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번뇌: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44번째 줄:
==4근본번뇌와 평등성지==
 
불교에서는 [[번뇌]]를 분류하는 여러 분류법이 있는데, 그 중에 하나가 실천적인 입장에서 [[번뇌]]를 분류하여 선천적인 번뇌에 해당하는 [[구생기 번뇌]](俱生起煩惱)와 후천적인 번뇌에 해당하는 [[분별기 번뇌]](分別起煩惱)로 구분하는 것이다. [[분별기 번뇌]]는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와 수행론에서는 [[견도]]에 도달할 때, [[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와 [[법상종]]의 수행론에서는, [[설일체유부]]의 수행론에서의 [[견도]]에 해당하는, [[통달위]]에 도달할 때 모두 끊어진다. 반면, [[구생기 번뇌]]는 [[견도]] 이후의 [[수도 (불교)|수도]]의 단계 또는 [[통달위]] 이후의 [[수습위]]에서 그 일부가 끊어지거나 점차로 약화되다가 최종적으로 [[성불]]할 때 완전히 끊어진다.{{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A%B5%AC%EC%83%9D%EA%B8%B0&rowno=1 俱生起(구생기)]". 2013년 2월 19일에 확인|quote=<br>"俱生起(구생기):
 
↔분별기(分別起). 사사(邪師)ㆍ사교(邪敎)ㆍ사사유(邪思惟) 등의 바깥 연에 의지하지 않고 나면서부터 갖추어 있는 선천적인 번뇌."}}
불교에서는 [[번뇌]]를 분류하는 여러 분류법이 있는데, 그 중에 하나가 실천적인 입장에서 [[번뇌]]를 분류하여 선천적인 번뇌에 해당하는 [[구생기 번뇌]](俱生起煩惱)와 후천적인 번뇌에 해당하는 [[분별기 번뇌]](分別起煩惱)로 구분하는 것이다. [[분별기 번뇌]]는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와 수행론에서는 [[견도]]에 도달할 때, [[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와 [[법상종]]의 수행론에서는, [[설일체유부]]의 수행론에서의 [[견도]]에 해당하는, [[통달위]]에 도달할 때 모두 끊어진다. 반면, [[구생기 번뇌]]는 [[견도]] 이후의 [[수도 (불교)|수도]]의 단계 또는 [[통달위]] 이후의 [[수습위]]에서 그 일부가 끊어지거나 점차로 약화되다가 최종적으로 [[성불]]할 때 완전히 끊어진다.
 
==같이 보기==