득 (불교):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88번째 줄: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에서는 [[심불상응행법]]에 속한 다른 [[법 (불교)|법]]들과 마찬가지로 득(得)을 개별적 실체 즉 [[실유]](實有) 또는 [[실법]](實法)이라고 본다.{{sfn|미륵 지음, 현장 한역, 강명희 번역|K.614, T.1579|loc=제3권. 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209&startNum=71 71 / 829]. 가법(假法): 불상응(不相應)과 법처색(法處色)|quote=<br>"다음에 곧 앞에서 설명된 자성(自性) 내지 업(業) 등의 5사(事)는 그 밖의 가유법(假有法)을 제외하고는<sup style="color: blue">3)</sup>, 즉 색취(色聚) 심심소품(心心所品) 무위(無爲)에 의하기 때문에 모두 3처(處)에 포함되는 것임을 마땅히 알아야 한다.
<br><sup style="color: blue">3)</sup> '그 밖의 가유법(假有法)은 제외한다'는 것이란 지금은 단지 실법(實法) 만을 해석하기 때문에 가법(假法)인 불상응(不相應)과 법처색(法處色)은 제외한다는 것이다. 왜냐 하면 안식(眼識)의 대상(對象)이 아니고 오직 의식 주관상으로서의 색(色)이므로 극미(極微)와 같이 가법(假法)의 색(色)이며, 유부(有部)에서는 불상응(不相應) 등은 실유(實有)라고 하지만, 대승(大乘)에서는 가립(假立)이라고 하고 객관적인 실재법(實在法)은 아니라고 하기 때문이다."}} 반면, [[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와 [[법상종]]에서는 [[심불상응행법]]에 속한 다른 [[법 (불교)|법]]들과 마찬가지로 득(得)을 [[유위법]]의 [[분위]](分位: 국면, 양태, 단계, phase)에 바탕하여 설정된 가설적 존재 즉 [[가유]](假有) 또는 [[가법]](假法)이라고 본다.{{sfn|미륵 조, 현장 한역|T.1579|loc=제3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30n1579_p0293c04 T30n1579_p0293c04 - T30n1579_p0293c13]. 법경(法境)의 87가지 법}}{{sfn|미륵 지음, 현장 한역, 강명희 번역|K.614, T.1579|loc=제3권. p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209&startNum=99 99-100 / 829]. 법경(法境)의 87가지 법}} 예를 들어, 《[[대승아비달마집론]]》과 《[[대승아비달마잡집론]]》에서는 득(得)을 [[선 (3성)|선]]과 [[불선 (3성)|불선]]의 '''증감'''(增減)의 [[분위차별]]이라 정의하고 있다.{{sfn|무착 이러한조, 점을현장 제외하고는한역|T.1605|loc=제1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31n1605_p0665c02 T31n1605_p0665c02 - T31n1605_p0665c03]. 득(得)|quote=<br>"何等為得謂於善不善無記法。若增若減假立獲得成就。"}}{{sfn|무착 대한지음, 정의는현장 서로한역, 거의이한정 일치하고번역|K.572, 있다T.1605|loc=제1권. 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1364&startNum=17 17 / 159]. 득(得)|quote=<br>"어떠한 것이 득(得)입니까?
선법(善法)ㆍ불선법(不善法)ㆍ무기법(無記法)이 늘어나거나 또는 줄어든다고 임시로 세워서[假立] 그 성취를 일으키는 것이다."}} 이러한 점을 제외하고는 득(得)에 대한 정의는 서로 거의 일치하고 있다.
 
[[설일체유부]]의 논서 《[[아비달마품류족론]]》에서는 득(得)과 유사한 '''의득'''(依得){{.cw}}'''사득'''(事得){{.cw}}'''처득'''(處得)을 별도의 [[법 (불교)|법]]으로 설정하고 있다.{{sfn|세우 조, 현장 한역|T.1542|loc=제1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26n1542_p0692c05 T26n1542_p0692c05 - T26n1542_p0692c09]. 심불상응행(心不相應行)}}{{sfn|세우 지음,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K.949, T.1542|loc=제1권. 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328&startNum=2 2 / 448]. 심불상응행(心不相應行)}} 이에 비해, [[설일체유부]]의 논서로 《[[아비달마품류족론]]》 보다 후대의 논서인 《[[아비달마구사론]]》과 《[[아비달마순정리론]]》에서는 [[의득 (심불상응행법)|의득]](依得){{.cw}}[[사득 (심불상응행법)|사득]](事得){{.cw}}[[처득 (심불상응행법)|처득]](處得)을 별도의 [[법 (불교)|법]]으로 설정하고 있지 않으며, 득(得)만을 설정하고 있다. 하지만, 이 두 논서는 득(得)의 반대인 [[비득 (심불상응행법)|비득]](非得)을 별도의 [[법 (불교)|법]]으로 설정하고 있는데, 《[[아비달마품류족론]]》에서는 [[비득 (심불상응행법)|비득]](非得)을 별도의 [[법 (불교)|법]]으로 설정하고 있지 않다.{{sfn|세친 조, 현장 한역|T.1558|loc=제4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29n1558_p0022a04 T29n1558_p0022a04 - T29n1558_p0022a09]. 심불상응행(心不相應行)}}{{sfn|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K.955, T.1558|loc=제4권. p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214&startNum=190 190-191 / 1397]. 심불상응행(心不相應行)}} [[대승불교]]의 논서 《[[유가사지론]]》, 《[[현양성교론]]》, 《[[대승백법명문론]]》 등에서는 득(得)만을 설정하고 있으며 [[의득 (심불상응행법)|의득]](依得){{.cw}}[[사득 (심불상응행법)|사득]](事得){{.cw}}[[처득 (심불상응행법)|처득]](處得)과 [[비득 (심불상응행법)|비득]](非得) 모두를 별도의 [[법 (불교)|법]]으로 설정하고 있지 않다.{{sfn|미륵 조, 현장 한역|T.1579|loc=제3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30n1579_p0293c04 T30n1579_p0293c04 - T30n1579_p0293c13]. 법경(法境)의 87가지 법}}{{sfn|미륵 지음, 현장 한역, 강명희 번역|K.614, T.1579|loc=제3권. p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209&startNum=99 99-100 / 829]. 법경(法境)의 87가지 법}}{{sfn|무착 조, 현장 한역|T.1602|loc=제1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31n1602_p0484a22 T31n1602_p0484a22 - T31n1602_p0484a28]. 심불상응행법(心不相應行法)}}{{sfn|무착 지음, 현장 한역|K.571, T.1602|loc=제1권. 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1361&startNum=35 35 / 293]. 심불상응행법(心不相應行法)}}{{sfn|세친 조, 현장 한역|T.1614|loc=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31n1614_p0855c10 T31n1614_p0855c10 - T31n1614_p0855c16]. 심불상응행(心不相應行)}}{{sfn|세친 지음,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K.644, T.1614|loc=p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1373&startNum=2 2-3 / 3]. 심불상응행(心不相應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