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헌: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명칭변환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20번째 줄:
|웹사이트 =
}}
'''허헌'''(許憲, [[1885년]] [[음력 6월 11일]] [[함경북도]] [[명천군]] ~ [[1951년]] [[8월]])은 [[일제강점기]]의 독립운동가이자 법조인 출신의 [[북조선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이다. [[이인]], [[김병로]]와 함께 독립운동가들을 변호하던 변호사로, '''3대 민족 인권 변호사'''로 유명했다.
 
[[한성중학교]], [[보성전문]]을 졸업하고, [[일본]]에 유학, [[메이지 대학]] 법과를 졸업했다. [[1907년]]에는 [[대한제국]] 제1회 변호사 시험에 합격하였고, [[일본]]에서도 변호사 자격을 취득했다. 그 뒤 독립운동가들의 변호와 노동자들의 고용 문제, 임금 인상 문제 등을 무료로 변론하였으며 [[1924년]] [[보성전문학교]] 교장 취임과 조선인변호사 회장을 겸임 [[동아일보]] 사장직무대행등 각종 사회활동 하였다. [[1926년]] 6개월동안 세계일주 여행 간것으로 유명하며, 이듬해 1927년에는 [[신간회]] 단체 주요간부로 활동하였다. [[1943년]] [[일제강점기]] 말기에는 [[단파방송 밀청사건]]에 연루되어 2년간 옥고를 치루기도 했다.
 
광복 이후 [[1945년]] [[8월]] [[여운형]], [[박헌영]] 등과 함께 [[건국준비위원회]] 결성에 참여하였고, [[건국준비위원회|건준]] 부위원장을 거쳐 [[조선인민공화국]] 내각에서는 [[국무총리]]에 선출되기도 했다. 인공 해체 후 [[남조선]]에서 [[민주주의민족전선]], [[남조선로동당]]등 활동하다가 탄압받자, [[1948년]] [[4월]] [[남북협상]]차 북으로 건너간건거난 후 북조선에 정착하였다. [[1948년]] [[북조선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최고인민회의 제1기 대의원, [[최고인민회의]] 의장(의회 의장)에 선출되기도 하였고, [[김일성대학]] 총장이 되었다. 통일운동가로 활동하다가 [[1951년]] [[8월]] 청천강에서 익사하였다. [[북조선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여성운동가 [[허정숙]]의 아버지이기도 하다. 호는 긍인(兢人). 함북 명천 출생.
 
== 생애 ==
132번째 줄:
[[파일:허헌_박헌영_홍명희.jpg|썸네일|250px|right|1948년 8월, [[황해도]] [[해주]]에서 열린 '인민대표자대회'. 왼쪽부터 [[백남운]],허헌,[[박헌영]],[[홍명희]].]]
{{참고|전조선 제정당 사회단체 연석회의}}
[[1948년]] [[4월]] [[남북협상]]을 위해 [[남로당]]의 [[리승엽]] 등과 함께 [[북조선]]으로38선 이북으로 갔다가 내려오지 않았으며, 그해 [[8월 25일]] [[최고인민회의]] 제1기 대의원에 선출되었고, 바로 [[북조선]]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헌법]] 제정의 책임을 맡은 [[최고인민회의]] 헌법위원회 위원으로도 선출됐다. [[북조선]]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헌법 제정 후 [[9월]]에 [[최고인민회의]] 의장에 선출되었다. 동시에 그해 [[10월]]부터는 [[김일성종합대학]] 총장직을 겸임하였다. 48년 7월 2일부터 7월 5일까지 열린 제2차 남북 지도자회의(제2차 전조선 제정당 사회단체 대표자 연석회의) 본회의에 참석했다.
 
[[1949년]] [[6월]] 조국통일민주주의전선 중앙위원회 의장에 당선되고, [[1951년]] [[8월]] 다시 최고인민회의 의장이 되었다. [[1951년]]에 병사하였다. 여기에 대해서 같은 해 [[8월 16일]] [[청천강]]에서 사고로 익사하였다는 주장이 있다.<ref name="비전1">정경모, 찢겨진 산하 (기획출판 거름, 1986) 195페이지</ref> 장례식은 북조선의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장으로 치러졌다.
 
=== 사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