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둘기자리 알파

비둘기자리 알파(Col)는 비둘기자리 방향에 있는 3등급 밝기의 항성이다. 옛날부터 불러오던 이름으로 팍트가 있는데 이는 아랍어로 '잿빛낭비둘기'라는 의미이다. 겉보기 등급은 2.6으로[3] 비둘기자리에서 가장 밝다. 히파르코스 미션 중 얻은 시차 자료에 기반하여 얻은 이 별과 지구 사이 거리는 약 261 광년(80 파섹)이다.[2]

비둘기자리 알파
명칭
다른 이름 α Col, CCDM J05396−3404 A, CD−34 2375, CPD−34 703, FK5 215, GC 7078, HD 37795, HIP 26634, HR 1956, NSV 2549, PPM 281732, SAO 196059.[1]
관측 정보
(역기점 J2000.0)
별자리 비둘기자리
적경(α) 05h 39m 38.94103s[2]
적위(δ) −34° 04′ 26.7950″[2]
겉보기등급(m) 2.645[3]
절대등급(M) −1.9
위치천문학
연주시차 12.48 ± 0.36 밀리초각[2]
성질
분광형 B7 IV[4]
추가 사항
질량 4.5 M[5]
표면온도 12,963 K[6]
표면 중력 (log g) 3.73[6]
자전 속도 176[7]
항성 목록

겉보기등급순 · 절대등급순
거리순 · 질량순 · 반지름순

 물리적 특징 편집

단독성으로 여겨지고 있으나[8][7] 각거리 13.5초각 거리에 희미한 안시 동반천체가 있어 이중성으로 분류할 수 있다.[9] 분광형은 B7 IV로[4] 여기에서 광도분류 IV는 알파별이 항성진화 단계에서 준거성에 돌입했음을 뜻한다. 스펙트럼비이형 별의 특징이 나타나는데 이는 별로부터 뿜어져 나온 뜨거운 가스가 별 주위에 있다는 뜻이며 수소 재결합 현상으로 인해 방출선을 만들어 낸다.[10] 비슷한 분광형 모든 별이 그렇지는 않으나, 알파별과 같은 B형 별은 빠르게 회전하고 있으며 그 예상 자전속도는 초당 176 킬로미터이다. 이로부터 방위각상 적도에서의 회전속도는 초당 457 킬로미터가 나온다.[7] 이 별은 카시오페이아자리 감마형 변광성으로 추정되며 겉보기 밝기는 2.62 ~ 2.66 사이에서 변한다.

 이름의 유래 편집

고유명칭 팍트, 파에트(Phact, Phakt, Phad, Phaet[10])는 아랍어 ألفاجتة (팍시타, 잿빛낭비둘기)에서 왔다. 이 명칭은 원래 백조자리에 알-파크타(al-Fākhtah)로 붙어있던 이름이었지만 이후 비둘기자리 알파별로 옮겨 왔다.[11][12][13][14]

중국 천문학에서는 이 별과 비둘기자리 에타를 합쳐 장인(丈人, 할아버지)으로 불렀다.[15] 여기에서 비둘기자리 알파는 장인일(丈人一, 장인의 첫 번째 별)이 된다.[16]

참고 문헌 편집

  1. SIMBAD: alf+colBe Star, database entry, SIMBAD. 2015-09-02.
  2. van Leeuwen, F. (November 2007), “Validation of the new Hipparcos reduction”, 《Astronomy and Astrophysics》 474 (2): 653–664, arXiv:0708.1752, Bibcode:2007A&A...474..653V, doi:10.1051/0004-6361:20078357 
  3. Cousins, A. W. J. (1972), “UBV Photometry of Some Very Bright Stars”, 《Monthly Notes of the Astronomical Society, Southern Africa》 31: 69, Bibcode:1972MNSSA..31...69C 
  4. Houk, Nancy (1979), 《Michigan catalogue of two-dimensional spectral types for the HD stars》 3, Ann Arbor, Michigan: Dept. of Astronomy, University of Michigan, Bibcode:1982MSS...C03....0H 
  5. Jim Kaler: Phact - STARS Archived 2008년 7월 4일 - 웨이백 머신. 2015-09-02
  6. Meilland, A.; Stee, Ph.; Chesneau, O.; Jones, C. (October 2009), “VLTI/MIDI observations of 7 classical Be stars”, 《Astronomy and Astrophysics》 505 (2): 687–693, arXiv:0908.1239, Bibcode:2009A&A...505..687M, doi:10.1051/0004-6361/200911960 
  7. Oudmaijer, R. D.; 외. (October 2008), “Sub-milliarcsecond precision spectro-astrometry of Be stars”, 《Astronomy and Astrophysics》 489 (2): 627–631, arXiv:0807.3673, Bibcode:2008A&A...489..627O, doi:10.1051/0004-6361:20079117 
  8. Eggleton, P. P.; Tokovinin, A. A. (September 2008). “A catalogue of multiplicity among bright stellar systems”.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389 (2): 869–879. arXiv:0806.2878. Bibcode:2008MNRAS.389..869E. doi:10.1111/j.1365-2966.2008.13596.x. 
  9. CCDM J05396-3404, database entry, J. Dommanget and O. Nys (2002) Catalogue of the Components of Double and Multiple Stars, 2015-09-02
  10. Note of HR 1956 Archived 2016년 3월 5일 - 웨이백 머신, database entry, The Bright Star Catalogue, 5th Revised Ed. (Preliminary Version), D. Hoffleit and W. H. Warren, Jr., CDS ID V/50. Accessed on line April 21, 2009.
  11. Davis, Jr., G. A., (1971).
  12. Kunitzsch, P., (1959).
  13. Laffitte, R., (2005).
  14. Kunitzsch, P., & Smart, T., (2006).
  15. (Chinese) 中國星座神話, written by 陳久金.
  16. (Chinese) 香港太空館 - 研究資源 - 亮星中英對照表 Archived 2011년 1월 30일 - 웨이백 머신, Hong Kong Space Muse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