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백과:문서 등재 기준 (사건)

위키백과의 문서 등재 기준 지침
위키백과의 문서 등재 기준 지침으로 확정

위키백과의 모든 정책과 지침 보기

위키백과에서 문서 등재 기준은 특정 주제가 백과사전 문서화될 수 있을지, 편집자가 판단하는 일종의 테스트 항목입니다. 문서의 "주제"는 반드시 저명하거나 "주목받을 가치"가 있어야 합니다. 이는 "주목을 끌거나 기록될 만큼 의미 있거나, 흥미롭거나, 특이한가"를 말합니다.[1] "유명하다"거나 "인기 있다"는, "저명하다"는 단어의 부차적인 의미입니다.

사건·사고의 문서 등재 기준 지침은 수많은 토론을 거쳐 도달한 총의를 반영하며, 확립된 관례에 따라 강화되어 왔습니다. 그리고 과거·현재 뉴스 및 속보에서 다뤄진 사건에 대한 문서의 유지·병합·삭제 결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배경 편집

삭제 토론에서는 미디어에서 보도된 사건, 특히 매체의 열렬한 관심을 받은 속보와 관련된 문서에 대해 지속적으로 토의해 왔습니다. 이 지침은 이전에 있던 다양한 정책과 지침을 사건·사고 문서에 적용할 때에 해석하는 방법을 편집자들에게 알리기 위해 만들었습니다. 가령 위키백과:문서 등재 기준 ("한 주제가 그 대상과 독립적인 신뢰할 수 있는 출처에서 중요하게 다뤄진다면, 그 주제는 독립 문서 혹은 독립 목록의 포함 기준을 충족시켰다고 간주됩니다")과 백:아님#요약 ("위키백과는 정보를 무분별하게 모으는 곳이 아닙니다")의 관계처럼 말입니다. 사건·사고 문서에 이런 정책을 적용하는 방법을 명확히 함으로써, 이 지침은 상황이 유사한 문서 대처 방식에 대한 총의를 반영합니다.

등재 기준 편집

위키백과는 종이로 된 백과사전이 아닙니다. 다룰 수 있는 주제의 숫자나 문서 내용의 양에 실질적인 제한이 없다는 의미입니다. 그렇다고 해서 아무 정보나 집어넣는 곳이나 뉴스 사이트라는 뜻 역시 아닙니다. 위키뉴스에서도 최신 뉴스를 작성하기는 하나, 하지만 모든 사건이 보도되거나, 위키백과에서 문서화되지는 않습니다. 경험상 어떤 사건이 위키백과 문서로 생성되는 데에는 "지속성, 역사적 의미, (전국가적, 전세계적이면 더 좋은) 보도 범위" 이 세 요소가 큰 영향을 끼칩니다.

'속보의 유혹'을 꼭 명심하세요. 그것은 새로운 소식이나 최근 사건이 몇 년 전 것보다 더 가치 있어 보이는 경향을 말합니다. 언론에서는 수많은 사건들이 보도되지만, 모두 역사적인 또는 지속적인 의미가 있는 것은 아닙니다. 언론사의 뉴스 가치 같은 자체 기준은 위키백과나 일반적인 백과사전의 등재 기준과는 다릅니다. 강력 범죄, 사고사, 그 외 다른 요식 행사는 리포터나 뉴스 편집자가 보도할 만큼 흥미로울지 몰라도, 그 기준이 위키백과의 문서 등재 기준과 항상 들어맞는 것은 아닙니다. 위키백과에서는 다음과 같은 저명함을 요구합니다.

  • 역사적 의의가 있거나 일반적인 문서 등재 기준을 만족하거나, 지속적으로 지대한 영향을 끼치는 사건은 대체로 저명하다고 간주합니다.
  • (전국적이든 범세계적이든) 널리 영향을 주었거나 다양한 출처에서 널리 보도된 경우, 특히 뒤에 재해석된 경우, 그 사건은 저명한 것으로 볼 가능성이 큽니다.
  • 보도 횟수가 적거나 범위가 제한적인 사건은 저명할 수도 아닐 수도 있습니다. 사건 평가에 대한 조언은 아래의 서술을 참고하십시오.
  • 일상적인 수준으로 보도되는 사건은 (대부분의 범죄, 사고, 죽음, 정치인 또는 유명인사들의 뉴스, "충격 고로케" 프레임에 걸리는 기사, "학생들의 미담"처럼 가치의 지속성이 떨어지는 이야기 포함) 추가적으로 지속적인 중요성이 뭔가 발견되지 않는다면 저명하지 않습니다. 이는 그것이 당시에 얼마나 널리 보도되었든 또는 얼마나 비극적이었든 상관 없습니다.

사건을 평가할 때, 편집자들은 해당 사건과 뉴스 보도에 대해 다방면으로 평가해야 합니다. 고려할 점으로는 영향, 깊이, 보도 기간, 지리적인 보도 범위, 보도의 다양성과 신뢰성, 그리고 보도의 관례성이 있습니다. 이 요소들은 아래에 서술하겠습니다.

사건·사고 편집

지속되는 영향 편집

현재 진행형인 교훈을 남겼거나 이끌어낸 사건은 저명하다고 봅니다.

어떤 결과를 남겼거나 이끌어낸 사건은 대체로 등재 기준을 충족하다고 간주합니다. "어떤 결과"란 사회나 법률의 관점과 행동 양식에 끼친 영향 역시 포함됩니다. 예를 들어 조두순 사건, n번방 사건 등이 있습니다. 이 사건들은 각각 성범죄자에 대한 화학적 거세 법안 추진, 디지털 성범죄에 대한 형량을 강화라는 영향을 끼쳤으므로 등재 기준을 충족합니다.

역사적 의의에 영구적인 영향을 남겼다고 언급되거나 기록된 사건 역시 등재 기준을 충족합니다. 가령 재건축, 인구 이동, 선거 등 광범위한 구역에 영향을 미치는 자연 재해 역시 이에 포함됩니다. 허리케인 카트리나2004년 인도양 지진 해일이 좋은 예입니다. 인구 수에 미친 영향이 아주 작거나 없는 국지적인 지진 또는 폭풍은 대체로 등재 기준을 충족하지 않습니다.

사건이 지속적인 영향을 일으키는지 아닌지는 몇 주 또는 몇 달이 지나야 알 것입니다. 하지만 이는 지속적인 영향이 아직 밝혀지지 않은 최근 사건이, 무조건 등재 기준에 미달한다는 뜻은 아닙니다.

지리적인 범위 편집

저명한 사건의 특징으로는 '지역, 특정 분야, 또는 광범위한 사회적 집단에 끼친 지대한 영향'을 꼽을 수 있습니다

한 지역에서 발생해 아주 가까이에 있는 지역의 언론에서만 보도된 사건은, 항상 등재 기준을 충족한다고 여겨지지는 않습니다. 국가적 또는 전세계적인 보도는 사건의 중요성을 더 높여 주지만, 그것들이 단 하나의 기사에 의존한 보도여서는 안 됩니다. 그러나 세계 주요 지역, 또는 널리 퍼진 사회적 집단에게 지속적으로 현저한 영향력을 끼친 사건은 문서로 만들 정도로 저명하다고 간주합니다.

보도 편집

보도의 깊이 편집

사건이 등재 기준을 충족하려면, 의미 있고 심도 깊이 보도되어야 합니다.

일반적인 지침에서, 보도는 단순 브리핑이 아닌 중심 화제여야 한다고 규정합니다. 심도 깊은 보도에는 사건을 전후 맥락과 결부시킨 분석 역시 포함됩니다. 서적, 주요 주간지 및 월간지 (타임, 뉴스위크, 이코노미스트 등)의 긴 특집 기사, 또는 TV 뉴스 특집 프로그램 (대한민국의 그것이 알고 싶다PD수첩, 미국의 60분 같은)이 그 예입니다. 주제와의 관련성이나 맥락이 이어지는 정보가 거의 없는 보도는 일상적인 보도로 간주됩니다.[2] 일부 편집자는 인터뷰 등 스토리텔링식 뉴스 보도를 2차 자료가 아닌, 1차 자료로 간주하기도 합니다.

간혹 언론 매체 자료에서는 널리 보도된 어떤 사건을 다루면서, 그것과 유사한 (혹은 비교/대조되는) 특정 사건을 같이 보도하기도 합니다. 그런 출처에 의존해서 "그 새로운 사건·사고"가 저명하다고 해서는 안 됩니다. 왜냐하면 그런 기사들의 주된 목적은 "일반적으로" 사건의 특정 유형이나 "이전 사건"을 강조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보도 기간 편집

저명한 사건은 대개 단신 뉴스 이상으로 많이 보도됩니다.

보도 기간은 사건의 중요성이 일시적인지 지속적인지를 판단하는 강력한 지표가 됩니다. 비록 저명성은 일시적인 것이 아니기 때문에 보도가 지속되어야 문서가 계속 유지될 수 있다는 뜻은 아니지만, 갑자기 쏟아져나오는 뉴스 보도가 사건을 저절로 저명하게 하는 것은 아닙니다. 심화 분석 또는 토론 없이, 사건 도중 또는 직후 언론에서 단순 보도되기만 한 사건은 백과사전 항목으로 만들기 적합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이를 사건이 일어난 이후 곧장 판단하기는 어렵거나 불가능합니다. 사건에 대한 심화 보도가 나올지 아닐지 편집자는 알 수 없습니다. 최근에 일어났다는 사실 자체로는 저명하지 않다고 할 수 없습니다.

만약 초기 보도 이후 그 사건이 여러 자료에서 사례 연구로 쓰인다면, 이는 해당 사건의 의의가 지속적일 수도 있다는 것입니다.

출처의 다양성 편집

특정 사건이 국가적 또는 범국가적으로 중대하게 보도되다면 저명하다고 예상됩니다. 광범위한 보도는 사안의 중요성을 나타내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러나 다른 자료의 내용을 단순 복제 및 받아적기한 자료, 또는 둘 이상의 출처가 같은 계열사에 속한 것들이라면 가치는 하락합니다.

위키백과의 일반적인 등재 기준은 한 출처에서 나온 여러 자료가 아닌, 다양한 출처가 주제의 등재 기준을 확립해 준다고 언급합니다. [3] 단 하나의 신문이나 뉴스 채널에서 나온 뉴스 보도 시리즈로는 문서의 기틀이 되기에 불충분합니다.

같은 계열사 혹은 영향력 아래에 있는 미디어 채널은 단 하나의 지역 또는 국가적 보도국으로 세고, 사건 보도 시 그 중 하나만 인용합니다. 여러 지역 또는 국가에 보도국을 갖고 있는 경우라도 마찬가지입니다 (예를 들어 조선일보TV조선은 같은 언론사 계열에 속해 있으므로, 둘이 같은 보도를 한 경우 하나만 골라서 인용합니다.). 마찬가지로, 하나의 신문 기사 또는 정부 기관의 공식 발표를 신문 출판물에서 단순 재탕한 경우나, 이미 보도된 뉴스 기사를 토대로 반복 보도한 경우(예를 들어, "SBS의 보도에 따르면…"), 모두 단 하나의 출처로 계산해야 합니다. 단순 복사 보도나 같은 계열사의 보도는 서로의 신뢰도를 보증할 수 없으며, 반복되는 기사가 특정 주제의 중요성을 높여 주지도 않습니다.

그 외의 상황 편집

관례적인 보도 편집

위키백과 정책에 따라, 공식 발표, 스포츠, 추측성 보도, 선정적 보도 같은 관례적인 뉴스 보도를 단독문서화의 근거로 삼기엔 부족합니다. 쇼케이스, 스포츠 경기 등 일정이 잡힌 행사에 대한 예정된 보도, 특히 홍보 목적이 결부된 경우 역시 관례 보도로 간주합니다.[4] 결혼 발표, 경기 점수 결과, 범죄 기록, 그 외에 뉴스 가치에 대한 토론을 보통 건너뛰는 사안 역시 관례 보도로 간주합니다. 스포츠 경기, 영화 개봉, 기자회견 등 관례적인 행사는 다른 문서에서 다루는 것이 정말로 더 좋습니다. (흔하고, 매일 일어나고, 평범해서 두드러지지 않는) 일상적인 사건 역시 저명하지 않습니다. 다들 알다시피, (우리 동네 트로트 스타나 아기고양이 구출 작전 같은) 짧고 가벼우며 재미있는 기사는 거의 대부분 신문지 한 켠이나 심야 뉴스 말미 부근에서나 나오죠.

선정주의 편집

타블로이드황색 언론을 근거로 백과사전 항목을 만드는 것은 나쁘다고 여겨집니다. 선정주의와 스캔들 유포에만 치중한 뉴스 보도 특성상 사실 검증이 제대로 되지 않기 때문이죠. 정책에 따르면, 위키백과는 스캔들이나 뜬소문을 퍼트기 위한 장소가 아닙니다. 신뢰받는 미디어에서조차, 언론 산업에 내재된 24-hour news cycle과 다른 압력으로 인해 적절한 사실 검증 없이 인포테인먼트뉴스 기사 양산 행위를 종종 저지릅니다. 일부 편집자는 등재 기준에 부합하는지를 평가할 때, 인지된 매체 편향 현상을 고려합니다. 참고로 이 조항은 사건 뿐 아니라 생존 인물, 유명인, 비주류 이론 등에도 적용됩니다.

범죄 행위 편집

범죄 행위[5] 관련 문서, 특히 "속보" 관련 문서들은 빈번하게 삭제 토론 대상이 됩니다. 다른 사건·사고와 마찬가지로, 위의 지침과 출처의 신뢰성을 만족하는 보도를 통해 언론 매체는 세간의 이목을 끄는 범죄 행위에 등재 가치를 부여할 수 있습니다.

실종 사건 역시 사법 기관이 그것을 범죄 행위의 결과로 간주했다면 이 기준에 해당됩니다. 이는 가해자가 밝혀졌는지, 고발되었는지 여부와 상관 없습니다. 이 사건이 저명하며 범죄 행위라 여겨진다면 해당 문서는 존립될 것입니다. 설령 차후에 아무런 범죄도 일어나지 않았다는 것이 밝혀지더라도요(예:도망친 신부 사건 (영어판)). 그런 사실이 사건의 저명성을 훼손하지는 않으니까요.

하나의 사건으로만 유명해진 인물 편집

관련된 하나의 사건으로만 유명해진 인물은 일반적으로 단독문서화하면 안 됩니다. 사건이 등재 기준을 충족한다고 생각되면 대신 사건에 대해 문서를 작성하세요.

미래에 개최될 행사 편집

미래에 벌어질 것이라 기대되는 행사 관련 모든 문서는 내용이 확인 가능해야 합니다. 덧붙여 이전에도 개최된 바 있는 행사라면, 문서화가 가능할 정도로 충분히 관심을 많이 받고 있는 것이어야 합니다. 미래에 개최되기로 예정되어 있거나 기대되는 각 행사는, 그 행사가 저명하고 개최 확률이 거의 확실한 경우에만 문서로 만들어져야 합니다. 일정은 그 행사가 실제로 행해질 때까지 절대로 확정된 것이 아닙니다. 아무리 저명한 행사라도 막판의 큰 사건으로 인해 취소·연기될 수 있으니까요 (2020 도쿄 올림픽이 연기될 것이라 그 누가 생각했겠습니까?). 아직 진행되지 않은 행사 준비 과정 관련 추측 글은 반드시 잘 기록되어야 합니다. 어떤 곳에서도 확인할 수 없는 행사 관련 문서와 독자 연구 내용일 뿐인 일부 문서는 등재되기에 적절하지 않습니다.

뉴스 속보 편집

어떤 사건·사고가 현재까지도 언론에서 널리 보도되고 있다면, 편집자 분들은 {{최근 사건}} 틀을 문서에 붙여 독자들의 수정 본능을 깨워 주세요.

성급하게 문서를 만들지 마세요 편집

사건의 중요성이 분명해지기 전까지는 속보로 보도된 사건에 대한 문서 작성은 미뤄 두세요. 일찍 나온 보도 자료에는 관점이 결여되어 있고 사실 부분의 오류도 있으니까요. 속보 관련 문서 작성은 너무 성급하며, 위키백과는 예언서가 아니라는 점 다시 명심해 주세요. 가능하면 관련 토픽을 다루는, 이미 존재하는 문서에 해당 사건에 대한 부분을 추가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나중에 그 사건이 독립적인 저명성을 얻을 정도로 보도 자료가 쌓이면 그 때 본 문서에서 분리되어 자체적인 문서로 만들어질 것입니다.

속보의 저명성에 대한 "기대감" 때문에 수많은 관련 문서가 생성됩니다. 보도 기간이나 지속되는 영향이 확실해지기도 전에, 기대감 때문에 우리는 최근 사건이 등재 기준을 만족한다는 자신감과 함께 관련 문서를 생성합니다. 가령 2009년 6월 22일 워싱턴 지하철 충돌 사고 (영어판) 문서는 사건이 발생한지 60분 만에 작성되었습니다. 구조 작업은 진행중이었고, 수사는 시작도 하지 않았고, 최종 사망자 수는 나오지도 않았던 때였습니다.

저명성에 대한 기대감은 실수로 이어집니다. 하루에도 많은 사건 사고가 언론에 묘사되지만 대부분은 곧 신문 하단으로 밀려납니다. 예를 들어, 2009년 1월 어떤 남자가 조지 W. 부시를 워싱턴에서 암살하기 위한 여행 계획을 세웠다는 보도가 있었습니다. 며칠 뒤 보도에 따르면 그에게는 아무런 계획도 없었으며 이 사건은 일상적인 체포 건에 지나지 않았음이 밝혀졌습니다. 하지만 2011년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 존 F. 케네디 암살 사건, 김정일의 죽음과 국장처럼 예측 불가능하고 전례 없는, 널리 보도된 중대 사건에 대한 문서는 유지해야 한다는 총의를 확실히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

성급하게 문서를 삭제하지 마세요 편집

속보에 실린 사건에 대한 문서는 대개 즉시 삭제 대상이 됩니다. 위키백과는 완성된 문서가 아니기 때문에, 한 며칠 동안은 이동 표적 처리하는 마냥 삭제 토론을 제기하지 않을 것과 삭제 토론이 필요 없을지도 모를 정도로 사건의 저명성이 명확해질 시간을 줄 것을 권장합니다. 한창 뜨겁게 주목받는 사건이 진행되는 동안 삭제 토론에서 총의가 삭제하기로 모아진 적은 거의 없습니다. 삭제 대신 기사를 발전시킬 다른 대안으로는 userfying이나 초안을 짜는 곳에 문서를 옮기는 겁니다.

위키뉴스 편집

위키백과 대신, 위키뉴스에서 속보를 작성하고 싶어하는 편집자도 있습니다.

CC-BY로 운영하는 위키뉴스는 CC-BY-SA인 위키백과와 저작권이 호환되지 않기 때문에 위키백과 페이지를 위키뉴스로 옮기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그러나 넘나들기를 통해 위키백과 컨텐츠로 위키뉴스 원 출처의 내용을 퇴고하는 것은 가능합니다. 반대로 위키뉴스 컨텐츠는 위키백과에 자유롭게 올릴 수 있습니다.

삭제하는 대신에 편집

사건 자체의 저명성은 의심스럽지만 그것이 주로 특정 인물이나 회사나 단체와 관련되어 있거나, 더 넓은 주제의 한 부분으로 다룰 수 있다면, 이전에 생성된 그 문서에 병합하여 서술하는 편이 더 나을 것입니다. 비중을 잘못 두거나 생존 인물의 전기 같은 정책을 어기지 않도록 주의하세요.

병합되기 좋은 대상도 없다면, 해결책은 하나의 사건 이상의 내용을 추가하여 해당 문서 자체를 키우는 것입니다.

같이 읽기 편집

풀이 편집

  1. 엔카르타 사전 정의 2008년 3월 13일 확인.
  2. Jaeho Cho; Michael P. Boyle; Heejo Keum; Mark D. Shevy; Douglas M. Mcleod; Dhavan V. Shah; Zhongdang Pan (2003년 9월). “Media, Terrorism, and Emotionality: Emotional Differences in Media Content and Public Reactions to the September 11th Terrorist Attacks”. 《Journal of Broadcasting & Electronic Media》 47. 
  3. 위키백과:문서 등재 기준 참조: "다양한 출처의 부재는 그 주제가 좀 더 넓은 범위의 주제에 포함되는 것이 더 적합함을 시사합니다. 다양한 출처나 학술지가 같은 이야기를 출판하는 것은 흔한 일입니다. 이 경우에 가끔 약간의 차이나 다른 제목을 달고 나오기도 하는데, 하지만 하나의 이야기는 한 번에 다양한 출처의 역할을 하지 못합니다. 많은 학술지가 동시에 다른 글들을 출판하는 경우에는 언제나 다양한 출처의 역할을 하지는 않는데, 특히 작성자들이 똑같은 출처를 바탕으로 글을 작성하고 그저 똑같은 정보를 다시 언급하는 수준일 때 그 여러 글들이 다양한 출처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없습니다. 비슷하게, 같은 작성자에 의해 쓰여졌거나 같은 정기간행물에 있는 연속된 글들은 보통 하나의 출처로 여겨집니다."
  4. Harvey Molotch; Marilyn Lester (1974년 2월). “News as Purposive Behavior: On the Strategic Use of Routine Events, Accidents, and Scandals”.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39: 101–112. 
  5. "범죄 행위"는 범죄로 인정받은 것과, 관련 법집행기관 또는 사법당국이 유사 범죄로 간주하는 것 모두 포함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