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TO의 유고슬라비아 공습

1999년 3~6월 유고슬라비아에서 NATO 군사 작전

NATO의 유고슬라비아 공습유고슬라비아 연방공화국에 대해 코소보 전쟁 기간 동안 북대서양 조약기구가 벌인 군사 작전이다. 공습은 1999년 3월 24일부터 1999년 6월 10일까지 이어졌다. 공식적인 NATO 측의 작전명은 "연합군 작전"이었지만, 미국은 이를 "고귀한 모루 작전"이라고 불렀다.[6] 유고슬라비아에서는 미국 측 작전 명이 잘못되어, "감사한 천사" (Милосрдни анђео / Milosrdni anđeo)로 불리게 되었다.[7] 공습은 유엔 코소보 임시행정부가 들어서고 유고슬라비아군이 코소보에서 철수할 때까지 지속적으로 이어졌다.

NATO의 유고슬라비아 공습
코소보 전쟁의 일부

1999년 NATO의 노비사드 공습으로 시가지 내에 화재가 발생했다.
날짜1999년 3월 24일 - 1999년 6월 10일
장소
결과

NATO 승리[1]

교전국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유고슬라비아
지휘관

북대서양 조약 기구 웨슬리 클라크 SACEU
북대서양 조약 기구 루퍼트 스미스
북대서양 조약 기구 하비에르 솔라나


미국 존 W. 헨드릭스

미국 제임스 O. 엘리스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슬로보단 밀로셰비치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드라골리주브 오자니치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네보차 파브코비치

수천 명의 알바니아인들이 잔혹한 인종청소로 인해 이웃 국가들로 쫓겨나게 되고, 지역의 불안정의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유엔, 북대서양 조약 기구, 국제 비정부 기구와 같은 여러 국제 단체와 기관들의 개입이 촉발되었다.[8][9] NATO 회원국들은 군사 활동에 대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승인을 얻으려고 했으나 중화인민공화국러시아가 이 제안에 거부권을 행사했다. NATO는 UN 승인 없이 작전을 개시하기로 했고, 이들은 이를 인도주의적 개입이라고 묘사했다. 하지만 유고슬라비아 연방공화국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지지 없이 NATO가 작전을 개시했기 때문에 국제법을 위반했으므로, NATO의 작전을 주권 국가에 대한 불법적인 침략 전쟁이라고 묘사했다.

공습 기간 동안 489명에서 528명의 민간인이 사망했고, 군사 시설 및 거점을 비롯해 회사 또는 기업의 건물과 교량, 공공시설, 산업단지가 파괴되었다. 코소보 전쟁을 비롯한 유고슬라비아 전쟁 이후, 세르비아는 유럽에서 가장 많은 피난민과 국내실향민이 생긴 국가가 되었다.[10][11][12]

NATO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서의 개입 이후 두 번째로 그 역사상 작전을 수행했다. 하지만,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서의 전쟁과는 달리, 코소보 전쟁 때의 NATO 작전은 유엔의 승인이 없이 이루어진 것이었다.[13]

각주 편집

  1. 각주:
    • Stigler, Andrew L. "A clear victory for air power: NATO's empty threat to invade Kosovo." International Security 27.3 (2003): 124–157.
    • Biddle, Stephen. "The new way of war? Debating the Kosovo model." (2002): 138–144.
    • Dixon, Paul. "Victory by spin? Britain, the US and the propaganda war over Kosovo." Civil Wars 6.4 (2003): 83–106.
    • Harvey, Frank P. "Getting NATO's success in Kosovo right: The theory and logic of counter-coercion." Conflict Management and Peace Science 23.2 (2006): 139–158.
  2. Parenti (2000), pp. 198
  3. “Serbia marks another anniversary of NATO attacks - English - on B92.net”. 2016년 9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4월 29일에 확인함. 
  4. Zunes, Stephen (2009년 7월 6일). “The US War on Yugoslavia: Ten Years Later”. 2017년 8월 3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4월 16일에 확인함. 
  5. “NATO & Kosovo: Index Page”. 《www.nato.int》. 2016년 9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0월 26일에 확인함. 
  6. Bonnén, Preben (2003). 《Towards a common European security and defence policy: the ways and means of making it a reality》. LIT Verlag Berlin-Hamburg-Münster. 188쪽. ISBN 978-3-8258-6711-9. 
  7. RTS: Порекло имена "Милосрдни анђео" (On the origin of the name "Merciful Angel") 보관됨 11월 2, 2012 - 웨이백 머신, March 26, 2009 (세르비아어)
  8. Jordan, Robert S. (2001).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 comparative approach to the management of cooperation》. Greenwood Publishing Group. 129쪽. ISBN 9780275965495. 
  9. Yoshihara, Susan Fink (2006). 〈Kosovo〉. Reveron, Derek S.; Murer, Jeffrey Stevenson. 《Flashpoints in the War on Terrorism》. Routledge. 67–68쪽. ISBN 9781135449315. 
  10. “Serbia home to highest number of refugees and IDPs in Europe”. B92. 2010년 6월 20일. 
  11. “Serbia: Europe's largest proctracted refugee situation”. OSCE. 2008. 
  12. S. Cross, S. Kentera, R. Vukadinovic, R. Nation (2013년 5월 7일). 《Shaping South East Europe's Security Community for the Twenty-First Century: Trust, Partnership, Integration》. Springer. 169쪽. 2017년 1월 31일에 확인함. 
  13. “15 years on: Looking back at NATO's 'humanitarian' bombing of Yugoslavia — RT News”. 《www.rt.com》. 2004년 3월 24일. 2016년 12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0월 26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