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도군 (허베이성)

신도군(信都郡)은 중국의 옛 군이다. 군국제 시행 시에는 광천국(廣川國), 신도국(信都國), 안평국(安平國)이기도 했다.

전한 편집

기주자사부에 속했다.[1] 원시 2년(2년)의 인구조사에 따르면 65,556호, 304,384명이 있었다. 아래의 속현 목록은 《한서》지리지의 내용이다.[2][1] 원연·수화 연간(기원전 8년 무렵)의 현황으로 여겨지며, 총 17현이다. 서울은 신도현이다.

현명 한자 대략적 위치 비고
신도현 信都縣 헝수이 시 지저우 구 고장하(故漳河)와 고호지(故虖池)가 모두 북쪽에 있어 동으로 바다로 들어간다. 《우공》의 강수(絳水)도 바다로 들어간다.
역현 歷縣 헝수이시 구청 현
부류현 扶柳縣 헝수이 시 지저우 구 북서
벽양현 辟陽縣 헝수이시 짜오창 현 남서
남궁현 南宮縣 싱타이시 난궁 시
하박현 下博縣 헝수이 시 선저우 시 남동
무읍현 武邑縣 헝수이시 우이 현 북동
관진현 觀津縣 헝수이시 우이 현 동
고제현 高隄縣 헝수이시 짜오창 현 북동
광천현 廣川縣 헝수이시 짜오창 현 북동
악향현 樂鄕縣 헝수이시 선저우 시 동
평제후국 平隄侯國 헝수이시 징 현 남서
도후국 桃侯國 헝수이시 북서
서량후국 西梁侯國 신지 시
창성후국 昌成侯國 헝수이시 지저우 구 북서
동창후국 東昌侯國 헝수이시 우이 현 북동
수현 脩縣 헝수이시 징 현 남

편집

군의 이름을 신박(新博)으로 고치고 다음 현의 이름을 고쳤다.

전한
신도 신박정(新博亭)
역녕(歷寧)
벽양 악신(樂信)
남궁 서하(序下)
하박 윤박(閏博)
무읍 순환(順桓)
관진 삭정정(朔定亭)
악향 악구(樂丘)
환분(桓分)
동창 전창(田昌)
수치(脩治)

후한 편집

후한 명제시기 낙성군(樂城郡)으로 개명되었다가 122년(연광 원년) 안평국(安平國)으로 개명되었으며 탁군의 일부 현들이 본군으로 이관되었다. 13현 91,440호 655,180명을 거느렸다.[3]

현명 한자 대략적 위치 비고
신도현 信都縣 헝수이 시 지저우 구
부성현 阜城縣 신지 시 왕구진 북 창성현(昌城縣)을 지금의 이름으로 고쳤다.
남궁현 南宮縣 싱타이시 난궁 시
부류현 扶柳縣 헝수이 시 지저우 구 북서
하박현 下博縣 헝수이 시 선저우 시 남동
무읍현 武邑縣 헝수이 시 우이 현
관진현 觀津縣 헝수이시 우이 현 동
당양현 堂陽縣 싱타이 시 신허 현 거록군에서 본군으로 이관되었다.
무수현 武遂縣 헝수이 시 우창 현 북서 하간군에서 본군으로 이관되었다.
요양현 饒陽縣 헝수이 시 라오양 현 옛이름은 요(饒)로 탁군에서 본군으로 이관되었다. 무루정(蕪蔞亭[4])이 있다.
안평현 安平縣 헝수이시 안핑현 탁군에서 본군으로 이관되었다.
남심택현 南深澤縣 스자좡시선쩌현 탁군에서 본군으로 이관되었다.

위진 편집

위나라에선 기주 자사의 치소를 신도로 옮겼다. 서진시기 일련의 행정개편을 겪으면서 5개 속현을 잃었다.

개편이전 개편이후
안평군 신도현, 부류현, 하박현, 무읍현, 관진현, 무수현, 광종현, 경현 안평군 신도현, 하박현, 무읍현, 무수현, 관진현, 부류현, 광종현, 경현
안평현, 요양현, 남심택현 박릉군(서진대에 복치됨) 안평현, 요양현, 남심택현
부성현 발해군 부성현(전한대 부성현 치소로 옮겨지면서 발해군으로 이관)
남궁현, 당양현 폐지 남궁현, 당양현

안평군은 8현 21,000호를 거느렸다.[5]284년(태강 5년) 군명을 장악군(長樂郡)으로 개명했다.[6]

현명 한자 대략적 위치 비고
신도현 信都縣 헝수이 시 지저우 구
하박현 下博縣 헝수이 시 선저우 시 남동
무읍현 武邑縣 헝수이 시 우이 현 서진 무제말기때 무읍군으로 이관되었다.[6]
무수현 武遂縣 헝수이 시 우창 현 북서 서진 무제말기때 무읍군으로 이관되었다.[6]
관진현 觀津縣 헝수이 시 우이 현 동 서진 무제말기때 무읍군으로 이관되었다.[6]
부류현 扶柳縣 헝수이 시 지저우 구 북서
광종현 廣宗縣 싱타이 시 웨이 현 위나라거록군에서 본군으로 이관되었다.
경현 經縣 싱타이 시 광쭝 현

북조 편집

석륵이 기주를 점령하면서 후조의 관할로 들어왔다가 후조가 염위전연에게 무너진 뒤엔 전연이 차지했다. 이후 전진에 소속되었다가 전진이 무너진 뒤 후연을 세운 모용수가 이곳을 차지하고 신도현에 기주자사부를 두었다. 397년(황시 2년) 북위 도무제 탁발규에 의해 신도가 점령되면서 북위의 땅으로 넘어갔다.[6]

북위 편집

8현 35,683호 143,145명을 거느렸다.[6] 그리고 과거 장악군에 속했던

현명 한자 대략적 위치 비고
당양현 堂陽縣 싱타이 시 신허 현 북서 서진초에 폐지되었던 당양현을 복구했다. 형구(荊丘)가 있다.
조강현 棗强縣 헝수이 시 짜오창 현 서진시기 광천군에 통폐합되있었다가 415년(신서 2년) 광천현에 통폐합되었다. 498년(태화22년) 광천현이 복구되었다. 자조성(煑棗城)이 있다.
부류현 扶柳縣 헝수이 시 지저우 구 북서 442년(태평진군 3년) 당양현을 통폐합했다가
삭노현 索盧縣 서진시기 광천군에 속했다가 415년 광천현을 통폐합했다. 498년 복구되었다. 삭노성이 있다.
광천현 廣川縣 헝수이 시 짜오창 현 동
남궁현 南宮縣 싱타이시 난궁 시 북서 서진에서 폐지됐던 것을 복원했다.
신도현 信都縣 헝수이 시 지저우 구 무양성(武陽城), 안성(安城), 그리고 피양성(辟陽城)이 있으며 기주 자사부가 있는 곳이다.
하박현 下博縣 헝수이 시 선저우 시

편집

신도군(信都郡)으로 되돌아왔다. 12현 168,718호를 거느렸다. 주제를 실시했을 때 기주(冀州)로 칭했다.[7]

현명 한자 대략적 위치 비고
장악현 長樂縣 헝수이 시 지저우 구 북제에서 부류현을 통폐합했다. 개황초에 폐현되었다가 신도현에서 장악현을 분리신설하면서 등장했다. 그리고 596년(개황 16년) 본현에서 담성현(潭城縣)을 분리신설했다. 대업초에 담성현은 폐지되었고 신도군을 세웠다.
당양현 堂陽縣 싱타이 시 신허 현 북서 북제시기 폐지되었다가 596년 복구되었다.
형수현 衡水縣 헝수이 시 서 596년 설치되었으며 헝수이 시의 전신이다.
조강현 棗强縣 헝수이 시 짜오창 현 동 북제에서 삭노현, 광천현을 통폐합시켰다.
무읍현 武邑縣 헝수이 시 우이 현 북제에서 폐지된 것을 586년(개황 6년) 복구되었다. 그리고 북제 관진현의 고지를 흡수했다. 596년 무강현에서 창정현(昌亭縣)을 분리신설했으나 대업초에 폐지되었다.
무강현 武强縣 헝수이 시 우창 현 서남 무읍군의 치소가 있었다. 북제에서 무읍군을 폐지한 뒤 무수현을 통폐합했다.
남궁현 南宮縣 싱타이 시 난궁 시 북서 북제에서 폐지했다가 586년 복구되었다.
녹성현 鹿城縣 헝수이 시 선저우 시 서 북제에서 교현(鄥縣)을 안국현(安國縣)으로 개명했고 586년 안정현(安定縣)으로 개명했다. 598년(개황 18년)지금의 이름으로 고쳤다. 596년 안성현(晏城縣)을 설치했다가 대업초에 폐지했다.
하박현 下博縣 헝수이 시 선저우 시 동남
수현 蓚縣 헝수이 시 징 현 585년(개황 5년) 수현(脩縣)에서 수현(蓚縣)으로 바뀌었다. 596년 관진현(觀津縣)을 분리신설했으나 대업초에 폐지했다.
부성현 阜城縣 헝수이 시 푸청 현

편집

기주 참조.

장관 편집

광천상 편집

신도태수 편집

각주 편집

  1. 周振鹤 (2006년 6월). 《汉书地理志汇释》. 合肥市回龙桥路1号: 安徽教育出版社. 451 - 455쪽. ISBN 7-5336-4757-2. 
  2. 반고: 《한서》 권28 지리지 제8 하
  3. 《후한서》 지 제 22 군국지 4 기주 안평국 [1]
  4. 無蔞亭이라고 적기도 했다
  5. 《진서》14권 지 제 4 지리지 上 기주 안평국 [2]
  6. 《위서》 106권 上 제 5 지형지 上 기주 장악군 [3]
  7. 《수서》30권 지 제25 지리지 中 기주 신도군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