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점 (언어학)

언어학에서 초점(영어: focus, 약어 FOC)은 어떤 문장에서 새롭거나, 이미 주어진 정보로 예측할 수 없거나, 기존의 정보와 대조적인 정보를 담은 부분을 가리킨다.[1] 또는 그것을 표시하는 방식을 가리키기도 한다. 특히, 대조적 초점(영어: contrastive focus)은 대화 상대가 갖고 있는 전제와 대조적인 정보를 표시하는 방식을 가리킨다.[2][3][4] 초점은 정보 구조와 관련되어 있다.

주제-평언 모형은 문장을 문장의 주제와 주제에 대해 말하는 내용(첨언 또는 초점)으로 구분한다.[4][5][6]

초점은 흔히 강세를 받는다. 어순의 측면에서 초점은 일반적으로 문장 뒤쪽에 나타나서 문장 앞쪽에 나타난 주제를 보충해 주는 경향이 있다.[7]

예시 편집

다음 한국어 문장에서 굵게 나타낸 부분이 문장의 초점이라고 할 수 있다.

  • 네 책은 식탁 위에 있다.
  • 식탁 위에 네 책이 있다.

초점을 판별하는 한 가지 표준적인 방법은 설명의문문에 대한 대답에서 의문대명사에 대응하는 부분을 초점으로 보는 것이다.[8]

  • Q: 누가 책을 샀니?
    A: 철수가 샀어.
  • Q: 철수는 무엇을 먹었니?
    A: 철수는 밥을 먹었어.
  • Q: 철수는 무엇을 했니?
    A: 철수는 밥을 먹었어.
  • Q: 무슨 일이니?
    A: 철수가 밥을 먹었어.

기능주의적 접근 편집

언어학자들은 정보 구조를 문법적 현상으로서 분석해 왔다.[9][10][11] Lambrecht와 Givón 등 담화기능을 통하여 초점 현상을 설명하고자 하는 최근의 연구들은, 초점을 구정보·신정보·대조적 정보를 포장하는 방식과 연결지어 설명하고자 한다. Lambrecht는 초점 구문의 3가지 주요 유형으로 술어초점, 논항초점, 문장초점을 든다. 또한 초점을 주의 전환 등 일반인지적 과정과 연결지어 설명하려는 시도가 있다.[12][13]

형식주의적 접근 편집

생성문법 학파의 일반적 견해에 따르면 음운론의미론은 정보를 직접 교환할 수 없다. 따라서 초점이나 그에 관련된 억양 정보는 통사론적 자질이나 변형 따위로 표상되어 있다가 음운론과 의미론으로 각각 전달되어야 한다.

각주 편집

  1. Halliday, M. (1967), “Notes on Transitivity and Theme in English (Part 2)”, 《Journal of Linguistics》 3: 206 
  2. Givon, Talmy (2001), 《Syntax: An Introduction Vol. II》, Amsterdam: John Benjamins Publishing Co. 
  3. Lambrecht, Knud (1994), 《Information Structure and Sentence Form: Topic, Focus, and the Mental Representation of Discourse Referent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4. Camacho, José; Rodrigo Gutiérrez-Bravo; Liliana Sánchez (2010), 《Information Structure in the Languages of the Americas: Syntactic Approaches》, Berlin: Mouton de Gruyter 
  5. Bates, Elizabeth; Brian MacWhinney (1987), Dirven, Rene; V. Fried, 편집., “A functionalist approach to the acquisition of grammar”, 《Functionalism in Linguistics》, Linguistic and Literary Studies in Eastern Europe (Amersterdam: John Benjamins) 20: 209–264, doi:10.1075/llsee.20.12bat, ISBN 978-90-272-1524-6. 
  6. Mel’čuk, Igor A. (2001), 《Communicative Organization in Natural Language: The Semantic-Communicative Structure of Sentences》, Amsterdam: John Benjamins 
  7. What is a focus? - 국제 SIL
  8. 정승철 (2015), 25쪽.
  9. Prince, E (1981), 《Towards a taxonomy of given-new information》, New York: Academic Press 
  10. Chafe, W. L. (1976), 《Givenness, Contrastiveness, Definiteness, Subjects, Topics and Points of View》, New York: Academic Press 
  11. Halliday, M. A. K. (1967), 《Notes on Transitivity and Theme in English》, New York: Academic Press 
  12. Levelt, W J. M. (1989), 《Speaking》, Cambridge: MIT Press 
  13. Tomlin, R. S. (1995), 《attention, voice, and word-order: an experimental, cross-linguistic study》 

참고 문헌 편집

  • Cinque, Guglielmo (1993). "A null theory of phrase and compound stress". Linguistic Inquiry 24: 239–267.
  • Neeleman, Ad and Tanya Reinhart (1998). "Scrambling and the PF-Interface". In The Projection of Arguments, CSLI Publications, 309–353.
  • Ocampo, Francisco (2003). "On the notion of focus in spoken Spanish: An empirical approach". In Theory, Practice, and Acquisition, ed. by Paula Kempchinsky and Carlos-Eduardo Pineros. Sommerville: Cascadilla Press, 207–226.
  • Pereltsvaig, Asya (2002). "Topic and focus as linear notions: evidence from Russian and Italian". Proceedings of the Conference on the Interaction between Syntax and Pragmatics at UCL.
  • Szendrői, Kriszta (2004). 'Focus and the interaction between syntax and pragmatics'. Lingua 114(3), 229–254.
  • Xu, Y., C. X. Xu and X. Sun (2004). 'On the temporal domain of focus'. In Proceedings of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peech Prosody 2004, Nara, Japan: 81–84.
  • 정승철 (2015). 《아이마라어의 화제와 초점 - 한국어 정보구조와의 유형론적 대조 연구 -》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년 5월 4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