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일러 정리

(오일러의 정리에서 넘어옴)

오일러 정리(영어: Euler’s theorem)는 수론의 하나로, 페르마의 소정리를 일반화한 정리의 하나이다.

정의 편집

정수   및 양의 정수  이 주어졌고,   서로소라고 하자. 오일러 정리에 따르면,  과 1은 법  에 대하여 합동이다.

 

증명 편집

군론을 통한 증명 편집

정수환몫환  가역원군  을 생각하자.    에서의 위수라고 하자. 라그랑주 정리에 따라,  는 가역원군의 크기  의 약수이다. 즉,

 

인 양의 정수  가 존재한다. 따라서

 

이다.

군론을 사용하지 않는 증명 편집

정수의 집합  에 대한 다음 네 조건을 생각하자.

  • ㈀ 만약  라면,  이다.
  • ㈁ 각  에 대하여,   은 서로소이다.
  • ㈂ 만약   이 서로소라면,   이 존재한다.
  •  

위 네 조건을 만족시키는 정수 집합은 반드시 존재한다. 예를 들어   속의 정수 가운데  과 서로소인 것들의 집합은 네 조건을 모두 만족시킨다. 사실 각 조건은 남은 세 조건으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 조건 ㈀, ㈁, ㈃을 만족시킨다고 하자.    으로 나눈 나머지라고 하자. 그렇다면   역시 조건 ㈀, ㈁, ㈃을 만족시킨다.  의 정의에 따라 이는   속에서  과 서로소인 모든 정수의 집합이다. 만약   이 서로소라면,  는 그  에 대한 나머지와 합동이며, 이 나머지는   가운데 하나다.

위 네 조건을 만족시키는 정수 집합  을 취하자. 이제,   역시 네 조건을 만족시킴을 증명하자. 조건 ㈀, ㈁, ㈃을 만족시킴을 증명하면 충분하다.

조건 ㈀.  라고 하자.   의 약수이다. 즉,  의 중복도를 감안한 소인수들은 모두  의 소인수이다.   이 서로소이므로   은 소인수를 공유하지 않으며, 따라서  의 중복도를 감안한 소인수들은 모두  의 소인수이다. 즉,   의 약수이다. 따라서  이며,  이다.

조건 ㈁.    모두  과 서로소이므로 그 곱   역시  과 서로소다.

조건 ㈃. 첫 번째 조건에 따라  는 서로 합동이 아니며, 특히 서로 다르다.

이제,   이 조건 ㈀, ㈁, ㈂, ㈃을 만족시키므로, 각  에 대하여,

 

 이 존재한다.  가 서로 합동이 아니므로   역시 서로 합동이 아니며,  는 서로 다르다. 즉,  은 일대일 대응이다. 따라서

 

이며,   이 서로소이므로

 

이다.

편집

페르마의 소정리 편집

페르마의 소정리는 오일러 정리의 특수한 경우이다. 정수  소수  가 주어졌다고 하자. 또한,   의 약수가 아니라고 하자. 그렇다면   는 서로소이다.  은 모두  와 서로소이므로

 

이다. 따라서

 

이다.

오일러 피 함숫값의 홀짝성 편집

양의 정수  이 주어졌다고 하자. −1과  은 서로소이므로, 오일러 정리에 따라

 

이다. 즉,  은 짝수이다.

역사 편집

스위스수학자 레온하르트 오일러가 증명하였다.

같이 보기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