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형: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논형'''(論衡)》은 [[왕충 (후한)|왕충]](王充)의 저작으로 85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형(衡)이라 함은 저울에 달아서 공평하게 중량을 재는 것이다. 《논형(論衡)》의 주지는 일체의 허위의 지식을 검토하고 비판하여 공정한 진리를 끌어내는 데에 있었다. 실제로 이 책에는 당시의 주요한 철학 문제(자연관·지식론·인성론·운명론·정치사상)가 전부 포함되는데, 독창성이 풍부한 이론이 전개되고 있다전개되었다.
 
자연관(自然觀)에서는 목적론적인 하늘의 의지를 부정하여 천인감응의 신권설에신권설을 타격을타격하는 주는 한편일변, 5행 재이사상오행재이사상(五行災異思想)을 의심하였다. 그리하여 물질적물질과 관련된 자연의 고유한 운동을 승인하였고, 나아가 사회현상에사회현상을 대해서도놓고도 과도한정치와 정치적관련된 과도한 간섭을 배격한 도가의 무위자연(無爲自然) 상태를 존중하였다. 또 사후의 영혼의 존재를 부정하여, 사람의 정신 활동도 육체의 생명과 함께 물질적으로물질상 생멸한다는 것을이론을 설명함으로써설명하여 [[환담]](桓譚) 이래의이래 무신론을[[무신론]]을 철저히 하였다.
 
지식론(智識論)에서는 선천적으로모든 아는경험에 신비적앞선 선험주의(先驗主義)를인식이 태어날 때부터 존재한다고 간주하는 관점을 부정하고 후천적인태어난 후에 얻어진 학습 경험에 의한토대한 지식의 집적(集積)을 기초로 하여기초하여 그것에 기본하는 이성적이성에 근거한 판단을 존중하여 당시 유행한, 여러이치에 가지의맞지 비합리적인않는 여러 가지 설화나 전문(傳聞)의 허망성(虛妄性)을 폭로했다. 이것들은 당시의당시, 신비적인사람의 지혜나 힘이 미치지 못할 정도로 신기하고 묘한 해석학(解釋學)으로 변한 어용유학(御用儒學)과 정면으로 대립하였는데, 공자나 맹자의 언행까지도언행도 비판의비판하였으므로 대상으로 삼았기대[宋 때문에 송대(宋)] 이후 체제교학(體制敎學)으로부터 격렬히 비난받았다.
 
그의[[왕충]]의 풍부하고 왕성한왕성하게 비판하는 비판주의는밤침은 후한(後漢) 말 [[채옹]](蔡邕)이 이야깃거리[담조(談助-이야기거리)]로서 다룬다루었듯이 것과불충분하고 같이시대상 충분하지는제한은 못하나있으나 역대 지식계급의지식계급에게 지지를지지받아 받아 왔으며, 역사적으로 정당한 평가를 받은 것은왔고 유교 교학체제(儒敎敎學體制)가 붕괴한 근대 이후가 되고서야 역사에 관하여 정당히 다음이다평가받는다.
 
== 국역본 ==
이주행 譯, 『論衡』(소나무, 1996년 1월 1일) ISBN 2003725000124
성기옥 譯, 『논형 – 구허ㆍ삼증 편』(행길, 2011년 6월 20일) ISBN 9788996668107
 
==참고 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