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리스 (항성)

궁수자리 뮤(μ Sgr)는 궁수자리 방향에 있는 다중성계이다. 이 항성계에서 가장 밝은 궁수자리 뮤 Aa에 공식적으로 폴리스(Polis)라는 이름이 부여되었다.[11] 뮤 항성계는 태양으로부터 약 3000 광년 떨어져 있으며 궁수자리 OB1 성협의 구성원이다.

폴리스
명칭
바이어 명명법 전체: 궁수자리 뮤 (μ Sgr)
플램스티드 명명법 전체: 궁수자리 13 (13 Sgr)
밝은 별 목록 A: HR 6812
헨리 드레이퍼 목록 A: HD 166937, D: HD 314059, E: HD 314057
스미소니언 천문대 항성목록 전체: SAO 186497
소천성표 A: BD−21°4908, D: BD−21°4907, E: BD−21°4909
히파르코스 목록 A: HIP 89341
다른 이름 전체: CCDM J18210-2950, IDS 18078-2105, WDS J18138-2104
A: PPM 268080, FK5 682, GC 24856
E: 2MASS J18134906-2103528
관측 정보
(역기점 J2000.0)
별자리 궁수자리
적경(α) 18h 13m 45.8s[1]
적위(δ) −21° 03′ 32″[1]
겉보기등급(m) +3.85[2]
절대등급(M) A: −7.1[3], B: −1.2[4], D: −3.3[3], E: −2.1[3]
위치천문학
연주시차 A: 0.09 ± 0.28 mas[1]
거리 3,000 광년 (920 파섹)[5]
성질
광도 A: 200,000, B: 603, D: 1,660, E: 2,450 L[5]
나이 Ab: 1000만 년[3]
분광형 A: B8Iap[6] + B1.5V, B9III[7], D: B2IV[3], E: B2.5V[3]
U-B 색지수 A: −0.52, B: −0.11, C: −0.30, D: −0.57, E: −0.67[8]
B-V 색지수 A: +0.22, B: −0.04, C: +0.23, D: +0.11, E: +0.04[8]
변광성 분류 A: EA + α Cyg[9]
추가 사항
질량 A: 14.1 – 30, Ab: 9.8 – 15 M[10]
반지름 A: 67.9, Ab: 12.2 R[10]
표면 중력 (log g) A: 2.0, Ab: 4.0 cgs[10]
항성 목록

겉보기등급순 · 절대등급순
거리순 · 질량순 · 반지름순

항성계 편집

궁수자리 뮤 항성계의 구성원들에는 A부터 E까지 식별기호가 붙어 있으며 정렬 순서는 가장 밝은 A에 가까운 것부터이다. 'A' 자체는 다시 분광쌍성으로 구성원은 궁수자리 뮤 Aa와 Ab로 구성된다. 눈에 보이는 이 다섯 별들 중 C는 안시 이중성으로 다른 항성들에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다. 구성원 D 역시 일부 논문 저자들은 순수한 안시 이중성으로 취급했으나[3] 다른 학자들은 D를 항성 네 개(눈에 보이지 않는 반성이 하나 더 있다.)가 중력적으로 묶여 있는 트라페지움 계의 일부분으로 간주한다.[4]

구성원 겉보기등급[8] 궁수자리 뮤 A와의 각거리 A와의 실제 거리 (최솟값)
A +3.88 - -
B +8.04 16.9 (초각) 42 200 AU 또는 0.67 ly
C +10.99 25.8 64 500 AU 또는 1.02 ly
D +9.63 48.5 121 200 AU 또는 1.92 ly
E +9.25 50.0 125 000 AU 또는 1.98 ly

명명법 편집

궁수자리 뮤(μ Sgr)는 이 계를 바이어 명명법으로 부른 이름이다. 계의 구성원 다섯은 궁수자리 A, B, C, D, E로 표기하며 이들 중 가장 밝은 A는 다시 궁수자리 뮤 Aa와 Ab로 표기한다. 상기 표기법은 워싱턴 다중성 목록(WMC)에서 다중성계를 표기할 목적으로 세운 규칙이며 국제천문연맹(IAU) 역시 이 규칙을 받아들였다.[12]

이 계는 콥트인들이 기록한 월수(月宿, lunar station) 목록에서 πολις (폴리스) 이름으로 나온다. 월터 유잉 크럼(Walter Ewing Crum)은 상기 목록명들의 어원이 모두 그리스어라고 결론내렸는데, 이 경우 폴리스는 '도시'를 뜻한다.[13]

2016년 IAU는 항성들의 고유명칭을 목록화 및 표준화할 목적으로 항성명칭 워킹그룹(WGSN)을 조직했다.[14] WGSN은 다중성계의 경우 고유 명칭을 계 전체가 아니라 계의 구성원에 붙이기로 했다.[15] 2017년 9월 5일 IAU는 폴리스 Polis를 궁수자리 뮤 Aa에 공식 부여하였으며 이 이름은 현재 IAU 인증 항성명칭 목록에 포함되어 있다.[11]

중화권에서 궁수자리 뮤는 두수에 포함되어 있다. 두수는 뮤 외에도 궁수자리 피, 람다, 시그마, 타우, 제타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중 뮤 하나만을 일컫는 이름은 두수3(斗宿三)이다.[16]

특징 편집

변광 편집

궁수자리 뮤 A는 밝기가 변화하기 때문에 변광성으로 분류된다.[9] 뮤 A의 두 구성원은 181일을 주기로 서로를 가리는데 이로 인해 0.08의 광도 하락이 일어난다.(+3.84 ~ +3.96)[10] 여기에 더하여 뮤 A는 뜨거운 초거성들이 불규칙적으로 맥동하는, 전형적인 백조자리 알파형 변광성의 불규칙한 밝기 변화를 보여준다.

물리적 특성 편집

궁수자리 뮤 A는 B형 거성으로 보이며 총 광량은 태양의 18만 배, 반지름은 태양의 115 배이다. 질량은 태양의 23 배이며 표면 유효 온도는 11100 켈빈이다. 궁수자리 뮤 Aa는 B8 분광형의 초거성이며 반성 Ab는 B2형 거성이다.

계의 나머지 구성원들은 폴리스 계에 매우 약하게 묶여 있으며, 맨눈에 보이는 A와는 달리 반성들의 속성은 매우 불확실하다.

궁수자리 뮤 B의 겉보기 등급은 8.04와[8] 10.481 사이로 측정되었는데[17] 이로 인해 B의 물리적 특성, 거리, 계와의 연결성이 불확실하다. 워싱턴 이중성 목록에는 겉보기 등급이 10.48로, 이중성 및 다중성 구성원 목록(Catalog of Components of Double and Multiple Stars)에는 11.5로 등재되어 있다.[18][19]

구성원 D는 뜨거운 B3형 항성이다.[20] MK 분광형은 B2 IV로 측정되어 왔으며, 준거성임을 상정한 광도분류 IV로부터 D는 계 내에서 다른 구성원들보다도 주성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것으로 보인다.[3] 광도계로 측정한 분광형을 B2 V로 정의한 연구도 있으며 이 주계열 광도분류는 다른 항성들의 거리와 일치한다.[4]

각주 편집

  1. Van Leeuwen, F. (2007). “Validation of the new Hipparcos reduction”. 《Astronomy and Astrophysics》 474 (2): 653–664. arXiv:0708.1752. Bibcode:2007A&A...474..653V. doi:10.1051/0004-6361:20078357. 
  2. Ducati, J. R. (2002). “VizieR Online Data Catalog: Catalogue of Stellar Photometry in Johnson's 11-color system”. 《CDS/ADC Collection of Electronic Catalogues》 2237. Bibcode:2002yCat.2237....0D. 
  3. Abt, H. A.; Cardona, O. (1983). “Confirmation among visual multiples of an increase of AP stars with age”. 《Astrophysical Journal》 272: 182. Bibcode:1983ApJ...272..182A. doi:10.1086/161276. 
  4. Lindroos, K. P. (1985). “A study of visual double stars with early type primaries. IV Astrophysical data”. 《Astronomy and Astrophysics Supplement Series》 60: 183. Bibcode:1985A&AS...60..183L. 
  5. Lindroos, K. P. (1986). “A study of visual double stars with early-type primaries. V - Post-T Tauri secondaries”. 《Astronomy and Astrophysics》 156: 223. Bibcode:1986A&A...156..223L. 
  6. Fraser, M.; Dufton, P. L.; Hunter, I.; Ryans, R. S. I. (2010). “Atmospheric parameters and rotational velocities for a sample of Galactic B-type supergiants”.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404 (3): 1306. arXiv:1001.3337. Bibcode:2010MNRAS.404.1306F. doi:10.1111/j.1365-2966.2010.16392.x. 
  7. Zasche, P.; Wolf, M.; Hartkopf, W. I.; Svoboda, P.; Uhlař, R.; Liakos, A.; Gazeas, K. (2009). “A Catalog of Visual Double and Multiple Stars with Eclipsing Components”. 《The Astronomical Journal》 138 (2): 664. arXiv:0907.5172. Bibcode:2009AJ....138..664Z. doi:10.1088/0004-6256/138/2/664. 
  8. Echevarria, J.; Roth, M.; Warman, J. (1979). “Photometric Study of Trapezium-Type Systems”. 《Revista Mexicana de Astronomía y Astrofísica》 4: 287. Bibcode:1979RMxAA...4..287E. 
  9. Samus, N. N.; Durlevich, O. V.; 외. (2009). “VizieR Online Data Catalog: General Catalogue of Variable Stars (Samus+ 2007-2013)”. 《VizieR On-line Data Catalog: B/GCVS. Originally Published in: 2009yCat....102025S》 1. Bibcode:2009yCat....102025S. 
  10. Polidan, R. S.; Plavec, M. J. (1984). “A hot companion to MU Sagittarii - an opportunity to sound the atmosphere of a B8 IA supergiant”. 《Astronomical Journal》 89: 1721. Bibcode:1984AJ.....89.1721P. doi:10.1086/113678. 
  11. “Naming Stars”. IAU.org. 2017년 12월 16일에 확인함. 
  12. Hessman, F. V.; Dhillon, V. S.; Winget, D. E.; Schreiber, M. R.; Horne, K.; Marsh, T. R.; Guenther, E.; Schwope, A.; Heber, U. (2010). “On the naming convention used for multiple star systems and extrasolar planets”. arXiv:1012.0707 [astro-ph.SR]. 
  13. See station 22 in footnote 12 in Stefan Weinstock, "Lunar Mansions and Early Calendars", Journal of Hellenic Studies, Volume 69, November 1949, pp. 48-69.
  14. “IAU Working Group on Star Names (WGSN)”. 2016년 5월 22일에 확인함. 
  15. “WG Triennial Report (2015-2018) - Star Names” (PDF). 5쪽. 2018년 7월 14일에 확인함. 
  16. (중국어) AEEA (Activities of Exhibition and Education in Astronomy) 天文教育資訊網 2006 年 5 月 11 日
  17. Lindroos, K. P. (1983). “A study of visual double stars with early type primaries. II - Photometric results”. 《Astronomy and Astrophysics Supplement Series》 51: 161. Bibcode:1983A&AS...51..161L. 
  18. Mason, Brian D.; Wycoff, Gary L.; Hartkopf, William I.; Douglass, Geoffrey G.; Worley, Charles E. (2001). “The 2001 US Naval Observatory Double Star CD-ROM. I. The Washington Double Star Catalog”. 《The Astronomical Journal》 122 (6): 3466. Bibcode:2001AJ....122.3466M. doi:10.1086/323920. 
  19. Dommanget, J.; Nys, O. (1994). “Catalogue of the Components of Double and Multiple stars (CCDM). First edition”. 《Obs. R. Belg》 115. Bibcode:1994CoORB.115.....D. 
  20. Nesterov, V. V.; Kuzmin, A. V.; Ashimbaeva, N. T.; Volchkov, A. A.; Röser, S.; Bastian, U. (1995). “The Henry Draper Extension Charts: A catalogue of accurate positions, proper motions, magnitudes and spectral types of 86933 stars”. 《Astronomy and Astrophysics》 110: 367. Bibcode:1995A&AS..110..367N. 

외부 링크 편집

좌표:   18h 13m 45.8s, −21° 03′ 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