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승아비달마집론: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6번째 줄:
별칭으로 《'''대법론'''(對法論)》 또는 《'''아비담집론'''(阿毗曇集論)》이라고도 하며, 약칭하여 《'''아비달마집론'''(阿毘達磨集論)》 또는 《'''집론'''(集論)》이라고도 한다.{{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B%8C%80%EC%8A%B9%EC%95%84%EB%B9%84%EB%8B%AC%EB%A7%88%EC%A7%91%EB%A1%A0&rowno=1 大乘阿毘達磨集論(대승아비달마집론]". 2013년 1월 13일에 확인|quote=<br>"大乘阿毘達磨集論(대승아비달마집론): 【범】 Abhidharmasamuccaya. 7권. K-572, T-1605. 당(唐)나라 때 현장(玄奘)이 대자은사(大慈恩寺)에서 652년 2월에 번역을 시작하여 4월에 완성하였거나, 또는 656년에서 661년 사이에 번역하였다. 줄여서 『아비달마집론』ㆍ『집론』이라고 하며, 별칭으로 『대법론』ㆍ『아비담집론』이라고도 한다. 유가행파의 교의를 아비달마적으로 분류해서 주석한 것으로, 무착(無着)이 저술하였다. 그 구성은 2분(分) 8품으로 이루어져 있다. 본사분(本事分)의 제1 「삼법품(三法品)」에서는 온(蘊)ㆍ계(界)ㆍ처(處)의 3법을 기(幾)ㆍ인(因)ㆍ취(取)ㆍ상(相)ㆍ건립(建立) 등 10종으로 나누어서 고찰하고, 제2 「섭품(攝品)」에서는 이러한 3법이 상호 포섭됨을 상섭(相攝)ㆍ분위섭(分位攝) 등 11가지로 구분해서 설명한다. 제3 「상응품(相應品)」에서는 불상리(不相離)ㆍ화합(和合)ㆍ취집(聚集)ㆍ구유(俱有)ㆍ작사(作事)ㆍ동행(同行) 등 6종의 상응과 3법의 관계를 밝히고, 제4 「성취품(成就品)」에서는 종자(種子)ㆍ자재(自在)ㆍ현행(現行)의 3종 성취와 3법의 관계를 설명한다. 그리고 결택분(決擇分)의 제1 「제품(諦品)」에서는 고(苦)ㆍ집(集)ㆍ멸(滅)ㆍ도(道)의 사성제를 결택하여 해설하고, 이러한 4제의 16행상(行相)도 설명한다. 제2 「법품(法品)」에서는 법을 결택해서 설명하고, 제3 「득품(得品)」에서는 보특가라와 현관(現觀)을 건립하여 수행을 통해 얻어지는 결과를 결택해서 설명한다. 제4 「논의품(論議品)」에서는 불교의 가르침을 바르게 논하는 방법을 의(義)ㆍ석(釋)ㆍ분별현시(分別顯示)ㆍ등론(等論)ㆍ섭(攝)ㆍ논궤(論軌)ㆍ秘密의 7종으로 결택한다. 이 가운데 의(義)결택이란 자성ㆍ인ㆍ과ㆍ업ㆍ상응ㆍ전(轉)의 6가지 뜻에 의해 일어나는 것이며, 석(釋)결택이란 능히 여러 경전의 종요(宗要)를 깨닫는 것이다. 이 책에 설해진 많은 부분은 『유가사지론』과 『현양성교론』에도 있는 내용이며, 법상의 명목(名目)이 잘 설명되어 있어서 예로부터 『대승아비달마잡집론』과 함께 널리 인용되었다. ⇒『대승아비달마잡집론(大乘阿毘達磨雜集論)』"}}{{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4777&DTITLE=%A4j%AD%BC%AA%FC%CFi%B9F%BFi%B6%B0%BD%D7 大乘阿毘達磨集論]". 2013년 1월 13일에 확인|quote=<br>"大乘阿毘達磨集論: 梵名 Mahāyānābhidharma-samuccaya。凡七卷。無著菩薩造,唐玄奘譯。略稱集論。乃集解大乘阿毘達磨諸要項而成。今收於大正藏第三十一冊。內容分為本事分與決擇分,前者有三法、攝、相應、成就等四品,後者有諦、法、得、論議等四品。本事與決擇二分係取自瑜伽師地論中之本地分及攝決擇分。三法品之「廣分別」門中之有色無色,乃至有上無上等義門,與攝品之十一種分別、成就品之三種成就說,皆符合於瑜伽師地論卷十三、卷五十二及顯揚聖教論卷十四所說。本書與顯揚聖教論同為瑜伽師地論之綱目書。又本書係於唐永徽三年(652)三月譯出。本論之注釋書有阿毘達磨雜集論十六卷,與本論均為後之成唯識論等書所引用,故古來亦多為唯識家所重視。〔大唐內典錄卷五、開元釋教錄卷八、貞元新定釋教目錄卷十一〕"}}
 
《집론》은 [[유식유가행파]]의 교의를 [[아비달마]]적으로 분류해서 해설하고 있으며, [[아비달마]]의 특징을 이루는 [[제법분별]](諸法分別) 즉 [[법상]](法相)에 관한 학설을 거의 모두 망라하고 있다. 그리고, 《집론》에서 설해진 많은 부분은 《[[유가사지론]]》과 《[[현양성교론]]》에도 들어 있다. [[법상]]을 이루는 개별 요소들인 갖가지 [[법 (불교)|법]]들의 명칭{{.cw}}정의{{.cw}}체계 등이 잘 나타나 있고 설명되어 있어서 《집론》의 주석서에 해당하는 《[[대승아비달마잡집론]](大乘阿毗達磨雜集論)》과 함께 여러 다른 논서들에서 옛날부터 널리 인용되었다.{{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B%8C%80%EC%8A%B9%EC%95%84%EB%B9%84%EB%8B%AC%EB%A7%88%EC%A7%91%EB%A1%A0&rowno=1 大乘阿毘達磨集論(대승아비달마집론]". 2013년 1월 13일에 확인}}{{sfn|고려대장경연구소|K0572 (T.1605)|loc=대승아비달마집론 해제 중 개요|quote=<br>"유가행파의 교의를 아비달마적으로 분류해서 주석한 것이다. 이 중에는 아비달마적 법상(法相)에 관한 대부분의 학설이 모두 들어 있는데, 여기서 설해진 많은 부분은 유가사지론과 현양성교론에도 들어 있다. 법상의 명목(名目) 등이 잘 설명되어 있어서 옛날부터 대승아비달마잡집론(大乘阿毗達磨雜集論)과 함께 도처에서 널리 인용되었다."}}
 
[[현장]]의 《집론》 [[한역본]]은 총 7권 2분(分) 8품(品) 구성되어 있다. 《집론》의 주석서에 해당하는 《[[대승아비달마잡집론]]》은 [[법상종]](法相宗)의 [[소의 논서]]인 [[11론]](十一論) 가운데 하나인데, [[무착]]의 동생이자 제자인 [[사자각]](師子覺)이 《집론》에 대해 붙인 주석 또는 해석을 [[안혜]]가 《집론》의 내용과 합하여 편찬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