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하이 협력 기구

상하이 협력 기구(-協力機構, 영어: Shanghai Cooperation Organization (SCO), 중국어 간체자: 上海合作组织 (上合组织), 정체자: 上海合作組織 (上合組織), 병음: Shànghǎi Hézuò Zǔzhī (Shànghé Zǔzhī) 상하이허쭤쭈즈 (상허쭈즈)[*], 러시아어: Шанхайская организация сотрудничества (ШОС) 샨하이스카야 오르가니자치야 소트루드니체스트바 (샤오에스)[*], 문화어: 상해 협조 기구)는 유라시아의 정치, 문화, 안전 보장에 관한 국제 기구이다.

상하이 협력 기구
上海合作组织
Шанхайская организация сотрудничества
로고
약칭SCO
결성2001년 6월 15일
형태국제 기구
본부중화인민공화국의 기 중화인민공화국 베이징시
회원
공식 언어중국어, 러시아어
상하이 협력 기구의 깃발

1996년 4월 26일 중화인민공화국 상하이시에서 모인 러시아, 중화인민공화국,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정상들이 《국경 지대의 군사적 신뢰 강화를 위한 조약》을 체결하면서 상하이 5국(Shanghai Five)이 형성되었다. 2001년 6월 15일우즈베키스탄이 합류하면서 상하이 5국은 상하이 협력 기구로 개편되었다. 2017년 6월 9일에는 인도, 파키스탄이 가입하였다. 2023년 7월 4일에는 이란이 가입하였다.

상하이 협력 기구는 테러리즘, 분리주의, 극단주의를 "3대 악(惡)"으로 규정하고 이에 대한 공동 대응을 모색하는 한편 중앙아시아, 유라시아의 안전 보장 확립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회원국 간의 정치, 경제, 군사, 문화 등 폭넓은 분야에서의 협력 강화를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상하이 협력 기구가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를 견제하기 위해 만들어졌다고 보는 시각도 있다.

현재 중화인민공화국, 러시아,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인도, 파키스탄, 이란 9개국은 정회원국, 몽골, 벨라루스 2개국은 옵서버로 활동하고 있으며 투르크메니스탄, 독립 국가 연합동남아시아 국가 연합은 초청 국가 및 기구이다. 또한 스리랑카, 튀르키예, 아르메니아, 아제르바이잔, 캄보디아, 네팔, 이집트, 카타르, 사우디아라비아, 바레인, 쿠웨이트, 몰디브, 미얀마, 아랍에미리트는 대화 파트너로 지정되었다.

회원국 편집

정회원국 편집

  •   중화인민공화국 (1996년 4월 26일에 가입)
  •   러시아 (1996년 4월 26일에 가입)
  •   카자흐스탄 (1996년 4월 26일에 가입)
  •   키르기스스탄 (1996년 4월 26일에 가입)
  •   타지키스탄 (1996년 4월 26일에 가입)
  •   우즈베키스탄 (2001년 6월 15일에 가입)
  •   인도 (2005년 7월 5일에 준회원국으로 합류, 2015년 6월 10일에 가입 절차 시작, 2017년 6월 9일에 정회원국으로 승격)
  •   파키스탄 (2005년 7월 5일에 준회원국으로 합류, 2015년 6월 10일에 가입 절차 시작, 2017년 6월 9일에 정회원국으로 승격)
  •   이란 (2005년 7월 5일에 준회원국으로 합류, 2021년 9월 17일에 정회원국 가입 절차 시작, 2023년 7월 4일에 가입[4])

준회원국 편집

  •   몽골 (2004년 6월 17일에 준회원국로 합류)
  •   벨라루스 (2010년 4월 28일에 준회원국으로 합류, 2022년 9월 16일에 정회원국 가입 절차 시작)

아프가니스탄은 2012년 6월 7일에 준회원국으로 합류했으나 2021년에 탈레반의 지배에 들어간 이후부터 비활성 상태이다.

대화 파트너 편집

  •   스리랑카 (2009년 6월 16일부터 초청 중, 2010년 5월 6일에 대화 동반자로 승인)
  •   튀르키예 (2012년 6월 7일부터 초청 중, 2013년 4월 26일에 대화 동반자로 승인)
  •   캄보디아 (2015년 7월 10일부터 초청 중, 2016년 4월 16일에 대화 파트너로 승인)
  •   아제르바이잔 (2015년 7월 10일부터 초청 중, 2016년 4월 16일에 대화 파트너로 승인)
  •   네팔 (2015년 7월 10일부터 초청 중, 2016년 4월 16일에 대화 파트너로 승인)
  •   아르메니아 (2015년 7월 10일부터 초청 중, 2016년 4월 16일에 대화 파트너로 승인)
  •   이집트 (2021년 9월 16일부터 초청 중, 2022년 9월 14일에 대화 파트너로 승인)
  •   카타르 (2021년 9월 16일부터 초청 중, 2022년 9월 14일에 대화 파트너로 승인)
  •   사우디아라비아 (2021년 9월 16일부터 초청 중, 2022년 9월 14일에 대화 파트너로 승인)
  •   쿠웨이트 (2022년 9월 16일부터 초청 중, 2023년 5월 5일에 대화 파트너로 승인)
  •   몰디브 (2022년 9월 16일부터 초청 중, 2023년 5월 5일에 대화 파트너로 승인)
  •   미얀마 (2022년 9월 16일부터 초청 중, 2023년 5월 5일에 대화 파트너로 승인)
  •   아랍에미리트 (2022년 9월 16일부터 초청 중, 2023년 5월 5일에 대화 파트너로 승인)
  •   바레인 (2022년 9월 16일부터 초청 중, 대화 파트너 승인 시기 미정)

초청 국가 및 기구 편집

사진 편집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India, Pakistan become full SCO members”. 《The Hindu》. 2015년 7월 11일. 2015년 7월 10일에 확인함. will technically become a member by next year after completion of certain procedures 
  2. [1]
  3. [2]
  4. “Iran becomes full member of Shanghai Cooperation Organization”. 2023년 7월 6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

  • (중국어/러시아어/영어) 공식 홈페이지
  • Fels, Enrico (2009), Assessing Eurasia's Powerhouse. An Inquiry into the Nature of the Shanghai Cooperation Organisation, Winkler Verlag: Bochum (Germany). ISBN 978-3-89911-10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