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번뇌: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 배우는사람 사용자가 사근본번뇌 문서를 사번뇌 문서로 옮기면서 넘겨주기를 덮어썼습니다.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불교}}
 
'''4근본번뇌4번뇌'''(四根本煩惱)는 [[대승불교]]의 [[유식학]]에서 등장하는 용어로, [[염오식]](染汚識)으로서의 [[제7말나식]](第七末那識), 즉 아직 [[전의]](轉依)을 이루지 못한 상태 즉 아직 정화(淨化)되지 못한 상태의 [[제7말나식]]이 '''항상 [[상응 (심불상응행법)|상응]]하는''' 아치(我癡){{.cw}}아견(我見){{.cw}}아만(我慢){{.cw}}아애(我愛)의 4가지 [[번뇌]]를 말한다. '''4번뇌4근본번뇌'''(四根本煩惱){{.cw}}'''4종번뇌'''(四種煩惱) 또는 '''4혹'''(四惑)이라고도 한다.{{sfn|곽철환|2003|loc="[http://terms.naver.com/entry.nhn?cid=99&docId=898629&categoryId=1885말나식(末那識) 말나식(末那識)]". 2013년 1월 20일에 확인|quote=<br>"말나식(末那識): 말나(末那)는 산스크리트어 manas의 음사로, 의(意)라고 번역. 식(識)은 산스크리트어 vijñāna의 번역. 아뢰야식(阿賴耶識)을 끊임없이 자아(自我)라고 오인하여 집착하고, 아뢰야식과 육식(六識) 사이에서 매개 역할을 하여 끊임없이 육식이 일어나게 하는 마음 작용으로, 항상 아치(我痴)·아견(我見)·아만(我慢)·아애(我愛)의 네 번뇌와 함께 일어남. 아뢰야식에 저장된 종자(種子)를 이끌어 내어 인식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생각과 생각이 끊임없이 일어나게 하는 마음 작용."}}{{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5%9B%9B%E7%85%A9%E6%83%B1&rowno=1 四煩惱(사번뇌]". 2013년 1월 20일에 확인|quote=<br>"四煩惱(사번뇌): 법상종에서 제7 말나식과 항상 상응하는 네 가지 번뇌를 말함. (1) 아치(我癡)는 아(我)의 진상을 알지 못하여, 무아(無我)의 이치를 미(迷)한 것. (2) 아견(我見)은 실아(實我)가 있다고 집착하는 그릇된 소견. (3) 아만(我慢)은 저를 믿는 마음이 너무 높은 것. (4) 아애(我愛)는 나라는 데 애착하는 것."}}{{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7720&DTITLE=%A5%7C%B7%D0%B4o 四煩惱]". 2013년 1월 20일에 확인|quote=<br>"四煩惱: 又作四惑、四根本煩惱。即我癡、我見、我慢、我愛。於唯識宗,此乃與第七末那識相應而起之四種根本煩惱。我癡,即無明,謂愚於我之相而迷於無我之理。我見,即我執,謂對於非我之法妄計為我。我慢,即倨傲,謂恃所執之我,令心高舉。我愛,即我貪,謂對於所執之我深生耽著。〔成唯識論卷四、成唯識論述記卷五本、唯識論了義燈卷四末、唯識論演祕卷四末〕(參閱「煩惱」5515)"}}{{sfn|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T.1585|loc=제4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31n1585_p0022a24 T31n1585_p0022a24 - T31n1585_p0022b06]. 4근본번뇌(四根本煩惱)|quote=<br>"此意相應有幾心所。且與'''四種煩惱'''常俱。此中俱言顯相應義。謂從無始至未轉依此意任運恒緣藏識與'''四根本煩惱'''相應。其四者何。謂我癡我見并我慢我愛。是名四種。我癡者謂無明。愚於我相迷無我理故名我癡。我見者謂我執。於非我法妄計為我。故名我見。我慢者謂倨傲。恃所執我令心高舉。故名我慢。我愛者謂我貪。於所執我深生耽著。故名我愛。并表慢愛有見慢俱。遮餘部執無相應義。此四常起擾濁內心令外轉識恒成雜染。有情由此生死輪迴不能出離。故名煩惱。"}}{{sfn|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 김묘주 번역|K.614, T.1585|loc=제4권. p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897&startNum=216 216-217 / 583]. 4근본번뇌(四根本煩惱)|quote=<br>"이 말나식과 상응하는 심소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sup style="color: blue">202)</sup> 우선 '''네 가지 번뇌'''와 항상 함께한다. 여기서 ‘함께한다’는 말은 상응의 의미를 나타낸다. 아득한 옛적부터 아직 전의를 이루지 못한 지위에 이르기까지, 이 말나식은 자연적으로 항상 장식을 반연하고, '''네 가지 근본번뇌'''와 상응한다.
그 네 가지란 무엇인가? ‘아치(我痴)와 아견(我見) 및 아울러 아만(我慢)과 아애(我愛)’를 말한다. 이것을 네 가지 근본번뇌라고 이름한다. ‘아치(我痴)’는 무명을 말한다. 자아의 양상에 어리석어서 무아의 이치에 미혹한다. 따라서 아치라고 이름한다.<sup style="color: blue">203)</sup> ‘아견’은 아집을 말한다. 자아가 아닌 법에 대해서 망령되게 계탁하여 자아로 삼는다. 따라서 아견이라고 이름한다.<sup style="color: blue">204)</sup> ‘아만’은 거만함을 말한다. 집착된 자아를 믿어서 심왕으로 하여금 높이 올린다. 따라서 아만이라고 이름한다.<sup style="color: blue">205)</sup> ‘아애’는 아탐(我貪)을 말한다. 집착된
자아에 대해서 깊이 탐착(耽着)을 일으킨다. 따라서 아애라고 이름한다.<sup style="color: blue">206)</s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