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가사지론: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불교}}
 
《'''유가사지론'''(瑜伽師地論)》({{llang|sa|[[:en:Yogācārabhūmi-śāstra|<span style="color: black">Yogācārabhūmi-śāstra</span>]]}}, {{llang|en|[[:en:Discourse on the Stages of Yogic Practice|<span style="color: black">Discourse on the Stages of Yogic Practice</span>]]}})은 불교 전통에 따르면 [[미륵보살]]이 강설한 것을 [[무착]]이 기록하여 성립된 논서로, [[유식유가행파]]의 근본 논서이다. 또한 [[법상종]]의 가장 중요한 논서이며, 불교 역사상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논서이다. 줄여서 《'''유가론'''》이라고도 하며, 다른 이름으로는 《'''광석제경론'''(廣釋諸經論)》 또는 《'''십칠지론17지론'''(十七地論)》이라고도 한다.{{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C%9C%A0%EA%B0%80%EC%82%AC%EC%A7%80%EB%A1%A0&rowno=1 瑜伽師地論(유가사지론)]". 2013년 1월 12일에 확인|quote=<br>"瑜伽師地論(유가사지론): 【범】 Yogācār(y)abhūmiśāstra. 100권. K-570, T-1579. 미륵보살 짓고, 무착 보살 엮음. 당(唐)나라 때 현장(玄奘)이 646년에서 648년 사이에 홍복사(弘福寺) 또는 대자은사(大慈恩寺)에서 번역하였다. 줄여서 『유가론』이라고 하고 별칭으로 『광석제경론(廣釋諸經論)』ㆍ『십칠지론(十七地論)』이라고도 한다. 유가행자(瑜伽行者)의 경(境)ㆍ행(行)ㆍ과(果) 및 아뢰야식설ㆍ삼성설ㆍ삼무성설ㆍ유식설 등에 대해 해설한 논서로서 미륵보살이 무착(無着)을 위하여 중천축(中天竺)의 아유사[阿踰闍] 대강당에서 4개월 동안 매일 밤마다 강설한 것이라고 한다. 이것은 대승불교 완성기의 사상을 대표하는 논서로서, 유식학파의 중도설과 연기론 및 3승교의 근거가 된다. 모두 5분(分)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분은 여러 품으로 나누어져 있다. 제1 본지분(本地分: 1권-50권)에서는 삼승(三乘)의 사상을 오식신상응지(五識身相應地)ㆍ의지(意地)ㆍ유심유사지(有尋有伺地)ㆍ무심유사지(無尋有伺地)ㆍ무심무사지(無尋無伺地)ㆍ삼마혜다지(三摩呬多地)ㆍ비삼마희다지(非三摩呬多地)ㆍ유심지(有心地)ㆍ무심지(無心地)ㆍ문소성지(聞所成地)ㆍ사소성지(思所成地)ㆍ수소성지(修所成地)ㆍ성문지 (聲聞地)ㆍ독각지(獨覺地)ㆍ보살지(菩薩地)ㆍ유여의지(有餘依地)ㆍ무여의지(無餘依地)의 17지(地)로 나누어 설명한다. 제2 섭결택분(攝決擇分: 51권-80권)에서는 본지분 중의 요의를 해명하고, 제3 섭석분(攝釋分: 81권-82권)에서는 제경의 의칙을 해석하며, 제4 섭이문분(攝異門分: 83권-84권)에서는 경전 속에 나타난 제법의 명의를 해설하고(82~84권), 제5 섭사분(攝事分: 85권-100권)에서는 삼장 속의 요의를 해석한다. 법상종(法相宗)의 중요 논서이다. 주석서로는 최승자(最勝子) 등이 지은 『유가사지론석(瑜伽師地論釋)』 1권ㆍ규기(窺基)의 『유가사지론약찬(瑜伽師地論略纂)』 16권ㆍ둔륜(遁倫)의 『유가론기(瑜伽論記)』 24권 등이 있다."}}{{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19165&DTITLE=%B7%EC%A6%F7%AEv%A6a%BD%D7 瑜伽師地論]". 2013년 1월 12일에 확인|quote=<br>"瑜伽師地論: 梵名 Yogacārabhūmi。彌勒講述,無著記。略稱瑜伽論。收於大正藏第三十冊。係瑜伽行學派之基本論書,亦為法相宗最重要之典籍,更為我國佛教史上之重要論書。內容記錄作者聞彌勒自兜率天降至中天竺阿踰陀國之講堂說法之經過,其中詳述瑜伽行(梵 yogacāra)觀法,主張客觀對象乃人類根本心識之阿賴耶識(梵 ālayavijñāna)所假現之現象,須遠離有與無、存在與非存在等對立之觀念,始能悟入中道,為研究小乘與大乘佛教思想之一大寶庫。由於本論廣釋瑜伽師所依所行之十七地,故又稱十七地論。又十七地之中,尤以「菩薩地」為重要。<br>
 本書之漢譯本有數種,以玄奘所譯之瑜伽論一百卷為最著。全書分為五分:(一)本地分,廣說瑜伽禪觀境界十七地之義,為百卷中之前五十卷,乃本論之主體。(二)攝決擇分,顯揚十七地之深義,為其次之三十卷。(三)攝釋分,解釋諸經之儀則,為卷八十一、卷八十二。(四)攝異門分,闡釋經中所有諸法之名義差別,為卷八十三、卷八十四。(五)攝事分,明釋三藏之要義,為最後之十六卷。<br>
 除玄奘所譯之外,本論之異譯本有北涼曇無讖之菩薩地持經(十卷)、劉宋求那跋摩之菩薩善戒經(九卷)、梁真諦之決定藏論(三卷),三本均為節譯本。漢譯本外,另有藏譯本。本論之注疏極多,較重要者有論釋一卷(最勝子等)、略纂十六卷(窺基)、疏十卷(神泰)、記二十四卷(遁倫)。〔大唐內典錄卷五、開元釋教錄卷八、卷十四、新編諸宗教藏總錄卷三〕"}}{{sfn|고려대장경연구소|K0570 (T.1579)|loc=유가사지론 해제 개요|quote=<br>"유가행자(瑜伽行者)의 경(境)‧행(行)‧과(果) 및 아뢰야식설, 삼성설(三性說), 삼무성설(三無性說), 유식설 등을 자세히 논한다. 이 불전은 미륵 보살이 무착(無着)을 위해 중천축(中天竺)의 아유사(阿踰闍) 대강당에서 4개월에 걸쳐 매일 밤 강설한 것이라고 한다. 아비달마대비바사론(阿毘達磨大毘婆師論)이 소승 불교의 사상을 대표하고, 대지도론(大智度論)이 대승 불교가 발흥하던 시대의 사상을 대표함에 대해서, 대승 불교가 완성되고 있던 시대의 사상을 대표하는 것으로서 유식 학파의 중도설과 연기론 및 3승교(乘敎)의 근거가 되는 불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