠로 여러 번 정의되었습니다
  8. 星雲, "四十一位". 2013년 4월 10일에 확인
    "四十一位:  即華嚴經所說之大乘菩薩修行階次。菩薩之修行,漸次臻於佛果之階位有:十住、十行、十迴向、十地,及等覺等四十一位。有關菩薩修行之階次,諸經論所說不一,唯識家亦採取四十一位之說;仁王般若波羅蜜經卷上菩薩教化品則於上記四十一位之前,別立「十信」,而有「五十一位」之說;菩薩瓔珞本業經卷上所說之五十二位,歷來被視為最周全,係於五十一位之後,即等覺位之後,另加「妙覺」之位。〔華嚴五教章卷二、卷三、華嚴探玄記卷四、四教義卷五〕(參閱「五十二位」1044、「菩薩階位」5221) p1628"
  9. 운허, "五十二位(오십이위)". 2013년 4월 9일에 확인
    "五十二位(오십이위): 보살수행의 계위를 52로 나눈 것. 곧 10신(信)ㆍ10주(住)ㆍ10행(行)ㆍ10회향(廻向)ㆍ10지(地)ㆍ등각(等覺)ㆍ묘각(妙覺). 전(前)의 51위는 수행의 인(因), 후의 1위는 수행의 과(果)."
  10. 星雲, "五十二位". 2013년 4월 9일에 확인
    "五十二位:  大乘菩薩之五十二種階位。即十信、十住、十行、十迴向、十地、等覺、妙覺。此等菩薩之階位,諸經論所說不一,如華嚴經說十住、十行、十迴向、十地、佛地等四十一位;仁王經卷上菩薩教化品說十善、三賢三十心、十地、佛地等五十一位;菩薩瓔珞本業經則舉前位十信與四十二賢聖位,稱為十信心、十心住、十行心、十迴向心、十地心、入法界心、寂滅心;大佛頂首楞嚴經卷八更於十信之前說乾慧地,於十迴向之後加煖、頂、忍、世第一法等四善根,合為五十七階位。其中,瓔珞經所舉之五十二位名義整足,位次無缺,故自古廣為大乘諸家所採用,其名數為:(一)十信心,即信心、念心、精進心、慧心、定心、不退心、迴向心、護法心、戒心、願心。(二)十心住,即發心住、治地心住、修行心住、生貴心住、方便心住、正心住、不退心住、童真心住、法王子心住、灌頂心住。(三)十行心,即歡喜心行、饒益心行、無瞋恨心行、無盡心行、離癡亂心行、善現心行、無著心行、尊重心行、善法心行、真實心行。(四)十迴向心,即救護一切眾生離相迴向心、不壞迴向心、等一切佛迴向心、至一切處迴向心、無盡功德藏迴向心、隨順平等善根迴向心、隨順等觀一切眾生迴向心、如相迴向心、無縛解脫迴向心、法界無量迴向心。(五)十地心,即四無量心、十善心、明光心、焰慧心、大勝心、現前心、無生心、不思議心、慧光心、受位心。第四十一地之心稱為入法界心,即為等覺。第四十二地之心稱為寂滅心,即為妙覺。此中,十住、十行、十迴向、十地、等覺與妙覺,依次配習種性、性種性、道種性、聖種性、等覺性、妙覺性等。〔梁譯攝大乘論釋卷七、瑜伽師地論略纂卷十二、法華經玄義卷四下、成唯識論述記卷九末、菩薩戒義疏卷上、華嚴經探玄記卷五至卷十四〕(參閱「菩薩階位」5221) p1044"
  11. 운허, "菩薩瓔珞經(보살영락경)". 2013년 4월 10일에 확인
    "菩薩瓔珞經(보살영락경):
    K-385, T-656. 전진(前秦)시대에 축불념(竺佛念)이 376년에 장안(長安)에서 번역하였다. 줄여서 『영락경』이라고 하며, 별칭으로 『현재보경(現在報經)』이라고도 한다. 보칭품ㆍ식공품ㆍ장엄도수품ㆍ용왕욕태자품ㆍ법문품ㆍ식계품ㆍ제불권조품ㆍ여래품ㆍ음향품ㆍ인연품으로부터 무아품ㆍ등승품ㆍ삼계품 등의 45품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주로 보살도(菩薩道)에 대하여 설한 경전이다. 부처님께서 마갈계(摩竭界)의 보승(普勝) 강당에 머무실 때, 여러 비구와 보살ㆍ천신 등이 함께 모인 자리에서 보조(普照)보살의 질문에 대해 보살도를 수행하는 10가지 공덕과 보살법의 영락 등을 설명하신다. 또한 부처님께서는 보살 영락 8만 법문을 비롯하여 6법 청정 영락ㆍ공혜(空慧) 무착행(無着行)ㆍ4신족행(神足行)ㆍ12인연법ㆍ4성제ㆍ3선(禪)ㆍ3승(乘)ㆍ10종 무상법(無相法)ㆍ10종 부사의행(不思議行)ㆍ10종 무아행(無我行) 등을 상세히 설하신다."
  12. http://100.daum.net/encyclopedia/view.do?docid=b09b3482a[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13. 목정배 (2001). 〈3〉. 《계율학 개론》. 합천: 장경각. 196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