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성 (불교):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4번째 줄:
'''자성'''(自性, {{llang|sa|[[:en:svabhāva|<span style="color: black">svabhāva</span>]]}}, [[:en:sva-laksana|<span style="color: black">sva-laksana</span>]], [[:en:svalakṣaṇa|<span style="color: black">svalakṣaṇa</span>]], {{llang|pi|[[:en:sabhāva|<span style="color: black">sabhāva</span>]]}}, {{llang|en|intrinsic nature, essential nature, [[:en:essence|<span style="color: black">essence</span>]]}})은 다른 어떤 것과도 관계하지 않는 자기만의 특성이다. 즉, 어떤 [[법 (불교)|법]](法)의 '''본질적 성질'''을 그 [[법 (불교)|법]](法)의 자성이라고 하며, 간단히 '''성'''(性)이라고도 하며 또한 다른 말로 '''체'''(體)라고도 하며 또한 '''체성'''(體性)이라고도 한다.{{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C%B2%B4%EC%84%B1&rowno=3 體性(체성)]". 2012년 11월 5일에 확인|quote=<br>"體性(체성): 물건의 본질을 체라 하고, 체가 변하여 고쳐지지 않는 것을 성이라 하니, 체가 곧 성."}}{{sfn|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p=[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214&startNum=4 4 / 1397]}}{{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8%87%AA%E6%80%A7&rowno=8 自性(자성)]". 2012년 9월 12일에 확인}}{{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10625&DTITLE=%A6%DB%A9%CA 自性]". 2012년 9월 12일에 확인}} 어떤 [[법 (불교)|법]](法)의 자성은 해당 [[법 (불교)|법]]을 다른 [[법 (불교)|법]]과 구별되게 하는 결정적 요소이다.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와 [[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와 [[법상종]]에서는 흔히 '''자상'''(自相)이라고도 한다.{{sfn|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p=[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214&startNum=4 4 / 1397]}}{{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8%87%AA%E6%80%A7&rowno=8 自性(자성)]". 2012년 9월 12일에 확인}}{{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10625&DTITLE=%A6%DB%A9%CA 自性]". 2012년 9월 12일에 확인}}
 
어떤 [[법 (불교)|법]](法)의 본질적 성질을 자성(自性), 자상(自相) 또는 성(性) 이라고 하는 것에 대해, 그 [[법 (불교)|법]](法)이 이 본질적 성질을 바탕으로 다른 [[법 (불교)|법]](法)에 대해 일으키는 본래의 작용(作用), 즉 '''본질적 작용'''을 '''업'''(業) 또는 '''용'''(用)이라고 한다. 말하자면, [[업]](業)에는 여러 가지 뜻이 있는데 '작용'의 뜻이 있다.{{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19035&DTITLE=%B7~ 業]". 2012년 11월 4일에 확인. 작용(作用)으로서의 업(業)|quote=<br>"業:
 梵語 karman,巴利語 kamma。音譯作羯磨。為造作之義。意謂行為、所作、行動、作用、意志等身心活動,或單由意志所引生之身心生活。若與因果關係結合,則指由過去行為延續下來所形成之力量。此外,「業」亦含有行為上善惡苦樂等因果報應思想,及前世、今世、來世等輪迴思想。本為印度自古以來所流行之思想,佛教即採用此一觀念,作為人類朝向未來努力之根據;其於佛學中之含意與界說分述如下:
 一般而言,業分身、語、意等三業,小乘說一切有部更進一步解釋為:內心欲行某事之意志稱為意業;以身體之行動與言語表現其意志者,即是身業、語業(口業)。此外,業又可分為二種,思業指意志之活動,思已業指思業中已付諸行動者;於此,思業同於意業,思已業同於身、語二業。對三業作用之本體(業體、業性),一切有部等諸部派認為意業屬於心法(意志),而身、語業屬於色法(物質);大乘佛教與經量部則主張所有諸業盡屬於心之活動。若論佛教之基本立場,理應採取後者無疑。"}} 예를 들어, [[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와 [[법상종]]의 주요 논서인 [[안혜]]의 《[[대승광오온론]]》의 제1권 그리고 [[호법]] 등의 《[[성유식론]]》의 제5권부터 제7권까지에서는 여러 [[마음작용]](심소법)들에 대해 정의하고 설명하고 있는데, 각각의 [[마음작용]](심소법)을 정의할 때 해당 [[마음작용]]의 본질적 성질인 [[성]](性)과 본질적 작용인 [[업]](業)을 밝힘으로써 해당 [[마음작용]]을 정의하고 있다. 본질적 성질인 [[성]](性)과 본질적 작용인 [[업]](業)은 동전의 앞면{{.cw}}뒷면과 같은 것이라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