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파불교: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5번째 줄:
小乘佛敎 석존(釋尊)이 멸한 뒤 100년경, 불교 교단은 계율에 대한 의견 차이에서 보수적인 상좌부(上座部)와 진보적인 대중부(大衆部)의 둘로 분열되고(근본분열), 그후 약 200년 동안에 걸쳐 분열을 거듭하여 18부로 나뉘어(枝末分裂) 근본2부(根本二部)를 포함해서 20부가 되었다 한다. 이것이 부파(部派)불교라는 것인데, 그후 기원 전후에 새로운 대승불교가 일어나게 되자 지금까지의 부파불교를 소승불교(小乘佛敎)라고 폄칭(貶稱)하게 되었다. 이 부파시대의 불교는 각 부파마다 석존의 가르침을 정리·분류하고, 각기 독자적인 '경(經)'과 '율(律)'을 전함과 동시에 이들을 해석·연구하여 조직 체계화하는 학문이 발달하였다. 이것을 아비달마(阿毘達磨:對法)라 하여 논(論)이라 불렀다. 소승불교는 이처럼 교의의 확립이라는 점에서 큰 공적을 남겼는데, 교의의 번잡화(煩雜化)는 불교의 종교로서의 생명을 잃게 하고 신앙을 고갈시켰으며, 새로운 불교개혁운동(대승불교)을 초래하는 결과가 되었다. "</ref>
 
부파불교는 시기적으로는 [[원시불교]](原始佛敎, pre-sectarian Buddhism) 이후 이래의 시기를 뜻하는데, [[대승불교]]가 [[서력 기원]] 전후에 발생한 후에도 부파불교의 부파들 중에는 [[대승불교]]의 종파들과 함께 여전히 존속했던 부파들이 있었다. 예를 들어 [[세친]](316~396)은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에서 [[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로 전향하였다. 그가 [[설일체유부]]의 논사였을 때 저술하였던 《[[아비달마구사론]]》은 [[설일체유부]]의 교학의 강요서인데, 그는 부파불교의 [[경량부]]의 학설 등을 이용하여 비판적으로 [[설일체유부]]의 교학을 집대성하였다. 즉, 이 때까지도 부파불교의 부파들이 활발히 활동하고 있었으며, 또한 [[세친]]의 시대보다 200여년 후의 인물인 [[현장]](玄奘: 602~664)의 《[[대당서역기]](大唐西域記)》에 따르면 그가 인도로 유학을 갔을 때도 여전히 [[정량부]]([[:zh:正量部|<span style="color: black">正量部</span>]], {{llang|sa|[[:en:Saṃmitīya|<span style="color: black">Saṃmitīya</span>]]}}) 등의 부파불교의 부파들이 상당한 세력으로 존재하고 있었다.<ref>The distinguished Buddhologist Étienne Lamotte, using the writings of the Chinese traveler Xuanzang, asserted that the Saṃmitīya were in all likelihood the most populous non-Mahāyāna sect in India, comprising double the number of the next largest sect (Lamotte, Etienne. 《History of Indian Buddhism》. 1988. pg 539-544), although scholar L. S. Cousins revised his estimate down to a quarter of all non-Mahāyāna monks, still the largest overall ("Person and the Self." Buddhism: Critical Concepts in Religious Studies, Vol. 2, pgs 84-101). The Saṃmitīya sect seems to have been particularly strong in the Sindh, where one scholar estimates 350 Buddhist monasteries were Saṃmitīya of a total of 450 (《Religion and Society in Arab Sind》 by Maclean, Derryl. Brill: Leiden 1989. pg 154). This area was rapidly Islamized in the wake of the Arab conquest (《Religion and Society in Arab Sind》 by Maclean, Derryl. Brill: Leiden 1989). The end of the Saṃmitīya sect appears to coincide with the overall decline of Buddhism in India.</ref>
 
[[고타마 붓다]]가 반열반에 든 후 그의 제자들은 스승의 인격에 의지하지 말고 스스로의 노력에 의지하라는 자등명(自燈明: 자신을 등불로 삼으라)과 남겨진 가르침(법)에 의지하라는 법등명(法燈明: 법을 등불로 삼으라)의 유훈에 따라 [[고타마 붓다]]가 남긴 교법을 [[결집]]하여 [[경장]]과 [[율장]]을 편찬하였다. 이 뿐만 아니라, 제자들은 그 교법(특히, [[사성제]])을 깊이 연구 해석하여 여러 경전들에 나오는 불교의 이론과 실천 양면을 망라하여 이들을 체계화한 방대한 [[아비달마|논서]](Abhidharma-sastra, 아비달마샤스트라)들을 작성하였는데, 이러한 이유로 부파불교를 한편으로는 '''아비달마불교'''(阿毘達磨佛敎)라고도 한다.<ref>권오민 (2000). "아비달마불교의 새로운 인식을 위한 시론", 《한국불교학》 제27집. p. 129.</re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