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교통공사 4000호대 VVVF 전동차

수도권 전철 4호선에서 운행 중인 서울교통공사 소속 통근형 전동차

서울교통공사 4000호대 전동차1993년 4월부터 1995년 1월까지 서울 지하철 4호선에 도입된 서울교통공사통근형 전동차다. 현재 직류 전용 26개 편성, 직교류 겸용 26개 편성 등 60개 편성(600량)이 재적되어 있고 실제로는 44개 편성(440량)이 운행하고 있다.

서울교통공사 4000호대 전동차
오이도역을 출발한 R483편성
오이도역을 출발한 R483편성
제작 및 운영
주 용도 통근형 전동차
제작사 현대정공, 대우중공업, 현대로템, 다원시스, 우진산전
운영 회사 서울교통공사
제작 연도 1993년~1995년, 2020년, 2022년~2024년, 2024년~2025년
생산량 63개 편성 630량
사용량 51개 편성 510량
제원
양 수 10량
궤간 (mm) 1,435
성능
전기 방식 직류전용 DCV

류겸용 ADV AC/DC 교류 25,000 V 60 Hz
직류 1,500 V 가공가선방식

제어 방식 VVVF-GTO (미쓰비시)
VVVF-GTO (알스톰)
VVVF-IGBT (다원시스)[1]
VVVF-IGBT (우진산전)[2]
VVVF-IGBT (현대로템)[3]
VVVF-IGBT (PMSM) (도시바)[4]
기동가속도 3.0 km/h/s
영업 최고 속도 ATC 구간 80 km/h

ATS 구간 100 km/h

설계 최고 속도 100 km/h
감속도 3.5 《비상시 4.5》 km/h/s
전동기 출력 200 kW
편성 출력 4,000 kW
제동 방식 회생제동병용 전기지령식 제동
MT비 5M 5T
보안 장치 ATC/ATS [수동운전]

개요 편집

본래 이 차량은 1994년 4월 1일 과천선, 안산선과의 직결 운행과 함께 도입되었다. 이와 함께 기존에 운행한 초퍼 제어 전동차는 서울 지하철 2호선, 수도권 전철 3호선으로 이적되었다.

기술적 사양 편집

차체 편집

진접선, 서울 지하철 4호선, 과천선, 안산선 차량 한계에 맞추어 재설계된 디자인을 사용하고 있다. 서울교통공사 최초의 경량 스테인리스 전동차로써, 차체는 STS301L 경량 고장력 스테인레스를 사용하여 경량화를 유도하였다. 객실 천장부엔 승객 안내용 LED 전광판을 설치하였다. 출입문의 구동부에 경량 리니어식 구동법을 채택하여 저소음과 소형화를 달성하였다.

제어 장치 편집

현대정공 제작 차량인 401~409, 452~453, 455~460, 462편성은 미쓰비시VVVF-GTO (교직류: MAP-204-A25V41, 직류: MAP-204-D15V41), 대우중공업 제작 차량인 410~415, 417~424, 426, 468편성은 GEC/알스톰VVVF-GTO (교직류: 32SA025B2 컨버터 및 32RA025B2 인버터, 직류: 32RA025B2 인버터) 제어 장치를 채용하였다. 반면, 대우중공업 제작 차량인 470편성은 도시바 기반 우진산전VVVF-IGBT의 제어 장치를 채용하고 있다. [5] 1개의 제어 장치로 4개의 주전동기를 제어(1C4M)한다. 현대정공 차량의 제어 장치는 열차 측면에 방열구가 직사각형 형태로 배치되어 있으며, 대우중공업 차량의 제어 장치는 측면에 방열구가 원형으로 2개 배치되어 있다. 전동차는 인접한 T칸과 하나의 유닛을 구성하고 있어 팬터그래프는 모든 전동차(M칸)에 설치되어 있으며, 이는 팬터그래프와 전차선 간 이선 현상을 줄일 수 있고 연장 급전 시 유리한 이점이 있다.

볼스터리스 대차를 최초로 채용하였는데 1차 지지부에 원추고무스프링, 2차 지지부에어스프링을 사용한 전형적인 볼스터리스 대차를 사용하고 있다. 제동장치에는 회생제동을 병용한 KNORR 전기지령식 제동을 채용하고 있으며 주차제동장치가 기존 수용식에서 자동스프링식으로 변경되었다.

승무원 안내 시스템 편집

TGISTrain General Information System의 약자로서 열차의 기본적 정보를 승무원에게 전달한 시스템이다. 기본적으로 제어차에 장비된 중앙 장치와 각 차량에 장비된 단말 장치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단말기를 루프식으로 구성하고 있다. 각 단말기 간의 통신은 RS-485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각 단말 장치는 각 차량의 전기 기기, 서비스 기기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전달하여 중앙 장치에서 통합한 후, 모니터를 통하여 승무원에게 전달된다.

TGIS의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다.

  • 승무원 지원 기능: 각종 기기 상태, 운행 상태, 정차역 통보 기능.
  • 주 제어기기와 각종 고압 전기기의 상태 현시와 고장 기록.
  • 서비스 기기(안내 방송, 공조 장치, 행선 및 열차 번호 표시기 등) 제어 기능.
  • 검수 지원 기능: 운행 기록, 고장 기록, 입고 및 출고 점검, 응급 고장 처치 안내 기능.

객실 안내 시스템 편집

1기 지하철 중에서 가장 최초로 LED 전광판의 형식으로 차내 행선안내 게시기를 설비하여 음성 안내방송 이외에도 시각적인 표현 방법을 통하여 역 안내 및 공지사항 등을 표시한 형식으로 안내하도록 하였다. 이 장치는 운전 제어차량의 설정기를 통하여 열차운행 정보(열차번호, 운행시간과 요일 등의 데이터)를 입력하면 자동으로 통신을 통하여 목적지 표현을 수행하게 된다.

전원 공급 계통 편집

401~426편성은 직류 전용(DC 1,500V)으로 별도의 전원 공급방식 변경 기능이 없어 진접~남태령역 구간만 운행하고, 451~471, 481~485편성은 한국철도공사 341000호대 전동차와 동일한 직교류 겸용으로 진접선, 서울 지하철 4호선, 과천선, 안산선의 전원 방식이 각기 다르므로 전원 공급방식 변경 기능을 설비하였다. 우선 서울교통공사 구간과 코레일 구간의 경계점에 절연 구간을 두고, 이 시점에서 제어 장치를 작용시켜 팬터그래프 부근에 설치되어 있는 교-직 절환 고압 스위치가 전환 작동됨으로써, 급전 방식이 변경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고압의 AC 25,000V의 전원을 취급한 라인은 고 절연 애자로 상당한 길이로 이격시켜 설계하였다. 진접~오이도 전 구간으로 직결 운행한다.

편성 편집

1~2차분 편집

401~426, 451~471편성은 PAN와 C/I가 탑재된 M'차, 그리고 SIV, CM, BAT, 등을 갖춘 Tc차와 T1, 그리고 아무런 전장이 설치되지 않는 T차로 구성되었다.

◇◇ ◇◇ ◇◇ ◇◇ ◇◇
40XX 41XX 42XX 43XX 44XX 45XX 46XX 47XX 48XX 49XX
Tc M' M' T M' T1 T M' M' Tc
←오이도 ※XX는 편성 번호 진접→
객차번호 설치된 전장품
40XX Tc(SIV, CM, BAT)
41XX M'(PAN, C/I)
42XX M'(PAN, C/I)
43XX T
44XX M'(PAN, C/I)
45XX T1(SIV, CM, BAT)
46XX T
47XX M'(PAN, C/I)
48XX M'(PAN, C/I)
49XX Tc(SIV, CM, BAT)
3~5차분 편집

481~485편성은 팬터그래프와 주변압기, 제어기기, 전동기가 탑재된 M'차, 제어기기와 전동기만이 탑재된 M차, 그리고 보조전원장치와 공기압축기, 축전지, 제어실 등을 갖춘 Tc차와 제어실이 없는 T1, 그리고 아무런 기기도 탑재되지 않는 T차로 구성되었다.

◇◇ ◇◇ ◇◇
40XX 41XX 42XX 43XX 44XX 45XX 46XX 47XX 48XX 49XX
Tc M M' T M' T1 T M M' Tc
←오이도 ※XX는 편성 번호 진접→
객차번호 설치된 전장품
40XX Tc(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41XX M(주변환장치)
42XX M'(팬터그래프,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43XX T(무동력객차)
44XX M'(팬터그래프,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45XX T1(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46XX T(무동력객차)
47XX M(주변환장치)
48XX M'(팬터그래프,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49XX Tc(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분류 편집

배속 편집

창동차량기지 소속으로, 중정비는 수도권 전철 3호선지축차량기지에서 실시하고 있다.

현재 운행구간 편집

도입 역사 편집

1차 도입분 편집

1993년 서울 지하철 3호선 양재~수서 구간 개통 및 과천선, 안산선과의 직결 운행과 함께 도입했다.

직교류 겸용 10량 1개 편성(451편성)과 6량 8개 편성(456~463편성)은 서울 지하철 3호선, 나머지 직교류 겸용 10량 4개 편성(452~455편성)과 6량 5개 편성(464~468편성) 및 직류 전용 10량 9개 편성(401~409편성)은 서울 지하철 4호선으로 투입됐다. 이후 1994년 4월 1일 과천선, 안산선과의 직결 운행과 함께 서울 지하철 3호선에 투입된 직교겸용 10량 1개 편성(C451편성)과 6량 8개 편성(456~463편성)도 수도권 전철 4호선으로 이적되어 운행하고 있다.

2차 도입분 편집

1994년 과천선, 안산선과의 직결 운행 실시와 함께 초퍼제어 전동차서울 지하철 3호선으로 이적되면서 빈자리에 도입됐다. 도입 당시 직류 전용 10량 17개 편성 및 직교류 겸용 10량 3개 편성과 456~463편성 10량화에 따른 부수차 증결분 52량이 대우중공업 의왕공장에서 제작되어 도입됐다. 부수차 52량은 456~463편성 10량화의 일환으로 12량이 456~463편성으로, 40량은 464~468편성으로 편입됐다.

3차 도입분 편집

진접선 개통과 함께 도입된 전동차로, 직교류 겸용 10량 5개 편성이 현대로템에서 제작되어 도입됐다. 사양은 서울교통공사 2000호대 VVVF 전동차 4차 도입분과 흡사하다. 하지만 전장품은 2호선 4차분과 다르며, 추진제어장치는 한국철도공사 311000호대 전동차 중 31204~15편성, 한국철도공사 319000호대 전동차 중 31908~10편성, 한국철도공사 341000호대 전동차 중 34131~55편성, 한국철도공사 351000호대 전동차 35144~60, 35179편성 등과 동일한 구동음이다. 또한 2020년식임에도 불구하고 서울교통공사 2000호대 VVVF 전동차 2차분, 서울교통공사 3000호대 VVVF 전동차 1차분과 마찬가지로 모든 통로칸에 자동문이 설치되어 있다.

4차 도입분 편집

초창기에 도입된 1~2차분의 노후 차량 교체용으로 제작된 전동차다. 추진제어장치는 일본 히타치 제작소IGBT 소자를 기반으로, 다원시스에서 자체 개발한 인버터를 채용했다.

5차 도입분 편집

초창기에 도입된 1~2차분의 노후 차량 교체용으로 제작된 전동차다.

6차 도입분 편집

혼잡도 완화를 위해 2026년에 총 10개 10개 편성이 투입되며, 제작사는 미정이다, 직류 전용인지, 직교류 겸용으로 제작될 것인지에 대한 여부는 정해지지 않았다, 또한 편성번호 체계는 미정이다.

현황 편집

현재 운행 중인 차량은 굵은 글씨로 표시했다.

401~426편성은 진접~남태령 구간만 운행한 직류 전용 차량이고, 450~471, 481~485편성은 과천선~안산선 구간을 직결 운행직교류 겸용 차량이다.

1~3차분 편집

폐차 차량 제외 행선안내기가 롤지에서 LED로 교체됐다.

차호 도입 시기 운행 중단 시기 비고
구 401 편성 1993년 운행 중
구 402 편성 운행 중
구 403 편성 운행 중
구 404 편성 운행 중
구 405 편성 운행 중
구 406 편성 운행 중
구 407 편성 운행 중
구 408 편성 운행 중
구 409 편성 운행 중
구 410 편성 1994년 운행 중
구 411 편성 운행 중
구 412 편성 운행 중
구 413 편성 운행 중
구 414 편성 운행 중
구 415 편성 운행 중
구 416 편성 2019년
구 417 편성 운행 중
구 418 편성 운행 중
구 419 편성 운행 중
구 420 편성 운행 중
구 421 편성 운행 중
구 422 편성 운행 중
구 423 편성 운행 중
구 424 편성 운행 중
구 425 편성 2022년
구 426 편성 운행 중 4326호는 혼잡도 개선을 위한 시범사업으로 의자를 제거한 상태다.
구 451 편성 1993년 2023년 추진제어장치가 미쓰비시 전기 GTO에서 인피니언 기반 다원시스 IGBT로 교체됐다.
구 452 편성 2024년 예정 자전거 전용칸이 있다.
구 453 편성
구 454 편성 2023년
구 455 편성 운행 중 자전거 전용칸이 있다.
구 456 편성 운행 중 대우중공업 T1칸이 편성됐다.
구 457 편성 운행 중
구 458 편성 운행 중
구 459 편성 운행 중
구 460 편성 2024년
구 461 편성 2020년 대우중공업 T1칸과 46xx T칸이 편성됐다.
구 462 편성 2024년 예정
구 463 편성 2022년 대우중공업 T2칸과 46xx T1칸과 47xx M'칸이 편성됐다.
구 464 편성 1994년 2023년
구 465 편성 2017년
구 466 편성 2023년 추진제어장치가 알스톰 GTO에서 도시바 기반 우진산전 IGBT로 교체됐다.
구 467 편성 2021년
구 468 편성 2024년 예정
구 469 편성 2020년
구 470 편성 운행 중지 추진제어장치가 알스톰 GTO에서 도시바 기반 우진산전 IGBT로 교체됐다.

470편성은 2024년 3월 25일에 한대앞역에서 차량 고장이 발생하여 조기 운행중단 되었다.

구 471 편성 2023년
481 편성 2020년 운행 중 진접선 연장 차량으로 도입했다.
482 편성 운행 중
483 편성 운행 중
484 편성 운행 중
485 편성 운행 중

4차분 편집

차호 도입 시기 운행 중단 시기 비고
450 편성 2022년 운행 중 자전거 전용칸이 설치되었다.
451 편성 2023년 운행 중
452 편성 운행 중
453 편성 운행 중
454 편성 운행 중
455 편성 운행 중
456 편성 운행 중
457 편성 운행 중
458 편성 운행 예정
459 편성 운행 예정
460 편성 시운전 중
461 편성 2024년 도입 예정
462 편성 도입 예정
463 편성 도입 예정
464 편성 도입 예정
465 편성 도입 예정
466 편성 도입 예정
467 편성 도입 예정
468 편성 도입 예정
469 편성 도입 예정
470 편성 도입 예정

5차분 편집

차호 도입 시기 운행 중단 시기 비고
401 편성 2024년~2025년 도입 예정
402 편성 도입 예정
403 편성 도입 예정
404 편성 도입 예정
405 편성 도입 예정
406 편성 도입 예정
407 편성 도입 예정
408 편성 도입 예정
409 편성 도입 예정
410 편성 도입 예정
411 편성 도입 예정
412 편성 도입 예정
413 편성 도입 예정
414 편성 제작 예정
415 편성 제작 예정
416 편성 제작 예정
417 편성 제작 예정
418 편성 제작 예정
419 편성 제작 예정
420 편성 제작 예정
421 편성 제작 예정
422 편성 제작 예정
423 편성 제작 예정
424 편성 제작 예정
425 편성 제작 예정
426 편성 제작 예정

개조 편집

10량 편성화 편집

1995년 5월 과천선, 안산선 10량화와 함께 1993년 9월부터 기존 6량으로 운행한 456~468편성[6]의 재편성이 필요해 10량으로 조합하는 과정에서 추가 제작되어 반입된 차량들이 혼합으로 섞였다. 이 과정에서 456~463편성은 464~468편성 부수차 20량과 1994년 대우중공업 제작 동력차(M) 1량, 무동력차(T) 11량을 조합해 10량으로 증결했다. 반면, 464~468편성은 1994년 대우중공업 제작 부수차 40량을 조합해 10량으로 증결하였다.[7]

일부 객차의 대차 교체 편집

대우중공업에서 제작된 일부 동력 객차의 대차에서 구조적인 결함이 발견되어, 2001년 한국철도차량(현.현대로템)에서 같은 모델의 대차로 교체되어 운행을 하고 있다.

내장 불연재화 편집

2003년 2월 18일, 대구 지하철 화재 참사를 계기로 강화된 철도 차량의 내연 기준에 맞추어 흥일기업이 2차 도입분 일부를 2004년에, 로윈에서 나머지 편성 전체를 2005년에 내장재를 리뉴얼 했다. 바닥재의 색상을 노선색에 맞추었고, 내장재의 색상은 흰색 계열을 사용한 것이 특징이며, 시트는 무광택 스테인리스 시트를 채용했다. 불연화 이외에도 화재 사고에 대비, 화재 경보기와 객실 비상용 연락 장치 등이 보강됐다.

음성 방송장치 개량 사업 편집

서울교통공사에선 음질 개선 차원에서, 2007년 8월부터 방송장치 개량 사업을 추진하여 2008년 2월 2일~3일간 양일에 걸쳐 4호선 전동차의 음성 방송장치를 개량했다. 기존 방송장치는 ROM 방식으로서 방송 음원을 IC 메모리 칩에 저장한 이른바 아날로그 방식이므로, 장기 사용에 따른 노후화와 더불어 음질이 현저히 떨어진 문제가 있지만, 디지털 MP3 저장 방식의 신형 방송장치로 교체되면서 고음질의 음성 안내방송을 제공하게 됐다.[8]

객실 내 전광판 교체 및 개량 편집

현대정공 제작 차량(401~409, 451~463편성)은 도입 당시 세전시스텍에서 제작된 행선 안내 전광판이 설치되어 있으나[9] 보수 업체의 부도 등으로 부품 수급이 잘 안 된 등 고장 및 오류 빈도가 잦았던 관계로, 2008년 7월까지 모두 지축차량기지에서 교체 완료하여 운행 중이다. 또한 일부 차량은 폰트나 표출 방식이 한국철도공사 3000호대 전동차 기반의 표출 방식이었으나, 2016년까지 대부분의 차량들의 전광판 폰트를 변경 했으며 2018년 4분기 401편성을 마지막으로 현대산 차량의 전광판 표출 방식이 완전히 통일됐다. 이와는 별도로 우진산전에서 제작하여 대우중공업 전동차 (410~426, 464~471편성)에 장착, 운행한 객실 내 행선안내 게시기 역시 표출 방식, 글 색깔 등 부분적인 표현 소프트웨어 수정 등 약간의 변화를 주었다. 현재 대우중공업 제작분도 폐차된 편성을 제외한 모든 편성 LED 표출 방식이 개정됐으며 현대정공 제작 차량도 대우중공업 차량과 똑같은 LED 표출 방식으로 개정됐다. 현재 전차량 LED 표출 방식이 개정됐다.

전원 공급방식 변경의 자동화 편집

기존은 기관사의 수동 조작에 의하여 과천선 남태령~선바위 구간 사이의 절연 구간에서 급전 방식을 변경했으나, 2008년 급전 방식의 변경을 자동 제어 장치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한 개조 작업을 시행했으며, 이에 따라 운전실에서의 절연 구간 안내 음성이 제거되었다.

객실 내 스피커 교체 편집

2010년, 407~409편성을 시작으로 모든 차량의 스피커가 교체되어 신형 전동차와 동일한 수준의 음질을 제공하게 됐다.

행선지, 열번 표시기 LED 개조 편집

현재 401~415, 417~424, 426, 452~453, 455~460, 462, 468, 470편성의 행선지(DI)가 롤지에서 LED 행선기로 교체됐다.[10][11] 또한 열번표시기도 LED 형태의 열차번호 표시기로 교체됐다.
451~452, 454, 456~457, 461, 464편성은 LED 행선기 개조가 시행됐으나, 잔고장 및 탈거된 롤지의 도난 문제 등으로 인하여 롤지로 잠시 환원되기도 했다. 2021년 이후 전 차량에 LED 행선기 교체 작업이 완료되면서 가장 먼저 교체된 직류전용 전동차들과 464편성과 466편성의 초기 LED 행선기 역시 2020년 후반과 2021년에 걸쳐 교체작업이 진행된 전동차와 동일한 것으로 교체됐다.
2016년 9월에 410편성이 4000호대 전 차량 최초로 행선지/열차번호 표시기가 LED로 교체됐으며, 2017년은 411~416편성의 행선지/열차번호 표시기가 LED로 교체됐다.[12]이후 2018년 10월, 현대산 직류전용 차량 중 402~406, 408~409편성과 대우산 직류전용 차량 중 418~419, 422편성, 직교류겸용 차량 중 456~457편성의 전두부 행선지/열차번호 표시기가 LED로 개조됐으며, 2019년 11월은 현대산 나머지 직류전용 차량(401, 407편성)과 대우산 직류전용 차량 중 417, 420, 423편성 그리고 직교류겸용 차량 중 451~452, 454, 461, 464, 466편성의 전두부 행선지/열차번호 표시기가 LED로 개조됐으며, 2020년 6월은 426편성, 2020년 9월은 421, 424~425편성의 전두부 행선지 표시기와 열차번호 표시기가 LED로 교체됐다. 이로써 직류전용 차량들은 모두 전두부 행선지 표시기 교체를 완료했으며, 2021년 5월 기준 휴/폐차 차량을 제외하고 전차량 모두 LED로 교체됐다.[13]

행선지, 열번 표시기 롤지 개조 편집

461편성의 행선지(DI)가 LED에서 롤지 행선기로 교체되었다.(측면 롤지는 서울교통공사 로고로 막았다.) 또한 비발광 세그먼트 형태의 열차번호 표시기로 교체되었다.

슈트락 커버 교체 편집

455편성의 슈트락이 기존 동그란 커버에서 각진 커버로 교체되었다.

중간 부수차 조성 변경 편집

정밀안전진단 실시와 함께 중간 부수차 조성이 일부 변경되었다.

  • 414편성: 4814호 → 4816호[14]
  • 415편성: 4715호 → 4416호[15]
  • 417편성: 4117호 → 4116호[16]
  • 423편성: 4223호 → 4225호[17]
  • 426편성: 4426호 → 4425호[18]
  • 458편성: 4158호 → 4863호[19]
  • 462편성: 4162호 → 4161호[20]
  • 468편성: 4168, 4268, 4468호 → 4167, 4469, 4869호[출처 필요]

특이 사항 편집

수도권 전철 3호선으로 차출 편집

직교겸용 451, 456~463편성은 1993년 10월 30일 서울 지하철 3호선 양재~수서 구간 개통 당시 증차분으로 투입되었다. 이후 이듬해인 1994년 4월 1일 과천선 개통과 함께 현재 수도권 전철 4호선으로 이동되었다.

자전거 전용칸 개조 편집

2009년부터 자출족들의 이동 편의를 위하여 451~455편성은 전동차 Tc(운전실이 있는 칸) 맨 앞에 자전거 전용칸 개조가 이루어졌다.(즉 자전거의 경우 주인이 직접 들고 다녀야 한다.)

측면 행선 롤지 작동 중단 편집

수도권 전철 4호선 전 역의 승강장 스크린도어 설치와 함께 전 편성이 에너지 절약 차원에서 측면 롤지가 철거되고 그 자리에 흰색 바탕의 서울교통공사 로고가 부착되었다.

사진 편집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C451편성, D450~D470편성(히타치 제작소 기술 제휴)
  2. C466, C470~C471편성
  3. R481~R485편성
  4. W401~W426편성
  5. 도입 당시 현대정공 제작 차량인 451편성은 미쓰비시VVVF-GTO, 대우중공업 제작 차량인 470편성은 GEC/알스톰VVVF-GTO 제어 장치를 채용하였다.
  6. 451~455편성은 도입 당시부터 10량으로 운행되고 있다.
  7. 456~463편성은 구 464~468편성이 1993년 현대정공에서 6량으로 도입할 당시에 있던 객차들로, Tc칸을 제외한 모든 객차들(4량)에 해당된다.
  8. 다만, 방송장치 개량 당시 스피커는 개량되지 않았고, 이후 별도로 교체됐다. 자세한 내용은 후술.
  9. 한국철도공사 3000호대 전동차에도 같은 전광판을 사용하고 있으나, 제작과 보수 업체가 각기 다르다.
  10. 현재 휴차중인 416, 461편성과 폐차 및 결번 처리된 465, 469편성을 제외한 모든 차량들의 행선지/열차번호 표시기가 LED로 개조됐다.
  11. 측면 롤지는 서울교통공사 로고로 막았다.
  12. 416편성도 마찬가지로 같은 시기에 LED 행선기로 교체됐지만, 2019년에 휴차처리되면서 롤지와 비발광 세그먼트식 열차번호 표시기로 환원됐다. 부품 추가 확보를 위해 기존 부품으로 환원됐다고 한다.
  13. 여담으로, 2020년 4월부터 5월까지 451~452, 454, 456~457, 461, 464편성의 행선지/열차번호 표시기가 잔고장 및 탈거된 롤지의 도난 문제 등으로 인해 롤지/비발광 세그먼트로 환원된 이력이 있다.
  14.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monorail&no=9517
  15. https://www.youtube.com/watch?v=8ld6z1rI1BY
  16.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monorail&no=9517
  17. https://m.dcinside.com/board/monorail/364290
  18. https://twitter.com/locomote_partA/status/1733132735835951596/photo/1
  19. https://m.dcinside.com/board/monorail/367578
  20. https://opengov.seoul.go.kr/sanction/23513365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